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훈T 궁금하신 분들 들어와보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549056

오르비에서 언급 많이되는 강사중 한명인 댄디킴
생각난김에 한번 끄적여 보려고 들어와봄
(오늘 날잡고 잠깐 2년째 듣고있는 문학론 싹 한번 다시 훑어봤는데 갑자기 생각이 들어서 빠르게 한번 끄적여본거니 가독성 나빠도 이해좀 )
보통 학생들이 문학을 처음 시작하거나 문학에서 크게 어려움을 겪는다면
김상훈T가 수업에서 말하시는 Fact Check보다는 Meaning(의미해석)에 관한 부분에서 벽을 느낄거 같다고 생각이 드는데 (문학론 1~2강내용)
(저또한 그랬었고,,)
혼자서 인강을 안듣고 시중 기출 문제집을 풀더라도 자신이 글자를 제대로 못 읽어서 틀리게된 문제는
풀고체점만 하고 끝내는 학생이 아니라면 "글자 제대로 읽어야 겠다" 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음.
(가끔 댄디킴이 당연한얘기만 한다한 사람들은 이부분에서 그런듯?)
반면에 Meaning에 관련한 의미해석에 관한 일부 지문내용혹은 선지들은 문학에서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이라면 졵나게 어려울 수 밖에 없음.
본인도 실제로 mbti에서 T가 95% 정도를 차지해서 어떤 문학 작품을 읽더라도 감수성이라고는 전혀없는 그런 사람이었어서 처음 문학 공부할때 독서보다 더 벽을 느꼈던거같음.
살면서 처음본 비문학이 헤겔지문이었는데 이건 많이틀리더라도 해설지 보면 답이 명시적으로 딱 수학처럼 나와서 이해라도 가는데 ㅋㅋㅋ
문학은 처음할때 오답률 높은 일부 문제들에서
"내가 국어씹갓이 되려면 문학에서도 이런 의미해석을 유기적으로 해야되겠는데 ㅅㅂ 그게 될라나..?" 라고 생각했었는데,
작년에 문학론 듣기 시작하면서 듣자마자 바로 내가 잘못 생각하고 있었구나를 알게됬음
유기적으로 독해하는게 아니라 쓰여진대로 사실적으로 독해해야 된다는것을 ㅋㅋㅋ (많이들 말하는 문학의 독서화)
또 하나 더
선지에서 담담한 어조가 나오면
내가 문학노베일때 하던짓은
일단 글을 다시 찬찬히 읽어보면서
"아 ㅅㅂ.. 이정도면 담담한거겠지..?" 정도로 야매로 선지판단을 했었는데 ㅋㅋㅋㅋ
김상훈T는
"주변 글자"를 통해 생성되는 "맥락"을 통해서 의미해석
혹은 A<-->notA 통한 선지판단
등 주관적인 나혼자만의 해석을 통해서 선지판단하는게 아닌 작품 자체에 쓰여진 그대로를 통해서 선지판단 하라는 태도 교정이 정말 도움이 많이 됬던거같음.
옯비에 있는 씹갓형님들은 당연하다 생각하는사람들 수두룩하겠지만 , 혹시라도 최근 자기가 문학고자라고 생각이 들거나 과거의 나처럼 수능문학공부를 거의 해본적 없는 학생들은 김상훈T 문개매 문학론 유네스코 6평까지 조져보시는거 강추함.
참고로 문학을 본인이 쫌 친다해서 볼륨 ㅈㄴ큰 강민철이나 김상훈 듣기엔 시간 아깝다 하시면
피램이나 이원준 문학 강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안되겠다 1
12시에 나도 옛날 사진 올려봄 차마 지금 사진은 못올리겠어
-
뭔가 끌리는데
-
집간다 0
12시에 봅시다
-
힝 놀자공.
-
극한상쇄 0
영상제목이 왜....? @gosomi math
-
나 ㅇㅈ하면 3
여기서의 컨셉이 다 빨간약되어버려서 무서움뇨 ㅠㅠ
-
뭐야 뭔데.. 근데 그것보다 왜?
-
[단독] 삼성전자, V10 낸드부터 中 YMTC 특허 쓴다 1
삼성전자가 V10(10세대)부터 새롭게 채용되는 첨단 패키징 기술인 '하이브리드...
