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라몬 [1159823] · MS 2022 (수정됨) · 쪽지

2023-01-05 00:33:13
조회수 5,365

제주 방언에 대해 알아보자 1) 의문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1089647

 * 제주 방언은 중세국어의 흔적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방언이지만 고유의 특징 때문에 '제주어'로 분류되기도 하는 언어이다. 그러나 일단 이 글에선 국립국어원이 사용하는 표현인 '제주 방언'을 쓰고 한 어족에 속한 별개의 언어가 아니라 한국어의 방언으로 쓸 예정이다.  


제주 방언의 의문문부터 알아보자. 육지 사람들은 끝에 '-ㄴ'이나 '-안/언', '-멘'만 붙이면 다 의문문이 되는 줄 알지만 그것도 상황에 맞게 써야 맞지, '도랐멘'이나 '예쁘멘'처럼 이상한 표현들은 엄연히 틀린 의문문이다. 화자와 청자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아니면 의문문의 성격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도 있겠지만 여기선 제주 방언의 대표적인 의문형 어미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1. '-안/언'

가끔 '-ㄴ'을 붙이는 게 제주 방언이라고 하는데 엄밀히 말하면 '-안/언'을 붙이는 거라고 해야 한다. 이는 '가이 어느제 간?(걔 언제 갔어?)'과 같은 경우를 보고 '가-+-안'에서 동음 탈락이 일어났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해서 일어난 것이다. 의문형 어미는 '-ㄴ'이 아니라 '-안/언'이다. '-안/언'은 평서문에서도, 의문형에서도 쓰일 수 있는 어미인데 기본적으로 과거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 어미를 활용할 때는 연결어미 '-아/어'를 생각하면 편하다. 제주 방언에서도 불규칙 활용은 일어나기 때문에(물론 예외는 있음), '크-+-어'를 '커'로 쓰듯이 '크-+-언'은 '컨'이 되고, 'ㄱㆍㄷ-+-안'은 'ㄱㆍ란'이, 'ㅎㆍ-+-안'은 'ㅎㆍ연'이 된다. 모음조화만 지키면 활용은 딱히 어렵지 않다. 참고로 'ㅎㆍ여-'는 '헤-'로 줄어들기에 '말핸'이나 '그거 핸'이 아니라 '말헨'과 '그거 헨'으로 쓰는 것이 맞는다. 소창진평의 연구에 따르면 이는 ㆎ의 발음이 ㅔ로 바뀌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ㅔ와 ㅐ의 발음이 달랐다. 


그리고 '-안/언'은 청자가 화자보다 낮거나 같은 위치에 있을 때 쓰이는 어미이며 높임을 나타내는 의문형 어미는 아니다. 


예문

  • 밧디 간?(밭에 갔어?) * 제주어의 처격조사는 '에' 말고 여러 종류로 분화됐다. 
  • 무사 경 헨?(왜 그렇게 했어?)
  • 밥 먹언?(밥 먹었어?)
  • 그디서 잘 잔?(거기서 잘 잤어?)
  • 철수 아방신디 ㄱㆍ란?(철수 아빠한테 말했어?)
  • 자락자락 뒤져도 못 ㅊㆍㅈ아신디 어디 잇언?(막 뒤져도 못 찾았는데 어디 있었어?)



2. '-멘'

'멘' 역시 평서문과 의문문에서 모두 쓰일 수 있는 어미인데 '-멘'은 동사에 쓰이는 명사형 어미인 '-ㅁ'과 인용형 어미 '-엔'이 합쳐진 꼴이다. '-켄'이나 '-젠' 등의 인용형도 다 '-엔'이 붙은 꼴이다. 제주에서 '-ㅁ'은 동명사적 역할을 하는데 이는 동사에만 붙는다는 뜻이다. 그러니 '-ㅁ'에 '-엔'이 붙은 '멘' 역시 동사에만 붙어 활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고 싶으멘'이나 '당연하멘', '예쁘멘' 등의 표현은 형용사에 '-멘'이 붙은 것이니 다 잘못된 표현이다. 


'-멘'은 '-ㅁ'이 '-음'이라는 어미를 이형태로 가지듯이 '-으멘'을 이형태로 가지며 어간의 받침 환경에 따라 교체된다. 앞말이 받침이 있다면 '밥 먹으멘?'이나 '지금 뭐렌 ㄱㆍ르멘(ㄱㆍㄷ-+-으멘)?'처럼, 받침이 없으면 '지금 뭐 쓰멘?'처럼 쓴다. 이처럼 동사에만 쓰이는 이유는 '-ㅁ' 자체에 진행상의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영어에서 말하는 현재 진행(-ing)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그러니 진행상인 '-멘'은 과거 선어말 어미 '-앗/엇'과 함께 쓰일 수 없으며 '도랏멘'이나 '먹엇멘'과 같은 표현들은 틀렸다. '-멘' 역시 높임을 나타내는 어미는 아니다. '-안/언'과 '-멘' 모두 낮춤말이다. 


