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14 · MS 2022

    나방 떼들을 죽이는 것이 전쟁의 실상을 겪는 것이 맞는가 이거부터 틀렸는데요

  •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15 · MS 2022

    시각을 통해서는 (전쟁을 겪으면서 얻게 된)현실에 대한 체념을 드러낸다

  •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15 · MS 2022

    보기에서 서술어랑 수식어 구분 하시면 될듯요

  • Doriong · 1025427 · 23/03/16 21:22 · MS 2020

    그리고 제가 설명드린 글을 보시면 ‘시각을 통해서’라는 조건은 사용하지 않기도 했어요

  •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23 · MS 2022

    보기에 조건이 있잖아요..

  •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24 · MS 2022

    그냥 저 측면을 따져 볼 이유가 없어요 정오판단에

  • Doriong · 1025427 · 23/03/16 21:30 · MS 2020

    보기에서 (전쟁의 실상을 체험하면서 갖게 된)이라는 문장이 수식어이므로 지문에 나타나있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이신가요?

  • Doriong · 1025427 · 23/03/16 21:31 · MS 2020

    보기와 지문은 완벽히 대응되어야 하는걸로 알고 있어서요.. 국어 선생님께서도 그렇게 말하셨고

  •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32 · MS 2022

    전쟁의 실상을 체험하면서 갖게 됬다잖아요 체념을 보기에서 그렇다면 그런거예용

  •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33 · MS 2022 (수정됨)

    보기와 지문은 완벽히 대응은 애초에 그냥 저기에 시각이 나와있으면 체념적 태도가 드러난다라고 보기에서 말을 햐주면 시각이 있으면 체념적 태도가 드러난다로 대응시키는겁니다 보기에서 말해주는 정보에 의심을 가지는게 아니라

  •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36 · MS 2022

    현대시에서 전쟁 후 실상을 나타내는지 그냥 자연재해 들어닥친건지 그냥 암울한건지 그런 분위기에서 보기가 전쟁 후 실상을 나타낸다!라고 말해주면 전쟁 후 실상이라고 생각하는거랑 같은 원리예요 여기서 뭐가 나타니까 전쟁 후 실상이 아니라

  •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50 · MS 2022

    그리고 대응시킨다면 ’한편‘ 전의 내용에 대응시키는게 올바르다고 생각해요

  • Doriong · 1025427 · 23/03/16 21:18 · MS 2020

    피램 해설지에 시각의 경우 전쟁의 실상을 체험하면서 갖게 된 현실에 대한 체념까지 드러낸다고 써져있어요

  •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21 · MS 2022 (수정됨)

    아니 전쟁을 실상을 체험하면서 갖게 된 현실에 대한 체념을 드러내는거 맞는데 저 나방 떼 장면이 전쟁인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시각이 드러나면 체념을 드러낸다라는 내용이 틀렸다고 할 수 없어요

  •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22 · MS 2022

    그냥 문학 공부를 더 하시는게.. 님처럼 하나하나 다 저렇게 하면 논란 생길 여지 다 만들 수 있음

  • Doriong · 1025427 · 23/03/16 21:47 · MS 2020

    감사합니당 ㅎㅎ완벽히 이해됐어요 필기가 난잡해서 국어선생님도 수식어인지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신 것 같네요

  • 얼각이 · 1186511 · 23/03/16 21:51 · MS 2022

    제가 틀렸다 한 부분은 선지 정오판단에 쓰이는 생각이 틀렸다는 부분인데 말을 좀 애매하게 썻네용 이 부분도 생각해주세용

  • 0.08206 atm*l/mol*k · 1175922 · 23/03/16 21:16 · MS 2022

    나방 따위야 아무 것도 신기할 것이 없지 라고 되있지 않나요

  • Doriong · 1025427 · 23/03/16 21:19 · MS 2020

    운전을 하면서 긴장했기 때문에 나방이 죽는 것이 신기하지, 평소와 같이 차분하다면 나방이 죽는것이 신기하지 않다는 말 같습니다

  • 김삐삐 · 1220214 · 23/03/16 21:31 · MS 2023

    동의못하겠어요

  • 으나양 · 1151333 · 23/03/16 21:37 · MS 2022 (수정됨)

    나방이 차창에 부딪혀 죽는 것을 목격했는가? O
    A-'나'가 전쟁의 실상을 깨달았는가? X -> 여기서 틀렸으므로 이후 판단은 의미X
    A문장이 틀린 근거는 보기에서 전쟁의 실상을 ""체험""한다고 했지 깨달았다고 서술하지 않았습니다. 깨달음을 허용하려면 몰랐었는데-->알게됨을 지문을 근거로 이끌어내야 하는데 근거가 없으므로 이를 깨달음으로 허용한다면 뇌피셜이 개입된 것이다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전에서 저라면 다른선지의 정오를 판단하여 풀 것 같네요.
    몰랐었는데-->알게됨을 찾는건 어려우니깐요
  • Doriong · 1025427 · 23/03/16 21:47 · MS 2020

    이런 부분에서도 틀렸을을 알 수 있네요 감사합니당

  • thyart · 1167644 · 23/03/16 22:01 · MS 2022

    전쟁상황에대한 긴박감이 있지 체념적 현실인식 자체가 나방사건하곤 아무 관계가 없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