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하) '사건의 지평선' vs '꺾이지 않는 마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160631
[이성권 문학칼럼] (윤하) '사건의 지평선' vs '꺾이지 않는 마음'
1.
대학가에서만 떼창으로 부르는 노랜 줄 알았는데
‘사건의 지평선’을 중학 1년생들에게 들려줬더니
인트로만 듣고도 대학생들과 똑같이
떼짱을 하는 모습을 보고 깜짝 놀랐다.
역주행 음원 차트 1위곡 ‘사건의 지평선’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길래...
한편
새해까지 대세 중의 대세 문구로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중꺾마)은
도대체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길래....
2.
블랙홀의 특정 경계면을 넘어서면 빛마저도 빨려 들어가서
‘이쪽’과 ‘저쪽’은 결코 상호작용하거나 섞일 수 없는
딴 세상이 되고 만다는 ‘사건의 지평선’,
마치 깊은 ‘사랑’에 빠졌으나 이별 후엔 결코 건널 수 없는
강 저편과 이편의 세계로 분리돼버리는 이 이질적 현상과
차별적인 의식 상태와 같이.....
이 ‘우주적 흐름’(?)과 ‘의식의 지평선’을 매일같이
아무렇지도 않게 경험하며 살고 있기에 이렇게들
직관적으로 공감하고 떼창을 하고 있는 것일까?
3.
‘중꺾마(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라 는 것을
‘난 한 번도 꺾일 수 없다’는 신화적 이상쯤으로 알고서
지금 대세의 문구로 회자되고 있는 것일까?
‘사건의 지평선’ 이쪽과 저쪽 경계면의 흐름 속 변화 앞에서
예외인 사람이 있을까?
차라리 ‘꺾일 수밖에 없고, 꺾여도 좋다’는 삶의 자세로
나 자신을 있는 그대로 기꺼이 받아들이는
‘친절한 마인드’가 나를 거듭 새롭게 일어나게 할 수도 있다.
우리는 ‘사건의 지평선’과 ‘의식의 지평선’ 앞에 선
예외없는 ‘우주적 존재’(?)로 휘청거릴 수밖에 없으니까....ㅋㅋ
‘오로지 그거 아니면 안 되고’ ‘내 생각대로 된다’고 믿을수록
더 휘청거리게 되버리는 역설? ㅎㅎㅎ
4.
윤하의 ‘사건의 지평선’ 가사 중에
지금의 ‘나’를 기꺼이 받아들임의 부분들,
① ‘노력은 우리에게 정답이 아니라서
마지막 선물은 산뜻한 안녕’
(애써서 되지 않을 ‘사건의 지평선’ 부분에 대하여
거부할 수 없는 ‘운의 흐름’에 따라
어떤 경우에는 결코 노력하지 않는 게 정답!
안녕!은 산뜻한 것)
②‘생각이 많은 건’ 말이야
당연히 해야 할 일이야.
(너무 많은 생각이 해로운 것만은 아니고
마음을 ‘비우기’보다 ‘더 많이 채워야’ 할 때가 있어.
바로 너와 나, 우리에 대한 생각!)
③ 여긴, 서로의 끝이 아닌
새로운 길 모퉁이
익숙함에 진심을 속이지 말자.
고마웠어요. 그래도 이제는
사건의 지평선 너머로.
(사랑, 이별, ‘사건의 지평선’은 우주적 진실이고
실재여서 이쪽과 저쪽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길의 경계면!)
5.
‘꺾이지 않는 마음’의 첫 출발이 되는 방법들?
1)
‘지금’ ‘여기’로 돌아오기. 심호흡(코,가슴)하면서
이렇게 살아있음을 느낌.
2) 이완, 평정 신체감각을 떨어져 바라보기.
얼굴에서 발끝까지 바디스캔
3) ‘낯선 자’, ‘낯선 곳’으로 찾아가기
답답할 때 일어나 산책하라. 새로운 풍경 (자연) 앞에 서기.
4) 각자 할 수 있는 운동에 몸을 맡기기.
5) 마음가짐. 회복하기.
Doing (행위, 성취, 결과 모드) vs Being (존재 모드)
어떤 결과, 성취에도 나 자신의 존재 자체는 그대로
가치롭고 훼손될 수 없다는 ‘존재모드’ 확인하기.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게도....
[이성권 문학칼럼] (윤하) 사건의 지평선 vs 꺾이지 않는 마음
2023.1.7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우선 제보해주신 'holden' 님께 감사의 말씀을 먼저 드리겠습니다. 53페이지...
-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대비 법과정치 단권화노트 「Law&Politics The Summary 2016」 배포 개시 23
1. 압축 푸는 방법 두 파일을 같은 폴더에 다운받아서 압축 푸시면 됩니다.둘 중...
