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도 이해하는 필요조건, 충분조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892531
안녕하세요. 독해와 논리를 가르치는 이해황입니다.
아래 내용은 PSAT/LEET 베스트셀러 『논리개념 매뉴얼5.0』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초등학생도 이해할 수 있게 썼지만, 수능뿐만 아니라 PSAT/LEET 수험생도 도움이 될 만한 자료입니다. :)
--
I. 들어가기
초등학교 과학시간에 전기회로를 배우며 직렬연결, 병렬연결을 배웁니다. 이를 통해 논리적 사고의 핵심인 필요조건, 충분조건, 필요충분조건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필요조건은 직렬연결에, 충분조건은 병렬연결에, 필요충분조건은 단일연결에 대응됩니다.
이를 간결히 설명하기 위해,다음과 같이 표현법을 약속하겠습니다.
L : L에 불이 들어온다.
~L : L이 거짓이다. 즉, L에 불이 들어오지 않는다.
A : A함에 전지가 들어있다.
~A : A가 거짓이다. 즉, A함에 전지가 들어있지 않다.
II. 전기회로와 논리적 개념
1. 직렬연결
직렬연결 전기회로에서는 다음이 성립합니다.
~A이면 반드시 ~L이다.
논리학에서는 ~A이면 반드시 ~L일 때, A를 L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합니다. 이를 일상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합니다. (아래 표현들을 익혀두면, 글을 읽거나 쓸 때 요긴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A는 L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 ~A이면서 L인 경우는 없다/불가능하다.
≡ (오직) A이어야(만)/일 때만/인 경우에만/인 (전제/가정/조건) 하에서만 L이다/일 수 있다/가 보장된다.
≡ L이려면 A이어야(만) 한다.
≡ L이기 위해서/위하여 A이어야(만) 한다.
≡ A는 L이기 위해 필요하다/필요한 조건이다/필수적 조건이다.
≡ A이지 않으면/않는 한/않는 이상 L?일 수 없다.
≡ L은 A를 함축/전제한다.
≡ A는 L의 요건/전제조건/선결조건/요구조건/핵심조건이다.
≡ A가 성립되지 않으면 L일 수 없다/이 성립될 수 없다.
≡ A는 L이기 위해 필요하다/요구된다/없으면 안 된다/반드시 있어야 한다/필수적이다/필수불가결하다.
마찬가지로 ~B이면 ~L이다, ~C이면 ~L이다가 성립하므로, B는 L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 C는 L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다도 성립합니다.
2. 병렬연결
병렬연결 전기회로에서는 다음이 성립합니다.
A이면 반드시 L이다.
논리학에서는 A이면 반드시 L일 때, A를 L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라고 합니다.
이를 일상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현하기도 합니다.
A는 L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 A이면서 ~L인 경우는 없다/불가능하다.
≡ A이면/일 때/인 한/인 경우에/인 이상/하에서/이기만 하면/인 것만으로도 L이다.
≡ A가 성립하면/보장되면 L이 보장된다/성립한다.
≡ A라는 전제/가정/조건 하에서 L이다.
≡ L는 A의 논리적 귀결이다.
마찬가지로 B이면 L이다, C이면 L이다가 성립하므로, B는 L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C는 L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도 성립합니다.
3. 단일연결
전구가 하나의 전지와 단일연결되는 가장 단순한 경우를 생각해봅시다. 이때는 다음이 성립합니다.
A이면 반드시 L이다.
~A이면 반드시 ~L이다.
따라서 여기서 A는 L이기 위한 필요조건이면서 동시에 충분조건입니다. 이때 철학자들은 간결히 A를 L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라고 합니다.
A가 L의 필요충분조건이라는 것을 영어로는 A if and only if(줄여서 iff) L이라고 표현합니다. 근데 한국어에는 iff에 딱 들어맞는 표현이 없어서, 다음과 같이 다소 어색하게 표현됩니다.
A일 때, 그리고 오직 그때만 L이다
≡ A일 때 L이다. 그리고 오직 A일 때만 L이다.
