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독서 칼럼] 가장 기본적인 태도: 분류 (15수능-칸트의 취미판단 이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690819
간단 스펙
2023 수능 언매 백분위 100
2023 6월 평가원 모의고사 백분위 98
2022 LEET 언어이해 28/30
2022 시행 4,7월 교육청 원점수 100
국어 과외 진행중
국어 독학서 제작중
안녕하세요! 오늘은 글을 읽음에 있어서 제가 생각하는 가장 기본이 되는 태도가 무엇인지에 대해 이야기해보고자 이렇게 노트북 앞에 앉아서 칼럼을 쓰게 되었습니다.
독해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훌룡하신 선생님들, 칼럼러분들, 저자 분들께서 각자 다양한 형태로 학생들에게 전달하고 계십니다. 어떤 분께서는 그냥 읽고 그냥 풀자, 흔히 그읽그풀이라고 불리는 태도를 중요시하시고, 어떤 분은 구조를 강조하며 독해를 해나가야 한다고 이야기 하십니다. 물론 독해에 있어서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어떻게 읽든 결국 내용을 정확히 이해하고, 문제를 잘 풀 수 있으면 장땡이니까요.
그러나 시간을 줄이고, 또한 내용 이해를 더욱 빠르게 하는 방법은 분명 존재합니다. 저는 기출을 분석하고, 제 독해 과정을 가시화하면서 몇가지 중요한 태도들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가시화에 대한 칼럼을 이전에도 쓴 적이 있으니 이 글을 읽으신 후 같이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국어 칼럼] 사고의 가시화
https://orbi.kr/00060420118/%5B%EA%B5%AD%EC%96%B4%20%EC%B9%BC%EB%9F%BC%5D%20%EC%82%AC%EA%B3%A0%EC%9D%98%20%EA%B0%80%EC%8B%9C%ED%99%94-%ED%95%B4%EC%84%A4%20%EC%9E%91%EC%84%B1
여러가지 태도들이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이 저는 분류라고 생각합니다. 왜 그렇게 생각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분류는 어떻게 해나가야 하는 지에 대해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왜 분류를 해야 할까?
분류의 사전적 정의를 가져와 봤습니다.
분류 : 개념이나 주체를 인지하고, 차별화하고, 이해하는 과정
분류는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특정 개념, 대상 등을 어떤 키워드 아래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많은 상황에 분류를 적용합니다. 빨래를 상의, 하의, 속옷 등으로 분리하는 작업부터, 수능 수학을 공부하며 여러가지 개념들을 단원 별로 구분하고, 문제들을 하나의 유형으로 묶어서 구분하는 작업까지 이미 분류는 많은 곳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제가 수능 독서 지문을 읽어나가는 데에 있어서 분류가 특히 중요하다고 하는 것일까요?
답은 바로 '기출'에 있습니다. 평가원 기출에 등장하는 선지들을 살펴보면, 단순히 개념들의 분류만 가지고 선지 판단이 가능한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또한, 개념을 인지하고 구조화하는 작업에서 분류는 가장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개념이 어떤 개념 아래 속하고, 다른 개념들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분류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저는 수능 독서를 '교과서를 10분 안에 읽고 개념을 학습하는 과정'이라고 장의합니다. 우리가 수학, 과학, 사회 등에서 개념을 학습하고 문제를 푸는 과정과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독서 지문을 읽으면서도 개념을 학습하는 과정에 속하는 행동들을 해나가야 합니다. 여기서도 우리는 분류가 독서에서 얼마나 중요한 지 알 수 있습니다.
2. 어떻게 분류를 해야 할까?
