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묘정 [1209832] · MS 2023 · 쪽지

2023-02-26 20:20:08
조회수 5,461

[2023학년도 수능(2022년 11월)] 29번 어법 정답: 대세 대명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226165

수능 영어를 가르쳐 보니 문제가 너무 이상했습니다. 문항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다보니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만 가르쳐야 하고 수능 영어 대로 내신 시험을 출제해야 하는 저로서는 수능 영어가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큰 걸림돌이라고 판단하고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리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를 폐지해야 하는 이유와 폐지하면 좋은 점

1) 수능 영어는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 제대로 개선된 적이 없는 시대에 뒤떨어진 시험이다.

2) 수능 영어를 폐지해도 대학교를 입학하면 토익, 토플, 아이엘츠와 같은 영어 본고장에서 출제하는 공인 영어 시험을 평생 많이 치게 된다.

3) 수능 시험의 과목수가 줄어들어 수험생과 시험 감독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4) 시대에 뒤떨이진 수능 영어에서 벗어나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영어를 교사의 소신에 따라 가르칠 수 있다.



<홀수형/짝수형 동일 인쇄>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 29번 어법

정답 ② them → themselves (재귀대명사)

어법에서 자주 출제되는 동사(준동사)에서 탈피해서 (관계)대명사로 트렌드가 바뀌고 있음을 보여주는 문제입니다.

 

최신 출제 경향: 수능 영어영역 어법은 전통적으로 동사에서 출제가 많이 되었는데, 이제는 트렌드가 (관계)대명사와 접속사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28. ⑤번: what → whether(접속사)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29. ⑤번: discovers → discover(to부정사에 연결되는 동사원형)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29. ③번: which → that(동격절 접속사)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29. ④ What(관계대명사) → That (대명사)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28. ③번: which → in which or where(관계대명사, 관계부사)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29. ②번: learn → learning(동명사)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2년 11월) 29. 정답 ② them → themselves (재귀대명사)

 

 

참고로 6월 모의평가와 9월 모의평가는 부정행위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치러지지 않고 단일 형태로 실시됩니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은 부정행위를 방지 장치인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로 나누어서 실시되지만 문제의 특성상 홀수형과 짝수형에 동일하게 인쇄되는 문제 유형이 있습니다. 29번 어법 문제는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에 동일하게 인쇄됩니다.

 

------------------------------------------------------------------------------------------------------------------------------------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8.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라는 문제 유형입니다. 문제의 특성상 홀수형, 짝수형 시험지에 동일하게 인쇄됩니다. 총 45문제 중 2개 출제됩니다.

 

(1) 번은 정답일 가능성이 거의 없습니다. 

 

지금과 다르게 출제된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를 제외하고 어법은 2023학년도 9월 모평까지 22문제 출제되었는데 ①번은 한 번, ②번은 다섯 번, ③번은 다섯 번, ④번은 여섯 번, ⑤번은 다섯 번 정답으로 출제되었습니다.

 

-----------------------------------------------------------------------------------------------------------------------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8.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 28번을 3개로 나누어서 포함했습니다.

 

(2) 어법 문제는 50% 가까이 동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분사도 동사원형을 변형해서 만든 형용사인데 분사까지 넣어 카운팅하면 어법상 틀린 부분(어법상 선택 부분) 25개 중 동사 11개, 분사 3개, 관계사와 접속사 9개, 대명사 1개, 형용사 1개가 출제되었습니다.

 

------------------------------------------------------------------------------------------------------------------------

 

정답 번호 counting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8.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번: (A) unhurried/unhurriedly (B) which/in which (C) ending/ended(본동사)

 

1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29. ①번: which → in which 

 

5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28. ②번: waits → waiting(분사구문)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28. ②번: what → that(접속사)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29. ②번: did → has(대동사)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29. ②번: depending → depends(본동사)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29. ②번: learn → learning(동명사) 

 

5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8. ③번: restricting → 본동사 restricts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28. ③번: what → 접속사 that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28. ③번: leaves → leave(수 일치)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29. ③번: which → that(동격절 접속사)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28. ③번: which → in which or where(관계대명사, 관계부사)

 

6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28. ④번: causing → 본동사 caused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28. ④번: finding → found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28. ④번: refused → refuse(조동사 뒤 동사원형)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29. ④번: actualizing → actualizes(본동사)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29. ④번: inhabited(과거분사) → inhabiting(현재분사)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29. ④ What(관계대명사) → That (대명사)

 

5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8. ⑤번: was → were(수 일치)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29. ⑤번: What → that(접속사)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29. ⑤번: that → it(비인칭 주어)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29. ⑤번: what → whether(접속사)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29. ⑤번: discovers → discover(to부정사에 연결되는 동사원형)

 

------------------------------------------------------------------------------------------------------------

 

어법 항목 counting

 

29.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은?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8. (A), (B), (C)의 각 네모 안에서 어법에 맞는 표현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번: (A) unhurried/unhurriedly (B) which/in which (C) ending/ended(본동사)

 

11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8. ③번: restricting → 본동사 restricts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28. ④번: causing → 본동사 caused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C) ending/ended(본동사)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8. ⑤번: was → were(수 일치)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28. ③번: leaves → leave(수 일치)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28. ④번: refused → refuse(조동사 뒤 동사원형)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29. ②번: did → has(대동사)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29. ④번: actualizing → actualizes(본동사)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29. ②번: depending → depends(본동사)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29. ⑤번: discovers → discover(to부정사에 연결되는 동사원형)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29. ②번: learn → learning(동명사)

 

3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28. ②번: waits → waiting(분사구문)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28. ④번: finding(현재분사) → found(과거분사)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29. ④번: inhabited(과거분사) → inhabiting(현재분사)

 

9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28. ③번: what → 접속사 that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B) which/in which(관계대명사)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28. ②번: what → that(접속사)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29. ⑤번: What → that(접속사)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29. ①번: which → in which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29. ⑤번: what → whether(접속사)

2022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1년 9월) 29. ③번: which → that(동격절 접속사)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29. ④ What(관계대명사) → That (대명사)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28. ③번: which → in which or where(관계대명사, 관계부사)

 

1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29. ⑤번: that → it(비인칭 주어)

 

1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A) unhurried/unhurriedly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