-
3~4만원대까지 괜찮아요 방에둘거에요!
-
맞팔구 0
-
교원대 초등교육과 희망하는데 미적분 가산점 무시하고 확통해도 괜찮은가요? 0
교원대 초등교육과 희망하는데, 교원대 초등교육과는 미적분에 가산점 10%를...
-
범준t 스블 1
스블 수 2는 다하고 수 1은 단위원 파트랑 수열쪽 등차수열만 안했습니다. 근데...
-
추ㅜ어요 4
감기조심하세요
-
알려조
-
일을 해야하는데 6
과외나 조교 외에는 하고싶지가 않다
-
예고 홈런와 맞먹는 예고 ㅇㅈ
-
12시에 봅시다 3
-
너넨 충치 안 생기게 미리미리 양치 잘 해라 이빨 존나 시리네 하....
-
??
-
평가원 기출변형 아는 사람은 걍 가비의리 써서 10초컷하고 모르는 애들은 시간...
-
감동이 있다
-
존예 ㅇㅈ 은 못 참지
-
오늘은 그런날입니다
-
전역 100일 남았는데 결국 전남친이랑 재회하고 마음이 좀 힘들어서 일상생활이 잘...
-
시x비x님의 요청으로…;;; 12시 정각 합동 1분 ㅇㅈ… 정말 마지막입니다 저번...
-
그만 맛잇어라
-
10시까지
-
다만 과년도 재탕이라 아쉽.. 하이엔드를 평생 11문제 밖에 못품
-
앙드레 말로 0
오랫동안 꿈을 그리는 사람은 마침내 그 꿈을 닮아간다
-
어디가 낫나용??
-
여기서 0
동기랑 후배 한 명 찾았다... 근데 다들 왜 이렇게 얌전해
-
조선치 추가모집 4
12112면 넣어볼만 한가요?
-
평가원 입장에서 되게 잘낸 시험임 96에 2가 2칸인게 ㄹㅇ 개억까
-
케이스 필름이 뭐 테이프로도 안 떼지고 손톱으론 긁어지지도 않는데 다른 방법 있나요..
-
수1 기출 내신때 하고 한번 다시 봤는데 진짜 삼활은 퀄리티 지리네
-
오르비에서 유학 컨설팅을 진행한다면 얼마나 많은 수요가 있을지에 대한 시장수요...
-
여자친구 구함 4
잘해줄 자신 있음 귀여우면 장땡
-
맥주... 0
맛있당 히히
-
롤체 접음 2
뭣같아서 못하겠음
-
이유가 뭐냐고 물어보면 뭐라고 답해야함? 그리고 언제까지 나가는게 맞음? 다음결제일...
-
신기 방기
-
무물보해주십쇼 12
선넘질 ㄱㄴ 이상한 건 놉
-
3분에 하나씩 썻는데 이젠 귀찬기도 하고 늙엇나보오(?)
-
ㄱㄱㄱ
-
과생활 안하고 개씹히키코모리로살거싶은데 그러자니 타학교 동일전공에 아는사람도없고
-
혼자 먹었는데도 5만원이 나가네
문개매,문학론 다들었는데 듄탁해,유네스코 병행할까요 아님 유네스코부터 끝내고 듄탁해 할까요
병행추천드림요.
문학 유네스코는 일단 기출이니 최우선시 되어야는게 맞겠고
듄탁해도 연계강좌 나중가서 들으려하면 꽤 골치아파져서 지금쯤부터 미리미리 들어놓으시는게 좋을듯
파이널에 남들 A급 연계 찾고있을때 미리 짬나는시간에 다 해놓고 독서 더 공부하는게 효율적임
문학론 듣고 있는데 일단 끝내고 유네스코 하는 게
나을까요? 아니면 병행이 나을까요?
끝나고 하시는거 ㅊㅊ
문학론은 장르별로 정리해나가는 느낌인데
유네스코는 연도별 기출 구성인지라 아무래도 문학론 다 듣고나서 유네스코로 추가적인 체화해주는게 좋지 않나? 싶음
문학론 장르별로 유네스코 계획표 세워져 있어요
혹시 어디서 확인할 수 있나요..?
공지사항에요

오 이런것도 있었네유네스코 알파도 해보셨나요?
