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오개념 조심하시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365619
2021년 수능이 치뤄진 이후 커뮤니티 그리고 뉴스를 뜨겁게 다룬 두 문항이 있습니다.
공교롭게도 두 문항 모두 생명과학 문항이었고, 그 중 한 문항은 저 포함 여러 선생님들을 재판장으로 이끈 다시 나와서는 안되는 문항이었네요
22 수능 생1 - 오개념 논란 | 22 수능 생2 - 명백한 오류 |
사실 생2의 여파에 감춰졌을 뿐 생1 또한 생리학적으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는 문항이었으나
다른 선지들이 명백하게 틀려 고를 선지가 하나뿐이어서 유야무야된 경향이 있었습니다.
해당 개념이 활용된 문항, 그리고 비슷한 생리학적 오류가 있는 문항이 24학년도 수특에 있어 올해는 조심하셨으면 하여 글을 올립니다.
22 수능 생1 - 생리학적 Issue | 24학년도 수특 생1 - 유사 문항 |
시상 하부는 다음과 같은 메커니즘을 통해 체온 변화를 인지하고 조절합니다.
24학년도 수능특강 - 체온 조절 과정 | 인체생리학 7판 - 라이프사이언스 - 716p |
이때 "정상" 체온이라는 전제 하에 높은 환경적 온도에서, 말초적 수용기가 이를 감지하고 체온 조절 중추(시상 하부)에 정보를 보내 다음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 | |
인체생리학 7판 - 라이프사이언스 - 717p | 인체생리학 7판 - 라이프사이언스 - 715p |
issue의 핵심은 715페이지의 '설정 온도'입니다. 설정 온도는 상황(저체온, 열탈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보통 한정된 범위(35.5~37.7도)에서 설정되며 22학년도 수능 문항의 ㄷ 선지는 "정상 체온"을 가정하고 "높은 환경적 온도"를 전제하였으나 생리학적으로 다음 경우에 이슈가 됩니다.
"체온이 35.5도이고, 36도의 물체를 만졌는데, 시상 하부의 설정 온도는 36.5도이다. 그래도 땀 분비량이 증가하는가?"
![]() | |
22학년도 9평 생1 | 22학년도 수능 생1 |
(설정 온도 개념은 당해 수능의 경향을 안내하는 당해 9월 평가원에서도 친절하게 안내되고 있습니다.)
시상 하부의 설정점(설정 온도) 입장에서 36도는 환경적 온도에 있어 - 이고, 체온의 입장에서 36도는 온도에 있어 +입니다.
이와 같이 문제가 있는 선지이나 학생 분들 입장에서는 다음 3가지 중 하나셨을거라 생각합니다.
1. 해당 문제의 쟁점을 ㄱ 선지에 맞추셨거나
2. ㄱ, ㄴ이 틀리다고 판단했을 때 맞는 선지가 ㄷ 선지여서 고민 없이 넘어갔거나
3. 설정 온도 개념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민하지 않으셨거나
그러나 이제 재출제될 경우를 대비해서 이 개념을 정확히 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24학년도 수능특강 문항과 해설을 보겠습니다.
혹여 위 문제가 궁금하시다면 위로 가셔서 풀고 오시는 걸 권장드리겠습니다.
.
.
.
.
.
.
.
24학년도 수특 생1 - 유사 문항 | 유사 문항 해설 |
ㄴ 선지 해설을 봅시다.
㉠에서 땀 분비량이 증가한 것은 시상 하부가 체온보다 높은 온도를 감지했기 때문이고,
㉡에서 열 발생량이 증가한 것은 시상 하부가 체온보다 낮은 온도를 감지했기 때문이다.
정확하게는 시상 하부는 체온, 그리고 체온보다 높은 온도를 감지한 것이 아니라
시상 하부의 설정 온도보다 온도가 높아지면 그에 따른 메커니즘을 수행하는 것이고
![]() | |
인체생리학 7판 - 라이프사이언스 - 717p | 인체생리학 7판 - 라이프사이언스 - 716p |
이 역시 앞서든 반례와 유사하게
체온이 35.5도이고, 체온보다 뜨거운 물이 36도이며, 시상 하부의 설정 온도가 36.5도일 때 문제가 됩니다.
* 해당 24학년도 수특 유사 문항에 대한 첫 Issue 제기는 메가스터디 러셀 '이석준' 선생님께서 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냥 죽는다생각하고 23학점들을까 어차피망한거 우주공강채우게 현재 20학점임
-
ㅇㅇ…;;
-
나는 왜 시간을 낭비하는가 중독이란거 참 어렵네
-
피터 = 베드로 야곱 = 제이콥 안드레아 = 앤드류 요한 = 요한, 존 다윗 =...
-
카페인 0
을 이시간에 먹으면 안되겠지
-
당장 선생이 쓰는 태블릿 싯딤의 상자인데 싯딤이 아카시아 나무라는 뜻이고 아카시아...
-
신은 존재한다 4
그의 이름은 n-buna이다.
-
성별 : 남 , 취미 : 여장 화작, 확통, 생윤, 윤사 현역 24343 재수...