≡ A는 L이기 위한 충분조건이다. 그리고 A는 L의 필요조건이다.
≡ A는 L이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다.
맥락에 따라 A는 L의 기준이다도 필요충분조건을 타내는 표현으로 볼 수 있습니다.
4. 직렬연결을 병렬로 연결
직렬연결을 병렬로 연결한 아래와 같은 전기회로도 상상해볼 수 있습니다.
이때 A는 L이기 위한 필요조건은 아닙니다. 아래처럼 ~A여도 L일 수 있으니까요.
또한 A는 L이기 위한 충분조건도 아닙니다. 아래처럼 A여도 ~L일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필요조건은 아닌 충분조건 덩어리 (A and B and D)를 기준으로 보면
A는 이 덩어리의 충분조건은 아니지만 필수적(필요한) 부분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개념을 John Mackie라는 철학자가 1960년대에 INUS조건이라고 이름 붙입니다. 이는 an Insufficient, but Necessary(Non-redundant) part of an Unnecessary but Sufficient condition의 약어인데, 필요조건은 아닌 충분조건 덩어리의 불충분하지만 필수적인 부분 정도로 번역할 수 있습니다.
뭔가 복잡해 보이지만, 직렬연결을 병렬로 연결한 이미지를 떠올리면 어렵지 않을 겁니다.
5. 병렬연결을 직렬로 연결
앞서 INUS조건이 직렬연결을 병렬로 연결한 개념이었으니, 반대로 병렬연결을 직렬로 연결하는 것도 상상할 수 있지 않을까요? 아래처럼요.
이러한 구조는 공학에서 결함 허용 시스템(Fault Tolerance System)으로 불립니다. B를 병렬로 이중화, 삼중화하여 다른 요소들과 직렬로 연결하면, B에 결함이 생기더라도 A, C에 문제가 없는 한 시스템이 정상운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명유지장치를 운영하는 병원에서 비상발전기를 운용한다든가, 데이터센터에 화재가 날 경우를 대비하여 서버를 이중화, 삼중화하여 분산시켜놓는 일 등이 위와 같은 시스템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
III. 전기회로와 논리적 추론
... 인강 찍어야 해서 나머지는 2편에서 자세히 다루겠습니다.
좋아요가 많이 눌릴수록 2편이 빨리 업데이트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시기에 플만한 실모 있음? 그냥 기출 복습하는게 맞나
-
간계밥을 너무 짜게 만들었어요 요리 잘하시는분 있나요 제가 고용할게요 요섹르비언...
-
지면 수비❤️
-
해치웠나?<<이생각 하면 진짜 틀림 내가 틀린걸까?뭐 놓친거있나? 이생각 계속해야함
-
스탠다드 10~30번대 난이도 정도면 어려운편인가요?? n제 중에 뭐랑 난이도 비슷하나요?
-
감 못 잡으면 미적분보다 어려움 반박 시 니 말 맞음
-
지하철 억까 1
왜 지하철은 배차간격이 10분이고 왜 내 앞에서 철벽을 치는거지..
-
간장계란밥+오겹살 13
-
벚꽃보러갈래? 2
네네네네네네네네
-
어제 무지성 n제 50번 풀다 떠올린건데 역 정사영인거임 한 평면위의 도형을...
-
이제부터 학원 쉬어서 수12 복습하려고하는데 스블 하는게 나을까 기코하는게 나을까
-
이미지 엔티켓은 그냥 아빠미소 지으면서 수학 풀게 되네요 현우진 선생님 고마웠어요
-
ㅎ
-
팔팔이 형이야
-
평가원 어려운 확통 기출만 선별된 거 있을까요.. 작년 수능 같은 거 아예 컷해...
-
잇올 핸드폰 가지러 가려고 사람들 다 줄서서 기다리는데 갑자기 옆에서 팔 뻗고...
-
고려대 반수 3
고려대에서 반수하는 사람 많나요?
