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묘정 [1209832] · MS 2023 · 쪽지

2023-03-05 16:55:48
조회수 3,377

[2023학년도 수능(2022년 11월) 41번 제목 정답: 최빈 정답-가장 긴 선택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314975

악플에는 무대응하겠습니다. 저 역시 정말 바쁜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교육과정평가원의 수능 영어 문제가 정답 논란이 없는 세계 최고의 영어 문제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의 의견도 저는 존중하고 싶습니다. 수능 영어가 아이엘츠, 토익, 토플보다 더 완성도 있는 시험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의 의견도 저는 존중하고자 합니다.>


수능 영어를 가르쳐 보니 문제가 너무 이상했습니다. 문항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다보니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습니다수능 영어만 가르쳐야 하고 수능 영어 대로 내신 시험을 출제해야 하는 저로서는 수능 영어가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큰 걸림돌이라고 판단하고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리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를 폐지해야 하는 이유와 폐지하면 좋은 점

1) 수능 영어는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 제대로 개선된 적이 없는 시대에 뒤떨어진 시험이다.

2) 수능 영어를 폐지해도 대학교를 입학하면 토익, 토플, 아이엘츠와 같은 영어 본고장에서 출제하는 공인 영어 시험을 평생 많이 치게 된다.

3) 수능 시험의 과목수가 줄어들어 수험생과 시험 감독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4) 시대에 뒤떨이진 수능 영어에서 벗어나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영어를 교사의 소신에 따라 가르칠 수 있다.


수능 영어는 정답 논란이 없는 좋은 문제라고 주장하는 분과의 댓글 논란이 참 힘들었습니다. 수능 영어는 정답 논란이 없는 문제라기보다는 문제 유형별로 정답이 고정된 문제입니다. 정답 논란이 없는 영어 문제를 출제하려는 교육과정평가원의 입장은 저도 이해되지만 30년 가까이 시대의 흐름에 맞게 수능 영어 문제를 개선하지 못하는 교육과정평가원의 자세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수험생, 학부모님께 여쭙고 싶습니다. 제가 악플 각오하고 수능 영어영역의 한계점을 알리는 이유는 학생들이 더 나은 영어를 배우기를 원하고 어린 영어선생님들이 더 나은 영어를 가르치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저는 저처럼 25년간 수능 영어를 고등학교에서 가르쳐온 사람만이 할 수 있는 역할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의 생각을 바꾸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저는 잘 알고 있습니다. 저 역시 힘들고 바쁜 일상을 살아가야 하는 사람이기에 악플에는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습니다. 정답 논란이 없기에 수능 영어영역의 정답이 해마다 문제 유형별로 특이하게 반복되는 건 전혀 문제가 아니다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저는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리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고 있으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수능 영어 정답을 고를 수 있습니다. 이는 공정성과도 연결됩니다. 영어 외적인 요소로 정답에 대한 결정적인 힌트가 된다면 과연 공정한 영어 시험이라 할 수 있는지 수험생, 학부모님, 영어선생님께 여쭙고 싶습니다.


제가 원하는 수능 영어 폐지가 무슨 힘이 있겠습니까? 다만 제가 제 힘든 삶의 시간의 쪼개어 수능 영어 분석을 한 자료는 우리나라 영어교육 개선을 위한 아주 작고 보잘 것 없지만 어쩌면 저보다 더 큰 힘이 있는 분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단초가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25년 가까이 고등학교에서 수능 영어를 가르치면서 크나큰 좌절과 한계를 느꼈습니다. 그래서 수능 영어의 특이한 정답 분포를 알리고 있습니다.



<홀수형/짝수형 선택지 배치 순서 다름>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 41번 제목

정답 ① 가장 긴 선택지

최빈 정답인 가장 긴 선택지가 정답으로 출제되었습니다.

 

참고로 6월 모의평가와 9월 모의평가는 부정행위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치러지지 않고 단일 형태로 실시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은 부정행위를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나누어서 실시되지만 문제의 특성상 홀수형과 짝수형에 동일하게 인쇄되는 문제 유형이 있습니다. 제목 문제는 (최근)24, 41번으로 2개 출제되며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에 따라 선택지 순서가 달라집니다.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22,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번 1개만 제목으로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23,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

 

이번에 보고 드리고 싶은 문제는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과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으로 출제되는 ‘제목’입니다.

 

시험 문제 정답은 가장 짧은 거나 가장 긴 거다는 말에 가장 충실한 문제가 "제목"입니다.