-
제작중인 법과정치 자료들에 대해서 말씀을 좀 드리자면 3
1. 요약노트는 A4, 10pt로 작성중입니다. 2. 요약노트는 현재 헌법파트 중...
-
이런 식으로 법적 근거가 되는 조문 찾아서 넣어드리면 공부하시는데 도움이 좀...
-
제 나름 전공과목(?)인 정치학입문 시간에 들은 내용을 일부 선지에...
-
우선 그동안 빼먹었음에도 한문제밖에 못 만든 것에 대한 사과를 드립니다 ㅠㅠㅠㅠ일단...
-
201103~201503 문과수학 교육청+평가원 기출문제지 모음집 0
아까 올렸던 거랑 같은 건데 이건 제가 따로 교육청/평가원을 분류해놓은...
-
201103~201503 문과수학 교육청+평가원 기출문제지 합본 2
설마 이것도 안 올라가진 않겠지 미통기 도입 이후 시행된 모든 교육청 및 평가원...
-
문항이 오류가 있어 수정한 것을 다시 올립니다.11~12시 즈음 정답 및 해설...
-
근로계약서 가지고 문제만드려다 까먹... ㅠㅠ 오늘도 자정즈음에.
-
문제 내는 입장에서 제일 재밌는 파트가 몇 군데 있는데그 중에 한 군데가 통치기구...
-
아이고 까먹고있었네 제가 죽일놈입니다 ㅠㅠ답과 해설은 자정 전후로! 근데 이거 쉬워요
-
PiaTe_20150315 법과정치 자작문항 1일차 11
스터디에 쓸 문제 하나 가져왔습니다.해설과 정답은 10시 이후에.
-
오르비분들은 금방 푸실 듯.수능특강 3강 부분이고 이런 문제를 3강에서만 3개를 더...
-
현재 제작중인 자료 14
오르비에서 일본어 몇분이나 치시는진 모르겠는데... 없으면 저라도 보려고(...)...
-
찾으시는 분들이 가끔씩 계시길래 일단은 다시 올립니다.16수능 대비용 개정판이...
-
[퀴즈]다음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9
(단, (가)~(다)는 우리 헌법의 기본 원리 중 하나이다.) 갑: (가)를...
-
올해 피아테노트 업그레이드판입니다.결론 = 법정은 자급자족
-
2016 수능, 법과정치를 선택한 수험생들을 위한 안내서 - 2. 학습법 (2) 인터넷강의 24
지균면접 준비하느라 이걸 한동안 못 썼습니다. 오르비에 뻘글 쓸 시간에 했으면...
-
2016 수능, 법과정치를 선택한 수험생들을 위한 안내서 - 2. 학습법 (1) 기본서 6
개론(?) 파트는 충분히 설명한 것 같으니 이제 본론인 학습법으로 들어가도록...
-
2016 수능, 법과정치를 선택한 수험생들을 위한 안내서 - 외전1. 법과정치는 누가 선택해야 하는가? 1
제일 앞에 적어야 되는 걸 지금 적고 있네요나 뭐했냐..어쨌든 간단하게나마...
-
2016 수능, 법과정치를 선택한 수험생들을 위한 안내서 - 1. 법과정치와 어울리는 과목은? 51
...제 성적표 가지고 설명할 게 있어서 일단 성적표 첨부해놓겠습니다.원래는 이번엔...
-
2016 수능, 법과정치를 선택한 수험생들을 위한 안내서 - 0. 법과정치는 어떤 과목인가? 0
고등학교 2학년인 작년 때부터 사탐으로 법과정치를 선택하고 공부했으니 올해로...
-
1 삥쓩뽕쓩 42 2 JYS 42 3 Stevenstanley 36 4...
-
2015학년도 DPS 모의평가 법과 정치 문제지/정답지 배포 141
출제자 : PiaTe 검토진 : 감귤우유, 별표세개조지삼(이상 오르비), 최남제,...
-
제작중인 직전모의고사에서 뺄 문제입니다.이 문제 빼고 좀 더 포괄적인 형태의 문제를 넣을 것입니다.
-
문제 개념 좀 더 추가해서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라 공개합니다.문제에서 을이랑 C...
-
어쩌다 보니까 직전모의고사에서 기본권 문항을 2개를 출제해버려뺄 문항을 공개합니다.
-
[수정본01업로드]자작 한국사 근현대파트 연도정리 노트(?) 31
오류 몇 가지를 고쳤으니 _수정01 이 붙은 파일을 다운받아 주세요.용지 A4니...
-
교과서 구석탱이에 박혀있는 개념 끌고와서 만들었습니다.
-
[재업로드]2015학년도 PiaTe 9월 직전모의평가 법과정치 문제지 및 정답지 배포 28
오르비 글쓰기 파일첨부 시스템으로 업로드해도 파일을 찾을 수 없다고 떠서 부득이하게...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