olldL [1281650] · MS 2023 · 쪽지

2025-05-21 22:22:31
조회수 75

생1 인슐린 투여 후 그래프 기울기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209372


인슐린 투여 이후 그래프 모양이 궁금해 질문 드립니다...........

인강 Q&A 조교님 답이랑 지식인에서 의대생님 답이 서로 달라서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캔두잇. · 1279297 · 9시간 전 · MS 2023

    감소후 증가아닌가요 뒤에 증가는 맞는데

  • 아캔두잇. · 1279297 · 9시간 전 · MS 2023

    저보다 조교가 더 정확할듯

  • SEKAI NO OWARI · 1355792 · 9시간 전 · MS 2024

    인슐린 투여->감소->(길항)->증가

  • yo.yo · 33499 · 9시간 전 · MS 2003

    글리코겐이랑 글루카곤을 헷갈린건 아니냐

  • yo.yo · 33499 · 9시간 전 · MS 2003 (수정됨)

    글리코젠으로부터 생성된 포도당량은 왜 감소하고 있는거임? starving 하고있으면 증가하는게 맞을거고 아니면 식후라서 글리코젠에서 생성된 당이 줄고 있는거임? 간에 축적된 글리코젠을 소모하고있어서 점점 줄어들고있으면 인슐린 쓰면 바로 그냥 저혈당 올건데. 혈당 항상성 자체가 무너지는 전제가 됨.

    실제혈당변화는 어떻게 되고있음? 당뇨없어도 혈당변화 하는데 혈당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되게 많은 메커니즘이 작용하는데 글리코젠 당생성량만 내놓으면 이게 대체 어떤상황인지 감이 안옴.

  • yo.yo · 33499 · 8시간 전 · MS 2003 (수정됨)

    문제 전체를 한번 올려봐주셈 식후인지 몇분인지 그것도 사실 되게 중요함. 내 느낌엔 괜히 문제 꼬아서 내려다가 찐빠낸거같은데. “글리코젠으로 부터 생성된 포도당양“ <-요 표현이 좀 쎄한데

  • olldL · 1281650 · 8시간 전 · MS 2023

    엄... 걍 2509 6번 풀다가 만약 x가 인슐린이었다면 생각하다 저기까지 가게 된거예요...

  • olldL · 1281650 · 8시간 전 · MS 2023

    저 그래프에서 x가 인슐린이었다면 인슐린 투여 전 그래프가 x축과 평행한 상태이니 인슐린 투여 후 포도당 양 그래프도 그대로 x축과 평행한 그래프로 표현됐을 거라고는 추론했는데,

    만약 x 투여 전 그래프에 기울기가 존재했다면? 이라는 의문에서 질문 드린겁니다...!

  • yo.yo · 33499 · 8시간 전 · MS 2003

    “간에서 단위시간당 글리코젠으로부터 생성되는 포도당양“ 그래프 기울기가 왜 존재함? 존재할수 있는 상황이 어떤상황인지를 먼저 생각해봐야함.

    나는 애초에 “간에서 단위시간당 글리코젠으로부터 생성되는 포도당양“ 이라는 표현자체가 괜히 안넘어지려고 스텝밟다가 찐빠난거같은데.

  • yo.yo · 33499 · 8시간 전 · MS 2003

    이런건 보통 문제자체는 답내기 쉬운경우가 많음.
    너무 깊게 생각안해도 될듯. 출제자도 잘 모름.

  • yo.yo · 33499 · 8시간 전 · MS 2003

    그래프 수치를 혈당 몇인지도 안일려주고 (상대값)처리 에다가 시간표시도 안해주는거 존나 성의없네 ㅋㅋㅋ

    인슐린이든 글루카곤이든 숏액팅이라서 시간 되게 중요한데

    인슐린 넣으면 글리코겐으로부터 생성되는 포도당양이 일단 거의 없겠지요...그래서 그래프 초기값이랑 어떤 모양인지가 중요한데...

  • yo.yo · 33499 · 8시간 전 · MS 2003
  • yo.yo · 33499 · 8시간 전 · MS 2003

    근데 난 아무리봐도 그냥 문제 꼬아서 내려다 찐빠낸거 같은데 ㅋㅋㅋ 글루카곤 주사하면 혈당 그래프 저렇게 안됨.

  • yo.yo · 33499 · 8시간 전 · MS 2003

    이런 모습을 보이기도 하고

  • yo.yo · 33499 · 8시간 전 · MS 2003

    이렇게 움직이기도 함.
    과학교사들 뇌내망상으로 문제 꼬아서 내는거 참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