수능 독서에서의 분류는 특정 집합을 설정한 후, 그 집합 안에 해당하는 원소들을 지문에서 하나씩 찾아서 집합에 넣어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문에서 설명하는 내용의 구조화가 가능해지고, 또한 대량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됩니다. 15수능에 등장했던 칸트의 취미판단 이론 지문을 가지고 직접 같이 분류를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문단부터 두 입장의 대비되는 견해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합리론은 이성에 의한 지식을 중요시하지만, 칸트는 미적 감수성(=미감적 판단력) 또한 이성만큼 중요하다는 의견을 내비치고 있습니다. 합리론, 칸트라는 집합을 설정하고, 원소들을 집어넣으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합리론 | 칸트 |
이성에 의한 지식 | 미감적 판단력 |
2문단에서도 이성적인 판단과 미감적 판단력이 서로 대조되며 각각의 특징들이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성, 미학이라는 집합을 설정하고, 지문에 등장하는 특징을 원소로 보고 집어넣으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성 | 미학 |
(보편적) 개념 규정적 판단 객관적 성질 보편성, 타당성 | 취미 판단 미감적 판단력 미/추 주관적 감정 |
여기까지 분류를 해보고, 27번 문제와 29번 문제의 1번 선지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27. 윗글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칸트는 미감적 판단력과 규정적 판단력이 동일하다고 보았다.
=> 분류를 제대로 했다면 틀릴 수 없는 선지입니다. 규정적 판단력과 미감적 판단력은 서로 다른 집합에 속하는 원소로, 칸트가 동일하다고 보았다는 주장은 옳지 않습니다.
② 칸트는 이성에 의한 지식이 개념의 한계로 인해 객관적 타당성을 결여한다고 보았다.
=> 앞서 진행한 분류에 의하면 이성에 의한 지식은 객관적 성질을 원소로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칸트가 객관적 타당성을 결여한다고 보았다는 주장은 옳지 않습니다.
③ 칸트는 미적 감수성이 비개념적 방식으로 세계에 대한 객관적 지식을 창출한다고 보았다.
=> 역시 객관적 성질은 이성에 속하는 원소로, 미적 감수성이 객관적 지식을 창출한다고 하기는 어렵습니다.
④ 칸트는 미감적 판단력을 본격적으로 규명하여 근대 초기의 합리론을 선구적으로 이끌었다.
=> 칸트와 합리론은 아예 반대되는 집합입니다. 칸트가 합리론을 선구적으로 이끌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⑤ 칸트는 미적 감수성의 원리에 대한 설명이 인간의 총체적 자기 이해에 기여한다고 보았다.
=> 제가 올려드린 지문에는 등장하지 않으므로 해설은 생략하겠습니다. 5번이 맞는 선지입니다.
29. 윗글을 통해 추론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① 개념적 규정은 예술 작품에 대한 취미 판단을 가능하게 한다.
=> 개념적 규정은 이성에 속하는 원소로, 미학에 속하는 원소인 취미 판단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다고는 보기 어렵습니다.
단순히 분류만 해보았는데, 벌써 5개의 선지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분류를 정확하고 빠르게 하는 것은 지문 이해에도, 문제 풀이에도 매우 중요한 태도입니다. 이 글을 읽으시고 난 뒤, 2309인문 지문인 아도르노 미학의 의의와 한계, 17수능인문 지문인 콰인&포퍼 , 11수능과학 지문인 그레고리력 지문을 풀어보시면서 분류에 대한 감각을 더 키워나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다음에는 또 다른 독해 태도에 대한 칼럼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신 : 좋아요와 댓글은 칼럼러에게 매우 큰 힘이 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모르는 사람과 톡 하면 긴장하는 이상증세가 있어요..
-
덕코 좀만 주셈 0
30만 채우게
-
ㅇㅇ?
-
내가 수상하는 1 이거나 가끔 2인대 중학수학 가억 하나도 안나고 내가 학교 안나간...
-
경제나 해라 1
개 꿀 과목 외않헤?….; 개념도 개 쉽고 문풀도 좀만 연습 하면 되는데… 오히려...
-
나갔다옮...
-
How many special people change 0
We were getting high
-
ㅎㅂ 0
-
오히려 나머지 오릅 팔로워들 마저 나 차단 할거 같아서 얌전히 있는중...
-
ㅈㄱㄴ
-
대전 재수학원 2
상담 2군데 다녀왔는데 1. 베스트 제일 (셔틀 있음) 2. 러셀코어 (셔틀 없음)...
-
ㅠㅠㅠ 눈팅 메타 재미없숴...
-
길 가다가 가방 문 열린 줄도 모르고 필통이랑 플래너 떨어트렸는데 주워간 사람은 못...
-
잘 뜨고 잔머리가 좀 일어나는데 이거 스트레이트 펌 하면 좀 나아질까요?