예문

  • 이젠 안 ㅎㆍ멘?(이젠 안 한다고?)
  • 지금 뭐렌 ㄱㆍ르멘(지금 뭐라 말하고 있어?)
  • 밥 먹으멘?(밥 먹고 있어?)
  • 무사 뛰멘?(왜 뛰고 있어?)



3. '-수과/우꽈'


이 어미는 화자가 청자보다 낮을 때 쓰이는 표현으로 표준어에 쓰이는 '하십시오체'의 의문형 어미와 비슷한 위치에 있다고 보면 된다. 즉 청자를 아주 높이는 어미이며 3040 정도 되는 분들이 어르신들께 말씀하실 때 자주 들린다. 


그러나 '수'와 '우'가 쓰이는 경우가 다른데 제주 출신이 아니라면 이게 은근히 복잡하게 느껴질 듯하다. 일단 동사에는 선어말어미가 오지 않는 한 '-수과'가 쓰이지 않는다. '먹수과?'로 쓰이지 않고 '먹엇수과?'로 쓰거나 '먹어ᇝ우과?'로 쓴다. 동사는 진행상을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어ᇝ-'과 흔히 호응하여 의문문을 형성하거나 과거를 나타내는 선어말 어미 '-앗/엇'과 같이 쓰이기도 한다. 그리고 받침이 있으면 '-수과', 받침이 없으면 '-(으)우꽈'가 붙는다. 


그리고 '-수과/수가/수강/수광', '우꽈/우까/우꽝/우깡' 등의 여러 이표기가 있으며 ㅇ을 넣냐 안 넣냐, 원순성이 있는 모음을 쓰느냐 안 쓰냐 등의 차이가 있긴 한데 솔직히 젊은층들은 이런 디테일까지 신경을 쓰며 의문문을 말하지 않는다. 애초에 1과 2, 4와 같은 의문형 어미를 쓰지 3은 거의 쓸 일도 없다. 


예문

  • 누게 잇수과?(누구 있습니까?)
  • 어제 누게가 때렷수과?(어제 누가 때렸습니까?)
  • 미깡 다 땃수과?(귤 다 땄습니까?)
  • 이거 얼마나 크우까?(이거 얼마나 큽니까?)
  • 집이 감수광(가-+-암ㅅ-+-우광)?(집에 갑니까?)
  • 그거 우리 고넹이이우꽈?(그거 우리 고양이입니까?)
  • 펜안허우꽈?(편안하십니까?)

참고로 이 어미를 해석할 때 주체높임이라면 선어말 어미 '-시-'를 넣어도 된다. 그만큼 정중한 표현이기 때문이다. 

또 '-어ᇝ' 뒤에 '-우과'로 오는 걸로 해석하기에는 '-우'는 흔히 된소리(까/꽈)와 호응한다는 점에서 어색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는 '어ᇝ수과'를 써 '먹엄쑤과'로 쓰기도 한다. '-엄ㅅ수과'가 되고 ㅅ과 ㅅ이 만나 된소리로 발음되기 때문이다.




4. '-라'

'-라'는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로 서술격 조사 '이-' 뒤에 붙거나 '-겠-'과 비슷한 의미를 가진 추측의 선어말어미 '-(으)크-' 또는 '아니다'의 어간 '아니-'에 붙는다. '안/언/'과 '멘' 다음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의문형 어미라 해도 될 정도로 흔히 쓰인다. 이 역시 평서문과 의문문에서 모두 쓰일 수 있는데 주로 의문문에서 쓰인다. 


약간 비꼬는 뉘앙스로 쓰이기도 한다. 서술격 조사 '이-'가 흔히 생략되듯 '이라' 역시 육지말과 똑같다.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서는 '이'가 생략될 수 있으니 '나무이라'나 '거이라'는 '나무라'나 '거라'로 쓰일 수 있다.


예문

  • 이 좁작한 게 집이라?(이 좁은 게 집이야?)
  • 저거 돈이라?(저거 돈이야?)
  • 무신 거라?(무슨 거야?)
  • 무신 거 먹으크라?(어떤 거 먹을 거야?)
  • 끝난 거 아니라?(끝난 거 아니야?)




거의 소멸된 제주 방언의 어미 말고 현재도 자주 쓰이는 어미만을 모아서 한번 설명해 봤습니다. 어원 글은 잠시 쉬고 방언 글이나 써 보겠습니다.


방언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