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교육기회의 평등 중 접근 기회 평등 도와주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35707
사회문화-교육제도 단원에서 교육기회의 평등이 나오고, 그 교육기회의 평등이
교육결과의 평등/접근 기회의 평등으로 나오잖습니까?
근데 교육결과의 평등이 역차별을 일으킬 수 있다는 건 아는데, 접근기회의 평등은 역차별을 부르는지 부르지않는지 학교에서 논란이 되어서요.
혹시 접근기회의 평등이 역차별을 초래하는지 아닌지 아시는 분 없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1덮 93 맞았는데 이감보니까 70점대 뜨는데 이감 이번꺼 어려웠나요?
-
영월이라서 갑입곡류인건 알겠는데 사진보면 저게 왜 감입인가요 아무리 봐도 지형이 ㅈㄴ평평한거 같은데
-
더프 결과 언매 93 배경지식 개사기임 이거 확통 84 ㅅㅂ,,, 영어 92 듣기...
-
11시 11분 0
11 11
-
아파트이름,,,,,
역차별의 개념을 검색해보시면 없다는걸 알 수 있어요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4111001070821076001
이런 경우는 '역차별'이 아닌가요?
모든 학생이 학교를 다닐 수 있게 하는 것을 포퓰리즘이라고 주장하기 매우 어렵구요 이 과정에서 차별이 나타났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역차별의 정의를 검색해보셔용
검색했습니다. 다만 논란의 여지가 '있지'않을까해서요.
예를 들면, 지방 학생들의 '접근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로스쿨을 지방에 분산하여 짓는 것은
오히려 능력이 뛰어난 '수도권' 학생들의 접근 기회를 '제한'하는 역차별이 되지 않을까요?
그런 의미의 교육기회의평등이라면 가능하겠지만 일반적으로 말하는 교육기회의 평균은 고등교육을 제외한 부분을 얘기하는거죠 사실
시험문제로 " '교육 접근 기회의 평등'은 역차별이 발생한다."라는 선지가 아니라는데 선생님께서 설명을 못해주셔서요. 답답하네요, 어딜 찾아봐도 명확하게
일어난다, 일어나지않는다가 없네요.
그런 문제를 낸 선생님 자격부터 의심해야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