-
전공 필수 2 교양 필수 2 교양 선택 1-2 이정도가 정배인가요?
-
좀 찔리네 물수능이어서 잘?본건가 근데 평소보다 국수 못봤는데ㅠㅠ
-
귀엽죠 5
(\_/) ( • .• ) />❤️ 비추 ㄴㄴㄴㄴ
-
4페보다 2,3페가 어려운 과목이 있다?! 확실히 4페가 할만함
-
geogbra같은데서 그래프를 그려보려고 하면 뭔가가 뭔가임... 그림 예쁘게...
-
패드로 문제? 3
페드로 포로 엌 ㅋㅋㅋㅋ
-
관우,유비,장비,조조,기타등등 삼국지 등장인물 현재다죽음 ㄷㄷ
-
이게 1컷이 87이라고..? 마가꼈나 다틀리는데 ㅠ
-
그건 야스메타에요 같이 야스하실분 구해요
-
성경 내용을 알면 시야가 넓어진달까나요 특히 서구권 작품들 영화 아바타부터...
-
애니관련xx
-
예수메타임? 8
예수의 시그니처 손모양민철쌤의 시그니처 손모양.. 예수 = 강민철
-
.
-
대충 맞는 것 같음?? 삼국지 안 읽은 비교양인이라 우럿서
-
아 1
저축했더니 통장에 돈이 22457원밖에없어 이걸로 3일살아야돼 미치겠네
-
벌써졸리네 3
하지만 참겠읍니다
-
추가로 몇 분 잡는 게 비슷한가여
-
22국어(중3 겨울에 풀었음) 화작 3등급 24국어 화작 3등급 25 6모 언매...
-
그니까 과거의 나야
-
오르비카페인삼각함수
-
시발점 보기는 ㅈㄴ 싫은데 개 컴팩트한 개념강의 츠천좀 복습용으로 ㄱㄱ
-
26수능 난이도 4
.
-
이 정도의 보편적 여장 기술은 상식 아닌가;
-
X(당시엔 트위터)에서 그런 거 좋아하는 사람들이 예수랑 유다 커플링으로 묶어놓고...
-
참고로 본인은 천주교 신자로 유아세례 받고 성실히 성당 다니는 중임 나는 천주교...
-
그것은 부모님의 기대를 배신하고 또 수능을 보는 you다.
-
동유럽이나 섬나라는 안 나올거같은데 미국, 서유럽은 그냥 점 세개 확대해서 찍어놓고...
-
좋지 않네
-
진짜 물수능 맛봤다고 반수 ㅈ으로 생각하는 애들 오ㅑㄹ케 많냐 7
24수능 끝나고는 거의 없었는데 25수능 끝나고 반수하겠단 애들 에타에 수두룩 빽빽이네 ㅋㅋㅋㅋ
-
새르비란 뭘까 2
새르비 터줏대감입니다
-
예비 고3이고 지금 강기분 문학/독서/언매 듣고 있음 문학/독서는 1.2배 분량으로...
-
이때가 공부 폼이 가장 좋았을때 같음.. 그때 어케한건지 모르겠음 지금 너무 퇴화함.
-
현역부터 재수때까지 국어는 인강 안 듣고 진짜 걍 문제만 좀 푸는 정도로 공부하다가...
-
생각보다 알게모르게 저 소재를 차용한 문학이나 영화, 만화작품이 꽤 있음 근데 저걸...
-
진짜임?
-
할게너무많음 내일 아침부터 과외가야대..
-
킹바다아ㅛ여ㅛ
-
물리 지구 딱대
-
하나만 골라줘 2
ㅇㅇ
논리적으로 정리를 잘해주셨네요. 생1수험생들은 이 글 정독해보시기를 추천합니다.

존경하는 석준 선생님! 친히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 항상 응원합니다!Hyunu님 칼럼 잘 읽었습니다.그런데 궁금한 점이 하나 있는데, 체온 항상성 문제들을 보면 분명 텍스트로는 시상하부 온도 상승>덥다고 인식>체온 낮출려함>발생량 감소 발산량 증가>체온 낮아짐
이렇게 순서와 인과적으로 배웁니다.
그런데 막상 그래프로 제시된 문제들을 보면 완전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처럼 그려지는데, 그럼 위의 순서들이 의미가 없는것 아닌가요?
직관적으론 순서가 있는게 확실한데 아니면 우리 몸의 위의 일련의 작용들이 순서는 분명 존재하지만 '거의' 동시에 이루어져서 체감상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처럼 느껴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생명과학강사 이석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과 관련하여
2023.10.시행 교육청
생1 19번 기출문제를 풀어보시면
인과관계, 시간의흐름에따른순서가
존재한다는것을 아실수 있을겁니다~
앗!! 이미 입시가 끝나서 이제는 상관없긴 한데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의대에 진학하면(붙길 ㅠㅠ) 더 자세히 알아봐야겠어요!!
제가 작성하신 글을 너무 늦게 봤네요..ㅜㅜ
아무쪼록 부디 좋은결과 있기를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