-
나 공부가 어렵다. 현역 정시파이터 지금부터 시작할건데 알려주셈 항공정비과 이투스패스 커리 알려주셈
-
수능 수학 간접연계 강의 러닝타임 정리 메가스터디 현우진T 시발점수1 49강: 총...
-
대 성균관대 킹고킹고에스카라
-
화1 문제집 중에 문제 진짜 많은 거 없나 기출문제집 말고는 없는건가
-
수학의신이되는거다
-
수학 공부 0
수분감 스텝 1 다 풀어서 요즘엔 하루에 뉴런듣고 수분감 틀린거 다시 풀어보고...
-
탐구 점수 질문 0
사문 지구 둘다 만점받으면 설대 성대 중대처럼 과탐이 유리한 대학 빼곤 왠만한 공대...
-
아 현기증난다
-
GOAT 학교갈때 약간 든든한 국밥 느낌이에요
-
과외알바를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한 매뉴얼&팁입니다. 5천원 커피값에 미리 하나...
-
시바ㄹ 0
점 워크북, 쎈 풀까요? 3모 3등급이라 부족한게 많아서 채우려고요.. C스텝까지...
-
얼버기 6
하이 게이들
-
2025학년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 면접 기출문제 0
https://blog.naver.com/analysis_81/223820571523
-
야구 예매 완 5
잠실 간다
-
빅포텐 시즌1 수1 수2 끝냇는데 다음 엔제 뭐가좋을까요?
-
작수 영어 (찍어서)6떠가지고 메가패스 끊고 조정식 듣고있는데 이해가 잘 안되는...
-
국어황분들 [소문의 벽]소설 보기문제 사고과정 평가 부탁드려요 3
6번째 사고과정에서 위험한질문(=공포유발)로 잡았습니다 안적어서 첨부해요
-
후우
-
과탐 투과목 7
서울대 목표 현역인데 물1 지1으로 갈수있을까요? 투과목 할꺼면 아마 물2로 바꾸지 않을까 싶은데…
-
1) 본인 생각에 자기는 상식적이고 깨어있는 애국자라 생각함. 2) 태생부터...
-
그런고로점시추를받아요 콘푸라이트 vs 첵스초코 그대들의현명한선택을바라요
-
공통 4점은 막힘없이 다 풀리네요 난이도 평이했나요?
-
국수 표점이고 탐구 백분위 입니다 지인 성적푠데 어디까지 가능했어요??
-
두려워마라.. 1
나는 성기능이 없는 암살자다..
-
정병호~랑나비 2
인스타 펌
-
시발점 확통 6
15개정 교육과정 수능 보는 고2 08년생인데 시발점 확통 개정판 들어야...
-
후기보니까 한달에 10키로 빠졌다는 분도 계시던데
-
근데벌써목요일임 0
흐흐
-
스콧 베센트(미국 재무장관) BTV 발언: 관세로 공황상태 빠지거나 보복하지 말라...
-
지금 달러를 다 판다
-
언매미적생명 순으로 441 (백분위 75 75 96) -> 111 (원점수 80...
-
긴 발목 양말을 신었는데도 벌거벗고 나온 기분이에요...
오 좋은 글이네요
논리학을 전기회로로 비유하다니... 신박합니다
전기회로가 논리연산자에 완벽하게 대응된다는 것은 클로드 섀넌(Claude E. Shannon)이 21살 때 전기공학 석사학위 논문으로 발표한 내용이긴 합니다. 은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석사학위 논문, 20세기 가장 중요하고 가장 유명한 석사학위 논문 등으로 일컬어지고요.
저는 그 아이디어를 차용하여 수준을 더 낮추고, INUS조건 개념을 전기회로로 표현해본 것에 불과합니다. :)
‘섀년의 도깨비’의 그 쌔넌 맞나요?
네 ㅎㅎ
와..ㅠㅠ 정말 대단하시네요.

진짜 천재적 사고. 필충조건 알고 있었지만 머릿속에서 인지적 틀이 재구성되는 거 같네요!!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https://youtu.be/AiNqEz4yXh4
추론규칙을 추가하여 영상으로도 올렸으니 시청해보세요. 감동적일 겁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