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함수 변곡점은 전체에서도 항상 유지된다! 뉴런에서도 알려주지 않은 개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747531
방금 이 문제를 풀다가 고민해서 알게 된 거임.
뉴런에서 합성함수의 극대 극소는 쉽게 알수 있는 대원칙이 있는데
변곡점은 설명해주지 않해준다.
그래서 한 번 그래픽 계산기에 뚜드려 봤는데 뭔가 대단한 걸 발견한 듯한 기분이었음
보라색 그래프가 두 개인데 밑에 잘렸네. 마지막 거는 g,h,i,p,q를 제곱하고 더하고 나눈 그래프임.
아무튼 귀납적으로 변곡점은 속함수 변곡점의 x좌표에 그대로 생긴다는 것을 알수 있음. 그럼 겉함수에서는 어떨까? 당연히 겉함수 변곡점 x좌표에서 변곡이 생기겠지.
원리는 잘 모르겠다 근데 ㅎㅎ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8덮 9월 1일 16시에 성적공개라는데 그 이후에 응시하면 성적 안나와요??
-
비실독을 추가하였습니다 정석민t 독서 기출 인덱스 06수능 옵션 비독원B 피드백...
-
1교시 0
아이 피고내
-
수능대비 [빈칸추론] 상위1%를 위한 최상 난이도 # 002 0
# 002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을 고르시오. Throughout...
-
잘까말까 5
잘래말래잘래말래
-
9모끝나고사탐런 2
안녕하세요 6모 국수영사문 2155 현역입니다 영어는 지금 2-3목표로 과외...
-
얼리버드 취침 4
-
5시에 기상햇다 다시 자야지
-
왤캐난리임...태풍은 싫은데
-
학교가야되는데 우산없고 비가 너무와서 나갈수가 없음..
-
기차지나간당 4
부지런행
-
세팅 오류생길 수 있대서 안했었는데 흠
-
깬 이후로 잠이오지않아 10
하
-
에휴
-
베고프내 0
으악
-
얼버기 4
-
ㅅㅂ 악몽 꿈 7
ㅇㄴ 몇달전에 꿨던 게 무서운 악몽 꿈; 근처에 있는 열차에 사람이 치여서 황급하게...
-
오늘도 천둥치네 5
-
아무도없구만 4
있나?
-
자살이 하고싶은 그런 밤
-
이감 6-1 2
난이도는 무난햇는데 매체 2틀은 대체 ㅅㅂ 뭐임?? 진짜 당황스럽네 ㅋㅋ
-
아무리 공대라 해도 거의 대부분의 대학은 미적/기하 가산점 없네 과탐 가산점은 3%...
-
네 생각이 났어
-
자다깼다 7
아니 진짜학교가야된다고?
-
주로 연관된 유전자 이동에서 우열추론을 하는데 열성은 발현한 사람이 가족중 일촌의...
-
안주무시는분 3
뭐하심?
-
기하가없네 씨발
-
아 6
-
깼다 5
더잘까
-
수학레전드 킬러 1
목X중학교 3학년1학기 기말 난 아직도잊혀지지가않음 지금도 못풂 어케하냐
-
번장가보니 뭔 4만원에 팔고잇네;;
-
생윤 사상가들 엄청 많은데 그 사상가들 다 외워야 하나요? 이해만 해도 괜찮은가요?
-
지걍 일찍자고 일찍일어나서 공부 시작합니다
-
스카 자리도 널널한데 굳이굳이 내 옆자리나 앞자리에 앉는 심리는 뭘까.. 20
최근에 갈 때마다 의문이었는데 뭔가 불편해서 다른 구역으로 아예 옮겼음... 그...
-
기만할게 생겻음 4
요즘 길고양이들한테 인기가 많아졌어
-
원래 대학은 못가도 된다는 생각이 있기도 했고, 고2기도 한지라 한 일주일 정도만...
-
외모 딱 5
막 잘생겨지는건 하드웨어상 힘드니까 거기까진 바라지도 않고 호감상 + 객관적 평타만...
-
뭐해야함 백분위 88 95 96 97
-
귀칼잼씀? 2
모고끝나고 보려는디
-
졸리다 2
내일 저녁 7시에 학교 가야하는데 아.
-
새롭게 팔하는사람도많은데 그만큼 누가자꾸탈릅함
-
미적분 0
확통 두달반정도 했는데 노답인거 같은데 다시 돌릴까요… 원래 고정 2등급이었고...
-
지금은 늙어서 뒷방 노인네 신세인 오르비언들 주변 친구들 다 군대가는데 어쩌지 이런...
-
귀여운애인을 사귀고싶다 12
내 오랜바램이다
-
6모 15, 22, 28, 29, 30 틀리고 2등급이었는데 방금 다시 풀었는데...
-
심심 2
밋밋
-
수분감에 극한상쇄문제 아직도 있던데 조교들 극한상쇄 질문으로 힘들어하는데 인정할껀 인정합시다..
변곡점의 기울기가 0이 아닌 경우도 해보세요
그렇네요. 기울기가 0이 아니면 그래프로 안 그려봐도 당연히 함수마다 기울기가 다를 것인데 한 번 그려봤습니다.
그러면 이 개념은 변곡점 기울기가 0일 때만 성립한다고 생각하면 되겠군요
이계도함수가 연속인 함수 g(x)의 변곡점 (a, g(a))에 대해
g''(a+h)g''(a-h)<0 이다. (h는 충분히 작은 양의 실수)
이계도함수가 연속인 함수 f(x)에 대해 함수 h(x)=f(g(x))를 정의할 때
h'(x)=f'(g(x))*g'(x)
h''(x)=f''(g(x))*(g'(x))^2+f'(g(x))*g''(x)
h''(a+h)=f''(g(a+h))*(g'(a+h))^2+f'(g(a+h))*g''(a+h)
h''(a-h)=f''(g(a-h))*(g'(a-h))^2+f'(g(a-h))*g''(a-h)
에 대해
h''(a+h)h''(a-h)<0임을 g''(a+h)g''(a-h)<0 만 갖고 판단할 수는 없죠!
엄밀한 증명은 아니겠지만 "합성함수 y=f(g(x))에서 g(x)의 변곡점은 f(g(x))의 변곡점이다." 명제가 거짓임을 우리가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을 정도로 설명할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