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수능(2022년 11월)] 24번 제목: 최빈 정답-가장 긴 선택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140127
수능 영어를 가르쳐 보니 문제가 너무 이상했습니다. 문항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다보니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만 가르쳐야 하고 수능 영어 대로 내신 시험을 출제해야 하는 저로서는 수능 영어가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큰 걸림돌이라고 판단하고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리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를 폐지해야 하는 이유와 폐지하면 좋은 점
1) 수능 영어는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 제대로 개선된 적이 없는 시대에 뒤떨어진 시험이다.
2) 수능 영어를 폐지해도 대학교를 입학하면 토익, 토플, 아이엘츠와 같은 영어 본고장에서 출제하는 공인 영어 시험을 평생 많이 치게 된다.
3) 수능 시험의 과목수가 줄어들어 수험생과 시험 감독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4) 시대에 뒤떨이진 수능 영어에서 벗어나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영어를 교사의 소신에 따라 가르칠 수 있다.
수능 영어영역이 한단락짜리 독해 지문에서 중심 생각을 묻는 독해 문제 유형은 최빈 정답이 구조적으로 반복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는 지문이 약간 다른 똑같은 독해 지문을 매해 치고 있습니다. 독해 문제 개선이 필요합니다.
2쪽, 3쪽, 4쪽에서 출제되는 중심 생각을 묻는 목적, 주장, 의미, 요지, 주제, 제목은 전통적으로 긴 선택지가 최빈 정답이었습니다. 물론 올해 수능에서 주장, 의미, 요지는 선택지 길이는 거의 동일했고, 목적과 주제는 짧은 길이의 선택지가 정답이었습니다. 그러나 목적, 주장, 의미, 요지, 주제는 누가 출제하더라도 인지적으로 가장 긴 선택지가 자연스럽게 정답이 되는 문제 유형입니다. 저 역시 그러합니다. 한 단락 길이의 독해 지문에서 목적, 주장, 의미, 요지, 주제, 제목은 최빈 정답인 가장 긴 선택지로 회귀할 수밖에 없습니다.
<홀수형/짝수형 선택지 배치 순서 다름>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 24번 제목
정답: ⑤번: 가장 긴 선택지
이변 없이 가장 긴 선택지가 24번 제목 문제의 정답으로 출제되었습니다.
※ 24번 제목는 홀수형과 짝수형에 따라 선택지 순서가 달라지지만 선택지 길이는 유지됩니다.
<최근 7년 모평, 수능 24번 제목 정답 counting>
23개의 한 단락짜리 제목 문제 중에서 가장 짧은 선택지 5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4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1번, 두 번째 긴 선택지 3개, 가장 긴 선택지 11번의 정답 분포를 보였습니다.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22,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번 1개만 제목으로 출제되었습니다.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23,41번 3개의 제목 문제가 출제되었습니다.
5
2016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5년 9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7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6년 9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3.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0년 6월) 24.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2023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2년 6월) 24. ①번: 가장 짧은 선택지
4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2.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9년 9월) 24. ④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12월) 24. ② 두 번째 짧은 선택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9년 11월) 24. ②번: 두 번째 짧은 선택지
1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6년 11월) 22. ④번: 세 번째 길이 선택지
3
2016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5년 6월) 21. ②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18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7년 9월) 23. ④번: 두 번째 긴 선택지
2022학년도 6월 모의평가(2021년 6월) 24. ① 두 번째 긴 선택지
11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5년 11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6년 6월) 23.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7년 6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7년 11월) 23. ⑤번: 가장 긴 선택지
2019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8년 6월) 23.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19학년도 9월 모의평가(2018년 9월) 24. ④번: 가장 긴 선택지(⑤번 선택지와 길이 거의 비슷)
2019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18년 11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0학년도 6월 모의평가(2019년 6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1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0년 9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1년 11월) 24. ①번: 가장 긴 선택지
2023학년도 9월 모의평가(2022년 9월) 24. ②번: 가장 긴 선택지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르비에 안어울리는 점수인거 알고있습니다 81/47/51/39/34 문과...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