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묘정 [1209832] · MS 2023 · 쪽지

2023-02-28 17:16:25
조회수 7,003

[2023년 수능(2022년 11월)] 어구 빈칸 32번, 33번, 34번 정답: 짧은 선택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251014

수능 영어를 가르쳐 보니 문제가 너무 이상했습니다. 문항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다보니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만 가르쳐야 하고 수능 영어 대로 내신 시험을 출제해야 하는 저로서는 수능 영어가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큰 걸림돌이라고 판단하고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리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를 폐지해야 하는 이유와 폐지하면 좋은 점

1) 수능 영어는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 제대로 개선된 적이 없는 시대에 뒤떨어진 시험이다.

2) 수능 영어를 폐지해도 대학교를 입학하면 토익, 토플, 아이엘츠와 같은 영어 본고장에서 출제하는 공인 영어 시험을 평생 많이 치게 된다.

3) 수능 시험의 과목수가 줄어들어 수험생과 시험 감독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4) 시대에 뒤떨이진 수능 영어에서 벗어나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영어를 교사의 소신에 따라 가르칠 수 있다.


한 단락 내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에 빈칸이 뚫리며 핵심은 간단명료해서 어구 빈칸 문제는 비교적 짧은 선택지가 정답으로 선호되며, 가장 긴 선택지는 정답으로 거의 출제되지 않습니다.

 

(2) 어구 빈칸 문제에서 가장 짧은 선택지는 3~4개 출제되는 어구 빈칸 문제에서 최소한 한 번은 정답으로 설정되는 경향이 강하며 최빈 정답입니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2년 11월) 홀수형

32. ②: 두번째 짧은 선택지

33. [3점] ①: 가장 짧은 선택지

34. [3점] ⑤ 가장 짧은 선택지



<홀수형/짝수형 선택지 배치 순서 다름>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 32번 빈칸

정답 ② 두번째 짧은 선택지

※ 32번 어구 빈칸는 홀수형과 짝수형에 따라 선택지 순서가 달라지지만 선택지 길이는 유지됩니다.



<홀수형/짝수형 선택지 배치 순서 다름>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 33번 빈칸 [3점]

정답 ① 가장 짧은 선택지

※ 33번 어구 빈칸는 홀수형과 짝수형에 따라 선택지 순서가 달라지지만 선택지 길이는 유지됩니다.



<홀수형/짝수형 선택지 배치 순서 다름>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 34번 빈칸 [3점]

정답 ⑤ 가장 짧은 선택지

※ 34번 어구 빈칸는 홀수형과 짝수형에 따라 선택지 순서가 달라지지만 선택지 길이는 유지됩니다.

 

참고로 6월 모의평가와 9월 모의평가는 부정행위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치러지지 않고 단일 형태로 실시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은 부정행위를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나누어서 실시되지만 문제의 특성상 홀수형과 짝수형에 동일하게 인쇄되는 문제 유형이 있습니다. 어구 빈칸 문제는 31번, 32번, 33번, 34번 정도로 3~4개 출제되며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에 따라 선택지 순서가 달라집니다.

 

-------------------------------------------------------------------------------------------------------------------------

 

이번에 보고 드리고 싶은 문제는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입니다. 한 단어 빈칸은 따로 분석하겠습니다.

 

빈칸 문제는 수능 영어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입니다. 난이도가 가장 높은 문제가 빈칸에서 출제되고 2~3개 3점짜리입니다.

 

--------------------------------------------------------------------------------------------------------------------------------------

 

(1) 어구 빈칸 문제에서 가장 긴 선택지가 정답으로 거의 설정되지 않습니다. 2016학년도부터 2023학년도 9월 모평까지 어구 빈칸은 총 70문제가 출제되었는데 가장 긴 선택지가 정답인 경우는 5번에 불과했습니다.

