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학년도 수능(2022년 11월) 20번 주장: 키워드 카운팅으로 정답 추측 가능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2073747
수능 영어를 가르쳐 보니 문제가 너무 이상했습니다. 문항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다보니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만 가르쳐야 하고 수능 영어 대로 내신 시험을 출제해야 하는 저로서는 수능 영어가 우리나라 영어 교육의 큰 걸림돌이라고 판단하고 수능 영어의 한계점을 알리고 있습니다.
수능 영어를 폐지해야 하는 이유와 폐지하면 좋은 점
1) 수능 영어는 30년 가까이 문제 유형별로 정답, 정답 후보, 오답이 계속 반복되고 있다. 제대로 개선된 적이 없는 시대에 뒤떨어진 시험이다.
2) 수능 영어를 폐지해도 대학교를 입학하면 토익, 토플, 아이엘츠와 같은 영어 본고장에서 출제하는 공인 영어 시험을 평생 많이 치게 된다.
3) 수능 시험의 과목수가 줄어들어 수험생과 시험 감독관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4) 시대에 뒤떨이진 수능 영어에서 벗어나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영어를 교사의 소신에 따라 가르칠 수 있다.
5) 내신 성적 영어로 대입에 소량 반영해도 대입 전형에는 큰 지장이 없다.
① 성공적인 삶을 위해 미리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 ②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에는 자신의 직관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③ 더 나은 선택을 위해 성공 가능성을 확률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④ 빠른 목표 달성을 위해 지름길로 가고자 할 때 신중해야 한다. ⑤ 인생의 여정에서 선택에 따른 결과를 스스로 책임져야 한다. | (1) 선택, 성공, 한다라는 세 개의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는 ③번이 정답임을 독해하지 않고 알 수 있다. (2) 한다라는 키워드 외에는 키워드가 없는 ②, ④번은 오답임을 독해하지 않고 알 수 있다. |
2023학년도 수능 영어영역 홀수형 20번 주장
정답 ③번
반복되는 키워드를 포함한 선택지가 정답 또는 정답 후보입니다.
그 이유는 제가 생각하기에 다음과 같습니다.
(1) 인간은 중요한 사항을 반복해서 말하는 본능이 있습니다. 수능 출제자분들도 인간이시거든요.
(2) 난이도를 유지하려는 장치가 결국은 정답에 대한 결정적인 힌트가 되는 딜레마가 됩니다.
※ 한국어 선택지 키워드 분석이 영어 선택지 키워드 분석보다는 예외적인 경우가 더 있는 이유는 모국어와 외국어의 차이라고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주의> ~관해 언급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에 관한 다음 내용을 듣고, 일치하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와 같이 부정어가 들어간 발문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님 말씀대로라면 차라리 사탐 폐지가 더 낫다 봅니다
답글 감사드립니다. 저는 사탐 문제는 본 적이 없어서 뭐라 말씀 드릴 수가 없습니다.
현재 수능 영어도 문제 많은 것 인정합니다
어쨌든 교육과정평가원이 문항 개발에 최선을 다했다고는 볼 수 없습니다. 교육과정평가원은 우리나라 미래를 평가하고 선발하기에 교육과정평가원이 더욱 엄격한 평가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