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그날플래너 [578871] · MS 2015 · 쪽지

2015-07-20 16:27:12
조회수 2,219

생물 항상성 뉴런 질문이요 ㅜ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64650

백호쌤의 섬개완을 듣고 있는데요

선생님께서 흥분전도는 전류의 흐름에 의해 일어난다고 하셨어요.
Na+ 이온의 확산이 아닌 전류의 흐름에 의해 흥분이 전도된다고 하셨죠.
그런데 몇 분 뒤에 흥분 전도는 확산이므로 에너지 소모가 없다고 하셨어요.
에너지 소모는 능동수송을 하는 펌프 작용에서만 소모된다고 하시구요.
명쾌하게 설명좀 부탁드려요 ㅜㅜ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련 · 494862 · 15/07/20 16:34

    「Na+ 이온의 확산이 아닌 전류의 흐름에 의해 흥분이 전도된다」가 잘 이해가 안되는데 몇강 몇초인지 적어주시면 감사드려요
    에너지 소모는 나트륨칼륨펌프밖에없어요(펌프는 능동수송 나머지 나트륨통로와 칼륨통로는 전부 확산)
    흥분전도가 에너지 확산이므로 에너지 소모 없는것도맞고요

  • 그날그날플래너 · 578871 · 15/07/20 16:53 · MS 2015

    섬개완 29강 1시간 3분 40초 가량이에요.

    제가 이해하고 있는 것이 맞는 것인지 여쭤봐도 될까요?
    1.일단 (+)전하는 (-)전하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맞나요?
    상식 같은데 제가 잘.. 몰라서요.
    (+)전하는 기본적으로 (-)전하로 이동하고 그게 전류의 흐름이라는 건가요?

    2. 자극을 받은 그 부위는 Na+통로가 열려 나트륨이온이 막 안으로 확산됩니다.
    그로 인해 막 내부가 (+)전하를 띄게 됩니다.
    그 (+)전하가 "전류의 흐름"에 의해 양 옆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이 때 자극을 받은 부위의 나트륨 이온은 그대로 있고 단지 (+)전하만 전류의 흐름에 의해 양 옆으로 이동합니다. 그럼 남아있는 나트륨 이온은? 펌프의 작동으로 서서히 다시 분극상태로 돌아올 뿐입니다. 즉 남아있는 나트륨 이온은 다시 펌프의 능동수송으로 밖으로 빠져나갑니다.)

    여기까지 맞나요?? ㅜㅜ

    3. 여기서 또 헷갈리는게 있는데
    양옆으로 (+)전하가 이동하잖아요? 전류에 흐름에 의해
    그럼 (+)전하를 띄게 되면 (+)전하에 의해 Na+통로가 열리나요?
    Na+통로가 열리는 이유는 (+)전하에 의해서 인가요?

    4. 3번내용이 맞다면
    탈분극 때 Na+통로가 열리는 것도 (-)전하가 (+)전하로 바뀌게 되기 때문인건가요?

    질문이 많아서 죄송해요 ㅜㅜ

  • 이련 · 494862 · 15/07/20 17:13

    ★★플러스 전하 마이너스 전하가 의미하는 것은 상대적인거예요 질문순서와 상관없이 전체적인 개념설명을 해드리자면 나트륨펌프에 의해 나트륨 분자세개가 세포막 밖으로 나가고 칼륨 분자 두개가 세포막 안으로 들어오게 됩니다 세포막으로 들어오는것보다 나가는 것이 더 많으니 세포막 바깥쪽이 나트륨칼륨펌프에 의해 플러스 전하를 띄고 내부가 마이너스전하를 띄게 됩니다 ★★
    이 과정은 나트륨펌프라는 것을 ATP소모를 해서 능동수송을 하는 것이고요 확산은 농도가 높은 곳에서 적은곳으로 가는 것을 의미해요

    능동수송이란 과정이 없다면 세포막 내외부의 농도가 같겠죠 그러나 펌프가 능동수송을 하기 때문에 전하의(플러스마이너스)차이가 생기는 것이고 나트륨칼륨통로가 열리게 되면 내외부의 전하량을 맞추기 위해 나트륨은 내부로 확산되고 칼륨은 외부로 확산됩니다(★주의 확산은 농도가 높은곳에서 낮은곳으로 이동하는 것이기에 이 때 나트륨이 내부로 확산되더라도 외부의 나트륨농도가 더 높고 칼륨은 외부로 확산되더라도 내부의 칼륨농도가 더 높습니다★)

    확산은 에너지 소모가 들지 않겠죠? 왜냐면 자연스럽게 이동하는 거니까요 그에반해 능동수송이라는 것은 농도를 거스르는 겁니다 적은것에서 높은곳으로 농도 이동을 해요 그래서 에너지 소모가 들게 됩니다