 

빈칸 문제 총 70문제의 정답 분포는 가장 짧은 선택지는 23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는 15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는 15번, 두 번째 긴 선택지는 14번, 가장 긴 선택지는 5, 선택지 길이 동일 1번(2021학년도 대수능)입니다. 

 

가장 중요한 문제에서 이런 쏠림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유형별로 특정 위치나 특정 선택지 길이가 정답으로 선호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한 단락 내에서 가장 중요한 내용에 빈칸이 뚫리며 핵심은 간단명료해서 어구 빈칸 문제는 비교적 짧은 선택지가 정답으로 선호되며, 가장 긴 선택지는 정답으로 거의 출제되지 않습니다.

 

(2) 어구 빈칸 문제에서 가장 짧은 선택지는 3~4개 출제되는 어구 빈칸 문제에서 최소한 한 번은 정답으로 설정되는 경향이 강하며 최빈 정답입니다.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2년 11월)

32. ②: 두번째 짧은 선택지

33. [3점] ①: 가장 짧은 선택지

34. [3점] ⑤ 가장 짧은 선택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33.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32. [3점]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34. [3점]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31.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33.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34.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32. [3점]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32. ③번: 가장 짧은 선택지

33. [3점] ②번: 가장 짧은 선택지

34. [3점] ④번 (①,②,③,④,⑤ 선택지 길이 모두 동일)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32.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33. [3점]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34. [3점] ④번: 가장 짧은 선택지(④,⑤번 선택지 길이 동일)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32.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33.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34. [3점] ④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

 

어구 빈칸 문제 최근 7년 간 수능, 모평 counting

홀수형 정답 기준

 

[31~33]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31~34]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1.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34. [3점] ④번 (①,②,③,④,⑤ 선택지 길이 모두 동일)

 

23

1.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33.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32.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3.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34.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4.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33.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5.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31.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6.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33.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7.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34.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8.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31.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9.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33.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10.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34.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11.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33.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12.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32.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13.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32.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14.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33.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15.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31.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16.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33.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17.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32. ③번: 가장 짧은 선택지

18.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33. [3점] ②번: 가장 짧은 선택지

19.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34. [3점] ④번: 가장 짧은 선택지(④,⑤번 선택지 길이 동일)

20.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33.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1.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11) 33. [3점] ①: 가장 짧은 선택지

22.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34. [3점] ②번: 가장 짧은 선택지

23.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34. [3점]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15

1.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32. [3점]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33. [3점]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3.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32. [3점]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4.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34. [3점]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5.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32. [3점]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②,③번 선택지 길이 거의 비슷)

6.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34.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7.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34. [3점]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8.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34. [3점]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9.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32.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0.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33. [3점]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1.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34. [3점] ④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2.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11) 34. [3점] ④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3.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32.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4.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31.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5.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32. ④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5

1.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32. [3점]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2.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32. [3점]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②,③,④번 선택지 길이 동일)

3.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33. [3점]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4.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32. [3점]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5.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33. [3점]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6.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32. [3점] ④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7.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32. [3점]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8.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31. [3점] ④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9.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34. [3점]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10.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34. [3점] ④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11.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32. ①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12.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34. [3점]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13.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32. ③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14.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11) 32. ⑤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②④번 선택지 길이 동일)

15.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33. [3점] ②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14

1.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33. [3점]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34. [3점]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3.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32. [3점]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4.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31.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5.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32. [3점] ①번: 두 번째 긴 선택지

6.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33.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7.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33. [3점]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8.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32. ①번: 두 번째 긴 선택지(④번과 길이 유사)

9.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33. [3점] ①번: 두 번째 긴 선택지(④번과 길이 거의 동일)

10.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34. [3점]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11.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34. [3점]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12.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32.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13.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32.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14.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33. [3점]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5

1.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33. [3점]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34. [3점] ④번: 가장 긴 선택지

3.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34. [3점] ①번 가장 긴 선택지

4.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33. [3점] ⑤번: 가장 긴 선택지

5.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33. [3점] ⑤번: 가장 긴 선택지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