-
사탐 질문 3
지금 과탐을 개념기출 하다가 벽을 느껴서 사탐으로 돌리려고하는데 , 맞는...
-
작년3모보단 쉬운듯
-
고트대고트
-
노래추천해줌 0
새벽에 에어팟 끼고 박효신 ‘연인’ 들어바바
-
내일부터 책상에 드러눕거나 수업 중 교실 돌아다니면 '교권 침해' 1
학생이 교사의 지도에 불응해 책상 위에 눕거나 교실을 돌아다니는 행동이 교육활동...
-
고민되는군 기부니 안조은걸 ㅜㅜ
-
3모내일임? 1
응입대가3개월남은게이는그딴거안풀어
-
괴델<< 0
진짜 개어렵네..
-
작수 미적 30번 n=7로 풀어서 틀리고 또 똑같은 짓을 반복 걍 죽어
-
국어 7등급인데 개념의 나비효과 입문편 듣다가 소설 문학에서 안듣고 김동욱 커리...
-
정시 의대 합격, 경력 6년차입니다.
-
ㅈㄱㄴ
-
오잉 0
무지개색깔글씨 헷
-
모르면 찍어야지 ㅋㅋ 아
-
ㅈㄱㄴ
-
과제만 시마이치고 노는 중 캬캬
-
밍 1
ㅜㅡㅜ
-
요새 안올라오네..
-
중학교는 남중이었고 11
고등학교는 남여 1:4 비율이었어요 교복이 있긴 했는데 아무도 안 입고 다녔음.. 우우
-
껌 하나씹으면 1
뭐가 들어간거같지도 않아서 두개씩 씹는데 내가 이상한건가
-
후엥
-
나 너무 틀닥인데 어떡함..
-
어떤가요???? 지금 들어갈지 6모치고 시대들어갈지 고민중인데 시대는 6모거의만점...
-
대학원 가고싶다 11
ㄹㅇ
-
제가 작수 5등급이라 지금 한파트당 쎈 한번 풀고 까먹기 전에 기출 어느정도...
-
있나요..? ㅠㅠ
-
작수 수학 48점 5등급 맞고 1월부터 재수시작 개념도 다 했고 3모 대비 할겸...
-
단독문제로 안 나온대해서 빡세게 공부할 필요가 없는건지 질문합니다 유전 해본지 얼마 안 됐어요
-
김밥천국이 최고! 치즈돈까스 세트 시켰음
-
빨리 수학공부나 하러 가라 짜슥아 ㅋㅋ 여기서 위안거리 찾지 말고 ㅋㅋ 3모는...
-
싫어하는 애가 계속 말걸고 노잼드립도 치고 그래요.. 얼마전에는 아이패드 케이스...
-
써전이되고싶다 2
오래된 생각 아니고 최근의생각
-
KISS 후드집업 90개 쏩니다! (후기 이벤트) 안녕하세요...
-
입니다 몇 분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3월 학평 잘 보고 오세요 듣기 틀리지...
-
님들 꼭 껴안고 키스갈기고 싶음..

와 감사합니다 ㅜㅜㅜ 저도 항상 국어 풀고나서 생각할때 지문에서 주어진 정보를 잘 분류하고, 선지판단할때는 대응관계를 파악하면서 풀려고 했는데 그걸 딱 더 명쾌하게 써주신 느낌이라 넘 좋아요!!!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칼럼 다시 한번 읽고 추천해주신 기출 풀어봐야겠어요!!답글 남겨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ㅠㅠ 사실 댓글 하나도 없어서 매우 슬퍼하던 중이였는데 다시 힘이 생기네요 ㅋㅋㅋㅋ 기출 풀어보시고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질문주세요!

칼럼만큼 정성이 많이 필요한것도 없는데 보면 칼럼 퀄리티에 비해 댓,좋아요가 적은 경우가 많더라구요 ㅜㅜㅜ 아무래도 입시 사이트라 다들 바쁘신가... 아무튼, 깔끔하고 친절하게 도와주셔서 저는 너무 감사해요!! 질문있으면 낼 또 하겠슴당 ㅋㅋㅋ넵 화이팅하세요!!

넵!! 저도 뀨대..가기위해 마무리하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