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ya Forger [834542] · MS 2018 · 쪽지

2023-02-12 16:31:40
조회수 2,200

영화 바빌론 후기 (feat. 221139)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997808



영화 보고 나니 2022학년도 수능 영어 39번 문항이 생각나


더라는... ^^; (아래 기출 지문 참고) 무성 영화에서 유성


영화로 넘어가던 1920년대 할리우드를 배경으로,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의 꿈과 사랑에 대한 이야기임.


Damien Chazelle 감독의 이전 작품이었던 라라랜드가 재


즈 피아니스트인 남주와 배우 지망생인 여주의 꿈과 사랑


에 대한 이야기였다는 점에서 일종의 variation 비슷한 느


낌이 있으며 여주 마고 로비는 할리퀸 분장을 하지 않은


b*tch 그 자체로 나옴.


고전 영화 (특히 '사랑은 비를 타고', Singin' in the Rain)


에 대한 오마주를 많이 담아 고전 영화들에 대한 지식 정


도에 따라서 영화의 호불호가 갈리는 경향이 있다고 함.


대중적이라기보다는 이른바 씨네필 성향의 영화라고 할


수 있으며, 개인적인 감상은 Damien Chazelle 감독의


영화들 가운데 라라랜드 > 바빌론, 퍼스트맨이 대략 비


슷 > 위플래쉬 순서로 좋았음.



Cinema is valuable not for its ability to make visible


the hidden outlines of our reality, but for its ability


to reveal what reality itself veils ― the dimension of


fantasy. ( ① ) This is why, to a person, the first great


theorists of film decried the introduction of sound


and other technical innovations (such as color) that


pushed film in the direction of realism. ( ② ) Since


cinema was an entirely fantasmatic art, these


innovations were completely unnecessary. ( ③ )


And what’s worse, they could do nothing but turn


filmmakers and audiences away from the


fantasmatic dimension of cinema, potentially


transforming film into a mere delivery device for


representations of reality.


( ④ ) As long as the irrealism of the silent black


and white film predominated, one could not take


filmic fantasies for representations of reality. But


sound and color threatened to create just such


an illusion, thereby destroying the very essence


of film art. ( ⑤ ) As Rudolf Arnheim puts it,


“The creative power of the artist can only come


into play where reality and the medium of


representation do not coincide.” [3점]


* decry: 공공연히 비난하다 ** fantasmatic: 환상의


영화는 우리 현실의 숨겨진 윤곽을 보이게 만드는 능


력 때문이 아니라 현실 자체가 가리고 있는 것, 즉 환


상의 차원을 드러내는 능력 때문에 가치가 있다. 이것


이 최초의 위대한 영화 이론가들이 영화를 사실주의


쪽으로 밀어붙였던 소리와 (색채와 같은) 다른 기술


혁신의 도입을 이구동성으로 비난한 이유이다. 영화


는 전적으로 환상적인 예술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혁


신은 완전히 불필요했다. 그리고 설상가상으로 그것


들은 잠재적으로 영화를 현실의 묘사를 위한 단순한


전달 장치로 변형시키면서, 영화 제작자와 관객을


영화의 환상적인 차원에서 멀어지게 할 수 있을 뿐


이었다. 무성 흑백 영화의 비현실주의가 지배하는


동안은 영화적 환상을 현실에 대한 묘사로 착각할


수 없었다. 그러나 소리와 색채는 바로 그러한 착각


을 만들겠다고 위협하여 영화 예술의 바로 그 본질


을 파괴했다. Rudolf Arnheim 이 표현한 것처럼


"예술가의 창의적 힘은 현실과 묘사의 매체가 일치


하지 않는 곳에서만 발휘될 수 있다." (해석은 ebsi


해설 내용을 그대로 가져왔음)


출처: 2022학년도 수능 영어 39번 문항


rare-이더리움 rare-비트코인 rare-을지문덕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