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성공하자! [1054641] · MS 2021 · 쪽지

2023-01-18 14:51:57
조회수 2,832

이원준 체화한 사람다와보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413605

1. 브크들을때 모든 말이 다이해가 되었는지

2. 이원준처럼 전건 후건 부정 논리적으로랑

주장 관계부정 근거부정으로 시험장에서 다 풀수있는지

3. 체화하기 위해 한것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직김승리만 · 1108529 · 23/01/18 14:58 · MS 2021

    원준t 디시겔러리 한번 가보세요 거기 공부 관련 글 꽤 되던데

  • 잠이와요 · 1156057 · 23/01/18 17:13 · MS 2022 (수정됨)

    처음 들을때 문장하나하나 a4에 써서 각 문장마다
    하시는 말 다적고 이원준t처럼 사고하려고 노력했어요


    한 4달정도 열심히 하니까 그뒤로는 말하시는거
    귀에 쏙쏙 박혔음
  • 인생성공하자! · 1054641 · 23/01/18 18:30 · MS 2021

    국어 몇등급이였음

  • 잠이와요 · 1156057 · 23/01/18 21:02 · MS 2022

    언메 백분위 98입니당

  • 잠이와요 · 1156057 · 23/01/18 21:04 · MS 2022 (수정됨)

    제가 유용하게 사용하던 게 있는데
    이원준t가 말씀하시는걸 글이나 스키마로 정리해서 저한테 이해하기 쉽게 만들었어요

  • 잠이와요 · 1156057 · 23/01/18 21:05 · MS 2022

    처음 들었을때는 중간중간 멈추면서 0.8배속으로 들었습니다

  • 잠이와요 · 1156057 · 23/01/18 21:10 · MS 2022 (수정됨)

    관계부정을 이야기하셔서 생각나는게
    작년 9평 아도르노 문제가 생각나는데
    아마 관계부정에 해당하는 문장이 문제로 나왔었을 거에요
    이제 거기서 전제부정이었으면 어떤 글이었을까?
    생각하고 최대한 표현될 수 있는 여러가지를 적어보면서 공부했습니당

  • 인생성공하자! · 1054641 · 23/01/18 23:37 · MS 2021

    헐 그렇게까지요??..

  • 인생성공하자! · 1054641 · 23/01/18 23:38 · MS 2021

    서실 아도르노 지문듣고 첨에 벙쪄서요.. 후건부정이랑 관계부정 어려웟어서 3번들었는데 그부붘 해설 ㅇㅇ 이해는 가는데 뭔가 좀 어렵고 어?.. 하는느낌?

  • 잠이와요 · 1156057 · 23/01/18 23:49 · MS 2022 (수정됨)

    원준t수업을 들어서 그런 사고가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요ㅠ
    야,만,도 표현 하나로도 표상이 정말 다양하니
    사실 스키마를 완전하게 체화하는 건 불가능하고 저는 스키마나 판서 에 집중을 했기 보단 독해과정에 초점을 맞췄어요!
    수업 중간에 원준t도 스키마를 만들어가는 과정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다고 언급하셨던거 같아요
    다시 말하면 표상은 같지만, 그걸 기호화하는건
    사람마다 표현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판서에 너무 집중 안하셔도 되구요
    찍먹으로는 확실히 벽이 있다고 생각이 들었어요
    찍먹이 문제지,정말 세심하게 가르치시고, 최고의 강사답게 말로 표현, 강의력 하나만큼도 원탑이라 생각듭니다!
    처음부터 열심히 믿고 따라가시면 오히려 국어공부가 재밌어질 거에요!

  • 잠이와요 · 1156057 · 23/01/18 23:53 · MS 2022

    그 3번문제 안에서도 하나하나 다 얻어가셔야 됩니당!!

  • 인생성공하자! · 1054641 · 23/01/18 23:56 · MS 2021

    감사합니다 혹시
    위해서 통해 등등 수단목적 인과 나오면
    예를 들면
    B를 위하여A로 나오면 a->b로 표기하면서 a를통해b라고 머리속에서 생각하고 읽나요

  • 잠이와요 · 1156057 · 23/01/19 00:16 · MS 2022

    저는 일단 '화살표'는 확실하게 구분해서 생각하거나 그리는데요
    법이나 기술쪽에서 포함관계,개체관계,인과관계,필요조건 등등
    모두 다양하게 쓰여서 헷갈렸었습니다
    인과관계와 필요조건을 응용하시면 보충도식이 보였구용
    단정지어서 이렇게 해야한다!를 말을 못할거 같은 게 문제를 푸는데에 있어서는 정말 수많은 변수가 존재해서 일단 열심히 꾸준히 들으시는게 중요할 거 같습니다!
    (예를들면, 인과관계 안에서도 질적이나 양적차이를 비교해야 한다거나
    정량적 숫자를 그냥 줘서 산수를 해야한다거나
    비판적인 사고를 더 물어보거나)

  • 잠이와요 · 1156057 · 23/01/19 00:20 · MS 2022 (수정됨)

    제 기준엔 작년 6,9평이 정말 좋은 지문들이었는데 여기 나오는 지문들 세심하게 보시는 게 좋아보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