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1월부터 시작할 수 있는 "전과목 공부법(feat. 한의대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986923
안녕하세요, [휘랩연구소] 박재휘 & 김강민T입니다.
지금쯤이면 대부분의 고등학교들은 방학 중일 겁니다.
방학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따라서 다른 사람보다 앞서나갈 수도 있고,
뒤처질 수도 있습니다.
방학이라는 시간은 학기 중보다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오히려 학기 중보다도 더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칼럼에서는 방학 때 해두면 좋을 것들에 대해 써보고자 합니다.
1. 규칙적인 생활하기
방학은 학기 중에 비해 본인만의 시간이 필연적으로 더 많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너무나도 위험합니다.
오로지 공부에 전념하고 싶다면 본인에게 예외를 두지 말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6시에 기상, 7시 30분까지 독서실 도착, 10시까지 국어 공부 ……
이러한 식으로 철저한 계획 속에서 방학 생활을 해나가야 나태해지거나 안일해지는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저는 고2에서 고3 올라가는 겨울방학 기준, 대체로 다음과 같은 일정대로 생활했습니다.
∙06:30 : 기상
∙07:30 ~ 09:30(국어) : 국어 비문학 기출 3지문 이상, 문학 기출 2지문 이상 공부하기, 가끔 문법 공부
∙09:30 ~ 12:00(수학) : 수학 인강 듣기
∙12:00 ~ 12:40 : 점심 시간
∙13:00 ~ 14:00(영어) : 단어 공부 및 지문 10개 보기
∙14:00 ~ 17:00(수학) : 오전에 들었던 인강 복습, 기출 분석
∙17:00 ~ 17:40 : 저녁 시간
∙17:40 ~ 19:30(수학) : 기출 분석 및 문제 풀기
∙19:30 ~ 22:30(과탐) : 수능 대비를 위한 과탐 인강 듣기 및 복습
∙23:30 : 취침
놀 수 있는 시간은 수능 이후에 충분히 많습니다.
2. 수학 선행
논란이 될 수도 있는 수학 선행...
본인의 역량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참 애매한 부분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행은 어느정도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 현행에 대한 깊은 이해가 전제가 되어야 합니다.
수학이란 과목 자체가 논리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이전 과정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내용이 많습니다.
무턱대고 하는 선행 학습은 피상적으로는 빨라 보이나, 결국에는 다른 사람보다 느려질 수 있습니다.
이전 내용에 대한 심도있는 이해를 한 후에 선행 학습을 통해 한 바퀴 돌려놓으면
해당 개념을 어느 정도 잊게 되더라도
다시 그 궤도에 오르는 데 걸리는 시간이 아예 하지 않은 사람보다 훨씬 짧게 걸립니다.
특히, 과탐을 선택한 고3들은 과탐에 많은 양의 시간을 써야 하기 때문에
선행 학습이 되어 있지 않다면 나중에 힘들 수 있습니다.
여러 매체 및 사람들과 접하면서 제가 추천하는 수학 선행 학습 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확통 선택자의 경우
확통 수업이 2학년 때 있다면 수1, 수2는 물론이요,
확통도 어려운 3점, 쉬운 4점 문제는 자연스럽게 풀 수 있도록 공부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확통 수업이 3학년 때 있다면 확통 선행 학습이 필수적이지는 않습니다.
다만 수1, 수2는 바로 시험칠 내용일뿐더러, 수능에서 22개의 문제가 출제되므로 필수적으로 하셔야 합니다.
(2) 미, 기 선택자의 경우
미, 기 수업이 2학년, 3학년 때 있는지 관계없이 선행 학습을 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3. 수학 기출
고3 기준, 이쯤되면 현강이든, 인강이든 커리큘럼이 나왔을 겁니다.
이 시기면 기출에 관한 커리큘럼이 시작될 때죠.
괜히 1~2월에 기출을 하는 것이 아닙니다.
기출 분석이 굉장히 중요한데, 이것을 하기에 방학이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또한, n제 및 수능은 기출에서 사용된 원리에 따라 새롭게 문제들이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으니
본인이 다니는 학원, 혹은 인강 강사의 커리를 따라 기출을 꼼꼼히 분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분석법은 나중에 칼럼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4. 과학탐구
곧 고2가 되실 분들은 고2 내신 시험에 과탐이 포함되어 대부분 3과목 이상 시험을 치게 될 겁니다.
고2가 되면 고1에 비해 시험치는 과목들이 더 많아집니다.
그래서 학기 중에 과탐을 시작하기에는 나중에 내신 때 시간이 부족해 킬러 문제들을 대비하지 못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방학 때 미리 공부해두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는 고2 1학기에 물리학1, 고2 2학기에 화학1, 생명과학1 시험이 있었기 때문에
해당 학기 직전 방학에 위의 과목들을 공부했습니다.
개념 공부는 인강을 활용했습니다.
5. 국어, 영어
이 과목들을 엮어서 설명하는 이유는 감각이 중요한 과목들이기 때문입니다.
하루라도 쉬면 이상하게 지문이 잘 읽히지 않는 느낌이 드는 요상한(?) 과목들이죠.
또, 국어는 가장 먼저 치는 시험이고,
영어는 밥 먹은 후 가장 피곤할 때 치는 시험이기 때문에 공부하는 시간대도 매우 중요합니다.
