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예24 [1028894] · MS 2020 · 쪽지

2023-02-27 22:21:04
조회수 2,639

1. 물먹은 화강암일때의 용융 곡선은 대륙-대륙 충돌형 경계일때 있다고 하였는데, 그게 대륙지각의 함수광물이 압축 되면서, 물을 뿜어서 주변에 물을 공급하여 주변의 입자 사이의 결합력을 떨어뜨려서 마그마가 형성되는것이라면, 그때의 마그마는, 맨틀 물질을 녹여서 현무암질이 되어야하는데, 왜 대륙-대륙에서는 화강암질 마그마가 생성되는것인가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240595

2. 해양지각이 녹지 않는 이유가, 연령이 높고, 냉각이 되어 온도가 너무 낮아서 용융되지 않는다하였는데 그렇다면 같은 조건에 있는 대륙지각의 화강암도 녹지 않는건가요? 근데, 그렇다면 화강암질 마그마가 생성되는건 뭔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라플레시아 · 1208224 · 23/02/27 22:50 · MS 2023

    맨틀을 녹이는 것이 아니라 대륙 지각 자체가 녹습니다.
    화강암의 대표적인 조암 광물인 운모, 각섬석 등이 함수 광물이어서 님께서 언급하신 대로 온도, 압력 조건이 변했을 때 물을 내놓을 수 있습니다.
    (여담인데 스폰지에서 물을 짜면 나오는 것처럼 물이 나오는 게 아니라 엄연한 화학 반응입니다. 분자 속의 H2O나 OH기가 결합에서 끊어져서 물이 나옵니다)

    그리고, 당연히 물이 대륙 지각에서 나오니 대륙 지각이 녹는 것이 맞습니다.
    바닥에 기름을 뿌리고 불을 붙이면 그 기름이 묻어있던 부분이 불에 타는 거랑 비슷하죠.

    해양 지각의 경우에는 말씀하신 대로 온도가 낮아서 안 녹는 것입니다.
    흔히 배우는 깊이-온도 마그마 생성 조건 그래프를 보시면
    대륙 지각 깊이가 최대 60km 정도인데 물 포함 조건에서 녹는 깊이가 40-50km입니다.
    해양 지각은 온도가 더 낮으니 당연히 더 깊은 깊이에서 녹아야 하는데, 심지어 지각 두께도 대륙보다 작으니 녹지 않는 것입니다. 우리가 배우는 범위에서는 걍 안녹는다고 생각하셔도 무방합니다.
    해양 지각이 안녹으니까 섭입대에서 나오는 물이 1차적으로 해양 지각을 녹일려고 하다가 못 녹이므로 물이 주변으로 '새서' 맨틀로 가서 녹이는 것이죠.
    바닥에 기름을 뿌리고 불을 붙였는데 마침 기름이 뿌려진 위치가 방화재로 되어있어 불이 안붙어서 기름이 옆으로 흘러서 주변에서 불이 붙는 것과 비슷합니다.

  • 라플레시아 · 1208224 · 23/02/27 22:52 · MS 2023

    해양 지각은 차가운 해수와 접촉해서 온도가 낮은 것이고,
    대륙 지각은 해양 지각보다 온도가 높고, 잘 녹습니다. 같은 조건에 있는게 아닙니다 ^

  • 의예24 · 1028894 · 23/02/27 23:27 · MS 2020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