 

--------------------------------------------------------------------------------------------------------------------------------------

 

최근 7년 간 모평, 수능 제목 2개 정답 비교 ( 24번 vs 41번)

※ 참고

① 41번 제목 문제는 장문 독해 지문으로 출제됩니다.

② 21번, 22번, 23번, 24번 제목 문제는 모두 24번으로 분류했습니다.

③ 21~24번 제목 문제는 한 단락짜리 독해 지문으로 출제됩니다.

 


24번 제목41번 제목
가장 짧은 선택지5번6번
두번째 짧은 선택지4번1번
세번째 길이 선택지1번4번
두번째 긴 선택지3번3번
가장 긴 선택지12번8번
합계25번22번

 

-----------------------------------------------------------------------------------------------------------------------------------------

 

보통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으로 출제되는 한 단락짜리 제목 문제의 정답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25개의 한 단락짜리 제목 문제 중에서 가장 짧은 선택지 5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4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1번, 두 번째 긴 선택지 3개, 가장 긴 선택지 12번의 정답 분포를 보였습니다.

 

-----------------------------------------------------------------------------------------------------------------------------------------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으로 출제되는 장문 지문에서 출제되는 제목 문제의 정답 분포는 다음과 같습니다.

 

22개의 장문 지문에서 출제되는 제목 문제 중에서 가장 짧은 선택지 6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4번, 두 번째 긴 선택지 3개, 가장 긴 선택지 8번의 정답 분포를 보였습니다.

 

------------------------------------------------------------------------------------------------------------------------------------

 

< 24번, 41번 제목 종합> 

 

24.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과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으로 출제되는 ‘제목’ 문제의 정답 경향을 종합하겠습니다.

 

‘시험 문제 정답은 가장 긴 것이나 가장 짧은 것이다.’는 말에 가장 부합하는 문제가 수능 영어영역 ‘제목’ 문제입니다. 다음 제목 문제 정답을 카운팅해보니 47개의 제목 문제 중에서 가장 짧은 선택지 11개, 두 번째 짧은 선택지 5개, 세 번째 길이 선택지 5개, 두 번째 긴 선택지 6개, 가장 긴 선택지 20개의 정답 분포를 보였습니다.

 

‘제목’ 문제는 가장 긴 선택지가 정답으로 가장 많이 채택되며 가장 짧은 선택지가 다음으로 정답으로 설정됩니다. 47개의 제목 문제 중에 가장 긴 선택지 20개, 짧은 선택지 16개(가장 짧은 선택지 11개 + 두 번째 짧은 선택지 5개)가 정답으로 출제되었습니다.

 

-------------------------------------------------------------------------------------------------------------------------------------

제목 문제 발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21~22]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41. 윗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3.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2~23]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최근 7년 모평, 수능 24번 제목 정답 counting>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22,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번 1개만 제목으로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23,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5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24.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24.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4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2.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24. ④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24. ②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24.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 ④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3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23.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24. ① 두 번째 긴 선택지

 

12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23.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23.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24. ④번: 가장 긴 선택지(⑤번 선택지와 길이 거의 비슷)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24. ③번: 가장 긴 선택지(②,③번 길이 동일)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24. ②번: 가장 긴 선택지

 

---------------------------------------------------------------------------------------------------------------------------

<최근 7년 모평, 수능 41번 제목 정답 counting>

 

6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41. ⑤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②번 선택지와 길이 동일)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41. ③ 가장 짧은 선택지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41. ② 가장 짧은 선택지

 

1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41.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4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41.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41.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41.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41.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3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41. ①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41.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41. ③ 두 번째 긴 선택지

 

8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41. ③번: 가장 긴 선택지(②,③번 길이 동일)

 

-----------------------------------------------------------------------------------------------------------------------------------

 

<최근 7년 모평, 수능 제목 24번 + 41번 정답 counting>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22,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번 1개만 제목으로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23,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11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41. ⑤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24.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41.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②번 선택지와 길이 동일)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41. ③ 가장 짧은 선택지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41. ② 가장 짧은 선택지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24.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5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2.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41.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24. ④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24.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24. ② 두 번째 짧은 선택지

 

5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 ④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41.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41.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41.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41.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6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41. ①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23.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41.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24. ① 두 번째 긴 선택지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41. ③ 두 번째 긴 선택지

 

20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23.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23.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41.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24. ④번: 가장 긴 선택지(⑤번 선택지와 길이 거의 비슷)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24. ③ 가장 긴 선택지 (②,③ 길이 동일)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24. ②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41.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41. ③번: 가장 긴 선택지(②,③번 길이 동일)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