    2번은 본인이 해석하신거와 제 생각이 같아요

    3번에 플러스 전하의 이동에 의해 나트륨 통로가 열리는 것이 아니고
    맨위에 나트륨이 유입되어 탈분극이 일어나서 내부에서 나트륨이 확산되어 활동전위(막전위라고 하는데 휴지상태의 분극이 탈분극되고 재분극되고 그런거라고 해석하시면 편합니다 교재 그림보면 편하실듯 그림있어요 세포막 전위가 -75~+35이렇게요)를 일으킵니다 플러스 마이너스라고 생각하시다보니까 좀 해석의 오류?가 있으신듯해요..ㅠㅠ

  • 이련 · 494862 · 15/07/20 17:18

    4. 3번내용이 맞다면
    탈분극 때 Na+통로가 열리는 것도 (-)전하가 (+)전하로 바뀌게 되기 때문인건가요?


    음...ㅠㅠ탈분극할때 나트륨 통로가 열린다고 보지 마시구요

    탈분극이라는 것은 분극 상태의뉴런(아무런 자극을 받지못함)이 역치이상(역치미만은 탈분극하지못합니다 역치는 어떤반응을 일으키기위한 최소한의 자극입니다)의 자극을 받았을때 나트륨이온이 빠르게 세포막내부로 유입이되서(통로가 열리니까) 막전위(세포막내외부의 전위차가)가 상승하는 것을 탈분극이라고 합니다

    결론은 탈분극해서 나트륨이온이 유입되는게 아니고

    뉴런이 분극상태인데 자극을 받아 나트륨이온이 유입되서 탈분극을 일으킨다는겁니다

  • 그날그날플래너 · 578871 · 15/07/20 16:53 · MS 2015
    회원에 의해 삭제된 댓글입니다.
  • 그날그날플래너 · 578871 · 15/07/20 17:06 · MS 2015

    전류의 흐름이 확산인가요?
    나트륨 통로가 열리는 이유는 1.자극을 받았을 때, 2.(+)전위가 되었을 때 두가지 인가요?
    ㅜㅜㅜㅜㅜㅜ

  • 이련 · 494862 · 15/07/20 17:21

    전류의 흐름이란 단어를 아예 머릿속에서 지우세요 아무 영향 없어요
    전하가 플러스 마이너스를 띄니까 전류의 흐름이라 하신것같은데 ...생각하지마세요 문제푸는데 지장전혀없습니다

    펌프가 아닌 통로에 의한 농도의 흐름이 확산이고
    나트륨통로가 열리는 것은 자극을 받았을 때 입니다

    플러스 전위가 된다는 것은 나트륨 통로가 열려서 나트륨이 유입되서 플러스 전위를 띈다는 것입니다

  • 그날그날플래너 · 578871 · 15/07/20 17:21 · MS 2015

    바쁘실텐데 답변 너무 감사해요 ㅜㅜ
    하나만 더 여쭤도 될까요
    동그라미 6번에 흥분의 주변 이동이 궁금한데요
    -탈분극 시 형성된 내부의 +전하가 주변 (-)으로 전류흐름을 형성한다고 했습니다.
    이건 자극 받은 부위의 (+)전하가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기 때문에 주변으로 이동합니다.
    이걸 전류의 흐름이라고 말하는 거죠?

    그리고 그 다음줄에 전위 변화에 의해 주변 세포막이 탈분극되면서 새로운 나트륨이온 유입이라고 적혀있는데요.
    전위 변화라는 것은 -75~+30으로 변한 것을 뜻한 거라고 생각됩니다.
    즉, 자극 받은 세포가 (+30)으로 전위가 변하게 되고 그 (+)가 주변 세포로 전류의 흐름이 일어나면서
    이동한 (+)전하로 인해 주변 세포가 탈분극된다고 해석되는데 맞는지요 ㅜ
    탈분극 되면 Na+통로가 열리고 그로 인해 나트륨이온이 더 들어오는 거구요..

  • 이련 · 494862 · 15/07/20 17:34

    제가 백호 교재가 없어서 동그라미 육번이 무엇인지 몰라요ㅜㅜ-

    ₩₩이건 자극 받은 부위의 (+)전하가 주변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기 때문에 주변으로 이동합니다.
    이걸 전류의 흐름이라고 말하는 거죠?

    ☞맞습니다

    ₩₩전위 변화라는 것은 -75~+30으로 변한 것을 뜻한 거라고 생각됩니다.

    ☞네




    ₩₩자극 받은 세포가 (+30)으로 전위가 변하게 되고 그 (+)가 주변 세포로 전류의 흐름이 일어나면서
    이동한 (+)전하로 인해 주변 세포가 탈분극된다고 해석되는데 맞는지요 ㅜ

    ☞플러스마이너스로 보시지 마시고 나트륨관점으로 봐주세요
    뉴런이 자극을 받아 세포막 내부로 나트륨이 유입되고 이것이 내부에서 확산되어 탈분극되는거예요


    ₩₩탈분극 되면 Na+통로가 열리고 그로 인해 나트륨이온이 더 들어오는 거구요..