국어는 아침에 최소 비문학 3지문 이상,
영어는 점심 먹고 난 후에 10지문 이상은 매일 보도록 합시다. 반드시 하도록 합시다!
국어 문법 개념은 인강을 통해서 공부했고,
영어는 20 ~ 24번 중 2문제, 어법 1문제, 어휘 1문제, 빈칸 2문제, 순서 1문제,
삽입 2문제, 장문 독해 1지문 이렇게 공부했습니다.
우리에게는 ‘관성’이란 것이 존재합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관성은 물리학적 개념의 관성이 아닙니다.
습관에 있어서의 관성입니다.
방학을 성실하게 보내지 못하면 결국에는 학기 중에도 이 흐름이 이어져 좋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방학을 알차게 보내면 그대로 탄력을 받아 쭉쭉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제가 괜히 ‘규칙적인 생활하기’를 가장 먼저 설명한 것이 아닙니다.
<휘랩연구소 휘라노의 이전 칼럼 보고 1월 1일부터 점수 5점 확 올리기>
1. 졸음 쫓는 법 총정리 https://orbi.kr/00058527928
2. "실수"를 줄이는 초고속 실천 방법 https://orbi.kr/00058435969
0 XDK (+10)
-
10
-
걍 기하 개념서만 한 반 정독하고 문제 풀어도 준킬러는 풀림
-
1비틱 1버거
-
꼭성공하리라
-
배고픔 1
-
ㅅㅂ 말안되긴함 올6 이하였는데 재수로 스카이 간 사람인데 수학 어케했는지 물었는데...
-
친구들이 연락오면 뭐라고하시나요 쪽팔릴거같음..놀리는게ㅜ아니고 제 미래같아서
-
다른사람들 다 미운데 12
5수하란 새끼가 제일 미움
-
현실이 재미없는거임
-
게으른 것만 고치면 내 목표에 닿을 것 같아
-
놀다왓음 나
-
맛있다
-
사설이니까
-
진짜임..
-
아 부러워 진짜부러움 18
나도 존잘남이었어서 어떤 호구잡으면 책 사줫을거아니야
-
이거들어바 4
최근 갱신된 내 최애 노래
-
내가 2년전 공부 막 시작할때 가능충이었음
-
ㅇㅈ 3
-
탈릅 할까 3
갑자기 마렵네
-
이렇게 망가진 날 그래도 놓지 않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게
-
글조회수가왜저럼..
-
4규사준 여르비 20
전데요? 네. 접니다
-
성공한 삶인가 다들 그냥 한국 남성 평균 대화만 함
-
우으 취한다 4
술 많이 마신거 같아요 (술 많이 마실 사람 구함)
-
어삼쉬사 안풀릴때 존나 힘들었는데 걍 문제 풀고 실전개념 듣고 하다보니 어느새...
-
뭘 해야하는가
-
우리가 답변할 수 있는 한계가 있음 감도 안오는 라인이 각자마다 명확하게 존재하고...
-
ㄹㅇ
-
여기싸고좋음
-
어으 추워 0
-
의학(소위 서양의학)이 해결 못해주는 걸 틈틈이 해결해주는 그런게 아닌가 싶어요....
-
국어는 늘 그랬듯이 잘봤다는 느낌만 들었고 성적도 예상가능범주 내로 나왔고 수학풀고...
-
아주대 1
아주대 전자공학과가 제가 지망하는 학교인데 수능을 어느정도 봐야하나요? 작수...
-
나도 ㄱ,렇게 하고 싶음 나는 아는 욕이라고는 ^발 ㄱ7끼 패드립 다수 밖에 없는데
-
오르비닉 한자이신분들 18
간지나시는데 간지가 목적 맞나요 오신김에 뜻도 적어주세요…
-
한 10명만 본명이고 나머지는 그냥 저장 안함 전화 좀 많이 하면 전번이 외워져서...
-
손절당한듯 한 3명 연락 귀찮아서 피했더니 연락안옴 근데 이거 어케 고침? 자꾸...
-
강윤구 양승진 0
혹시 두분 모두 들어보신분 계신가요?
-
부에노스아이레스로부터.
-
프리퀀시 교재의 맛보기 표제어를 활용해 아래의 표를 제작해 보았고 앞으로는 어휘끝...
-
대학와서는 소속기관+이름+학번 만약 25인데 06 아니면 호칭 같이 붙여두고
-
수논준비하시는 분들 중에 수능은 확통이나 기하로 보시는분 계신가요?
-
이감응시반 결제일이 2일 남았는데 돈이 없음 아마 돈은 안갚을 예정임
-
통일성을 중시함 1
여친더였던 애도 진짜 좋아하는 거 아니면 본명으로 저장함
-
답장 한번도 안했네 ㄷㄷ
-
저는 OMG 유행할 때 엄마엄마가 아빠아빠가로 바꿔두고 아직도 그대로 두는 중
-
너무 문제 많은 책 말고 최근 기출위주로 된 책이 있을까요? 노베이스 입니다.
-
이건 팩트임
-
선톡 없고 답장은 ㅇ ㅇㅋ 만 함
-
현대 사회 각박한 de 휴머니 ty 핸드폰에 대가리 박고 억지로 속을 비워내 비워낸...
-
최소제곱법 5
이건 게딱지가 오답률 1위가 어케 나온거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