ㄴㄴ 216 현강러여서 주간지에 들어있는 문학기출도 보면서해서.. 알파는 아직 안해봤어요
아마 조만간 풀어보긴할텐데 해설 유네스코식으로 비슷하지않을까 싶어용
여쭤보고 싶은게 있는데 쪽지 드려도 될까요?
문학론 독서론 완강했습니다
1. 보통 하루에 비문학 문학 몇 개씩 하는게 좋나요?
2. 5월에 듄탁해 들어가도 안 늦을까요?
1.사람마다 기준이 다른 지라..
저는 작년에 문학론 독서론 완강하고나서는 유네스코로 하루에 딱 시험지 한세트 분량만큼 독서문학 풀고 분석 했었던거 같음요
2. 늦어지더라도 6평 전에만 들어가셔서 꾸준히 짬 조금씩만 내셔서 해주시면 ㄱㅊ을듯요
답변 감사합니다!!!
댄디킴이 고전소설 관계도 그리라는거 다 그리셨나요?
지문 읽으면서 그리는데 새로운 인물이 계속 나오니까 막 휘갈기게 되서 시간만 잡아먹고 나중엔 깔끔하게 정리도 안되있어서 사실상 그리는거 반포기상탠데...ㅋㅋㅋ
구조도 그리는거 익숙해지셨는지 궁금하네요
아무래도 전 216도 듣다보니 그리는건 손으로하던 머리로 하던 전부 강사처럼 정확하게는 못하더라도 익숙한 상태인거같긴해요..ㅋㅋㅋㅋ
고전 소설 애초에 박광일,김상훈 등 모두 처음 공부하면 인물관계도 그려보는 연습하라는데는 이유가 있다고 생각해요
처음엔 당연히 안 익숙하셔도 수능때까지 기출 계속보시면서 지문옆에그리던 지문위에 그리던 머리로그리던 익숙해지도록 하면 좋을듯요?
볼륨이 커서 문학론까지 들으려 하는데 유네스코도 필수일까요??
문학은 거의 필연적으로 기출을 가지고 공부해야하는데 어차피 기출문제집사야되서 살거면 유네스코 사시는게 좋긴하겠죵..?
문학론 14강정도이고 완강하고 문개매 할건데 유네스코 있는데 그냥 순서대로 조금씩 풀면서 수업때 배웠던거 생각하면서 풀고 해설보고 잘 체화했는지 확인하고 이런식으로 하면 되는거겠죠..?

문학론 완강후유네스코 해설지 정독하면서 사고과정등 비교하는게 제일 얻어가실게 많으실거에요
아 그리고 유네스코 알파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작년 문학 5개 틀렸는디 문학론(강의) + 문개매(독학)으로 하먄 될까요??
문학5개 틀리신거면 현강버전으로라도 문개매 강의 까지 들으시는게 어떠실까 ..? 싶어요
두 개 하시고나서 유네스코까지 제대로만 하시면 웬만하면 문학은 틀릴일은 없을거에요
그 다음은 이제 문학론 내용 유네스코에 반복하고 그릿도 풀고하면서 계속 체화 연습하고 , 듄 연계 강의도 보고 해서 조금씩 시간 줄여 나가는 연습하는거고요
일단은 문학 현재실력이 그닥이시라면 문재푸는 속도보다는 상훈T 가 알려주시는 독해법 문풀법 등등 얼마나 정확하게 따라하고 있는지 정확도 위주로 하시면 좋을듯용
문학 하나도 안 틀렸고 강기분 수강 중인데 김상훈으로 갈아타도 무방한가요? 뭔가 글자 그대로 읽는다는 거에 큰 매력이 느껴져서요 ㅜ 제가 잘 못하던 부분이라,,
뭐좀 여쭤봐도될까요?
문학론 공부할 때 복습 제대로 안해서 지금 문학론 다시 보고 있긴한데(교재만요) 그냥 대충 빠르게 넘기고 유네스코로 사고 과정 보완해도 될까요
보기문제가 제일 어려운 사람인데 김동욱 커리 타고 있습니다! 문학론 들으려하는데 문개매도 필수일까요..? 아니면 책만 사서 문개매는 독학만 해도 되려나여
현대소설이랑 고전소설 보기 두문제씩 계속 틀리고 소설 읽는 속도도 느린데 문개매랑 문학론 중에 뭐 들어야할까요? 둘 다 들어야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