    ☞위에 적었듯이 인과관계 잘 생각하셔야 합니다 탈분극이 되서 나트륨 통로가 열린것이 아니고 자극을 받아 나트륨 통로가 열려 나트륨이 유입되는 그 과정결과자체를 탈분극이라 일컫는겁니다 탈분극이란 용어는 어느 과정의 제목? 일뿐입니다

  • 그날그날플래너 · 578871 · 15/07/20 17:23 · MS 2015

    결론은 탈분극해서 나트륨이온이 유입되는게 아니고

    뉴런이 분극상태인데 자극을 받아 나트륨이온이 유입되서 탈분극을 일으킨다는겁니다
    이라고 하셨는데요

    혹시 그럼 흥분의 주변 이동도 자극을 받아 나트륨 이온이 유입되어 탈분극을 일으키는 건가요?ㅜ
    그렇다고 한다면 주변 이동시 자극은 어떤 자극인가요..?

    귀찮게 해서 죄송해요 ㅜㅜㅜㅜㅜㅜ

  • 이련 · 494862 · 15/07/20 17:35

    나트륨이온이 유입되어 막전위의 변화를 일으킨 것 그것을 탈분극이라 정의시키는 거예요
    위에서 말을 오해있게 한 것 같네요

  • 이련 · 494862 · 15/07/20 17:40

    (흥분의 주변이동☞흥분의 전도)는 자극받아 유입된 나트륨이온이 그 내부에서 `확산`되면서 나트륨 통로가 연속적으로 열립니다( 탈분극을 일으킵니다)
    주변도 함께 자극받은게 아니라
    어느 구간에서 나트륨 이온이 유입되어 내부에서 확산된 나트륨이온이 탈분극을 일으킵니다 이 과정에서 나트륨통로가 연속적으로 열려요 ㅠㅠ그냥 받아들이시는게 편하실듯합니다

  • 그날그날플래너 · 578871 · 15/07/20 17:43 · MS 2015

    엇 죄송한데.. 하얀호랑이 쌤은 나트륨 확산이 아니라고 딱 말씀하시던데 ㅜㅜ
    네 그냥 받아들여야 겠어요
    죄송해요 감사합니다 !

  • 이련 · 494862 · 15/07/20 17:47

    나트륨+이온이 확산이용
    ㅋㅋ...제가 말을 자꾸 간추리다보니ㅠ

  • 그날그날플래너 · 578871 · 15/07/20 17:42 · MS 2015

    그럼 하나만 더 여쭐게요.. 정말 죄송해요 옆에 계시면 커피라고 사드리고싶네요ㅋㅋㅋㅋㅋ
    내부의 +전하가 주변의 -로 전류의 흐름을 형성한다.
    전류의 흐름을 자극으로 받아들여 양 옆 나트륨이온 통로가 열리면서 탈분극 !
    이 과정의 반복으로 흥분이 이동된다.
    맞는 말인가요?

    만약 맞는 말이라면 전류의 흐름을 자극으로 받아들인다는 거니까
    (+)(-)관계없이 자극을 받았다 ! 하면 나트륨이온통로가 열리는 거네요?
    그 자극 중 하나가 전류의 흐름이라는 거구요 ㅎㅎㅎㅎ

  • 이련 · 494862 · 15/07/20 17:54

    네 맞아요
    플러스마이너스ㅠㅠ라고 질문주시면 답변을 제대로 못해드리겠어요

    그리고인강들어보았어요

    흥분의 전도되는과정이 자극받아 나트륨통로가 열려
    나트륨이온이 확산됩니다
    흥분이 a☞☞☞b
    이렇게 a방향에서 b로 전도된다고 하면

    a는 다시 분극 상태로 되돌아가고 b쪽은 탈분극되겠죠?

    이때 a를 분극상태로 만들기 위해 펌프가 이용됩니다(주의★그렇지만 펌프는 항상 작동합니다)
    펌프를 하려면 에너지를 소모하는 능동수송이 이루어지죠.

    그래서 흥분전도는 에너지 소모가 일어나지 않지만 일어난다도 하는 경우가 있어~ 라 하신겁니다

    그러나 문제푸실때 절대! 절대로 흥분의 전도가 에너지를 소모한다라고 답하시면 안됩니다
    소모하지 않습니다!

    흥분이 전도되어~ a는 분극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소모한다라는 선지에서는 에너지를 소모하는게 맞겠죠

  • 그날그날플래너 · 578871 · 15/07/20 19:00 · MS 2015

    감사합니다 ㅜㅜㅜ
    정말 감사해요 !!
    전류의 흐름을 자극으로 인식하여 양 옆의 나트륨 통로가 열리면서 탈분극 !
    감사해요 ㅜㅜ
    전류의 흐름이 자극으로 인식되는 거라면 다 이해가 되네요 ㅜㅜ
    감사합니다 !!! 수능대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