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ormant [1056490] · MS 2021 · 쪽지

2022-12-27 10:27:09
조회수 18,062

문과에서 공대 등 복전할 경우 궁금한 사항들의 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817499

수험생들이 서강대 문과로 입학하여 전화기 공대 복수전공 관련 궁금해 하는 사항들이 많은 것 같아 제가 수집한 정보와 알고 있는 사항 위주로 정리하여 보았습니다.


1. 복수전공을 할 경우 본전공 의무 이수학점


(1) 상경계 (경영, 경제)


경영, 경제학과에서 다른 학과 복전을 선택할 경우 원전공인 경영, 경제학과 의무 이수학점이 2021학년도부터 39학점으로 변경되었습니다.  


(2) 유문


트랙제도가 있어 이수학점 부담이 큼


(3) 기타


최소 36학점 (학과에 따라 변경이 있을 수 있음)



2. 과거 문과에서 컴공을 제외한 공대(전화기)를 복수전공한 후 취업한 사례가 있나요?


실제 사례가 있었는데 아래와 같이 결코 쉽지만은 않았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 대강 하면 아무 것도 안되고 학점이든, 다른 스펙이든 공대 원전공생들 이상으로 실력을 쌓아야 가능함


. 공대 복전만 하면 다 되는 줄 알고 그냥 똑같이 공부한 학생들은 중도에 포기했는데, 독하게 한 학생들만 끝까지 복전에 성공했고 학점도 괜찮아서 대기업에 잘 들어가서 정착함


. 전자공학과등을 복전하려면 수업 등을 잘 따라갈 수 있어야 효과가 있음



문과에서 전자, 화공을 복전한 사례가 있는데 제가 질문한 사항에 대한 경험자들의 구체적인 의견은 아래와 같습니다.


(질문 1) 문과 원전공생이 전화기 복수전공해서  제조업 등의 공학 직무로 진로를 설정할 경우 8학기 내에 학업을 마치고 취업이 가능할 수 있을지요?


(답변) 최대한 일찍 시작하면 8학기 내에 마칠 수 있음, 늦게 진입할 경우 최소 9학기 이상 또는 계절학기 수강도 필요


(질문 2) 학업에 전념한다는 가정하에 무난하게 공대 수업 실험 등을 따라갈 수 있을지요?


(답변) 본인의 노력이 무척 중요하고 주변의 도움도 중요합니다.

예를들어 사기업은 플젝을 자소서에 잘 풀어 쓰는게 중요한데, 자소서 첨삭은 주변 선배들로부터 꼭 받으면 좋아요.



3. 전자공학과를 복수전공 하기 위해서 알아두어야 할 사항 


전자공은 졸업요건이 실험과정 4개인데 봄학기 2개, 가을학기 2개 열리는데, 한 학기에 2개 들으면 힘들기 때문에 실험과정을 마치기 위해 최소 4학기를 필요합니다. 따라서 8학기 이내에 졸업하기 위해서 실험과정은 5학기부터 시작하여야 합니다.


아래는 타과에서 전자공학을 복수전공하는 분의 조언입니다.


전자공학과를 복수전공 기준으로 버틸 수 있을지 맛보기로 과목 몇개 추천하면
 
 
계절학기 : 미적분학1,2의 경우 학점 B+ 또는 A-이상(미적2를 3주만에 하는건 저도 빡빡했는데, B+ 또는 A-이상 버틸 실력이면 학업에 전념할 때 수학 능력이 부족할 일은 없을 것 같아요)
 
 
정규학기 : 기초회로이론, 물리전자공학1, 신호및시스템 학점 B+ 또는 A-이상 (1~2학년 과목인데 상당히 하드한 편이고 3~4학년 과목이랑 전부 연계되는 내용이라 매우 중요합니다.)
 
 
시뮬 잘 돌리셔서 계절로 6학점, 정규학기 9학점 투자해서 맛보고 판단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거 전부 B+ 또는 A-이상 받을 실력 된다면 대면 수업 들으시면서 좋은 학우들 많이 만나시고 같이 으쌰으쌰하면 못할건 없다 봐요!



4. 서강대 문과의 특징(학업 수행 관련)


(1) 경영학과


. 저학년 필수과목 중 암기를 잘 해야하는 과목들이 있음 (경영학원론, 마케팅, 인사관리 등)

. 수리적 감각을 요구하는 과목도 있음 (회계원리 등 회계과목, 재무관리, 투자론 등 재무과목) – 그런데 수학계산은 비교적 쉬운편

. 팀플과목이 많다. 그런데 위의 회계, 재무 과목들은 팀플을 거의 하지 않음 


(2) 경제학과


. 수학을 잘하면 유리하고, 그렇지 않으면 아주 적응하기 힘들 수 있음

. 문과 전공 중 수학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그래프 분석도 수학적으로 하는 경우 있음

. 학점을 잘 받기 위해서는 공부분량이 많아짐


(Tip) 경영학과 vs 경제학과


. 경영학은 실용, 실무 위주이고 경제학은 분석적, 이론적 학문

. 경영학은 별도로 복전하지 않더라도 재무, 회계 재능 있으면 – 바로 CPA테크 또는 취업에 유리

. 경제학에서는 공대 복전하지 않을 경우 수학 또는 빅데이터 사이언스 복전해서 KAIST금공 대학원 또는 펀드매니저 등 금융기관에 취업시 도움이 됨

. 원래 문과생들 중에서 경영학 선택의 경우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고, 경제학 선택해서 후회한 사람들은 꽤 있음 (원래 문과생들에게 수학이 어려운 부분도 있고 경제학 자체가 이론적인 내용이 많아 지루할 수 있음)


(3) 사회과학계열 (사회, 심리, 정외)


. 본문 Text읽고 주제에 알맞은 글쓰는 능력이 중요함

. 심리, 사회는 팀플 부담 약하거나 거의 없음, 원래 이과생들의 의견에 의하면 심리학, 사회학은 상대적으로 공부부담이 적고, 공부하는 만큼 성적이 나오는 편

. 사회과학계열 전공 자체만으로는 취업하기는 어려움


(4) 인문계열 (국문, 철학, 사학, 종교)


. 본문 Text읽고 주제에 알맞은 글쓰는 능력이 중요함

. 국문, 철학은 로스쿨 준비생들이 많아 학점 경쟁이 높음

. 국문, 사학은 수능 때 공부한 거라 공부 진입이 낮다는 장점 있음

. 사학이 재미있다고 사학을 추천하는 사람들 있음

. 종교학은 학점 따기 비교적 수월할 수 있지만 특수한 과라는 것은 감안하여야 함


(5) 지융미 (아텍, 신방, 글로벌한국)


. 아텍, 글한은 수업이 대부분 영어로 진행되어 영어를 잘해야 함

. 아텍은 코딩, 팀플, 창의성, 미적감각 등 적성이 매우 중요함

. 신방도 학과의 특성상 팀플이 많음


(6) 어문계열 (영문, 유문, 중문)


. 외고 출신들이 많음

. 언어 능력, 적성이 중요하고 언어 능력이 있으면 다른 학과 복수전공할 경우 시너지 효과 큼

. 유문은 심화 트랙제도가 있어 자체 학과 학업부담이 큼 (저의 이전 글 참고하세요)



참고로 경영학 원전공에 전자공학과 복수전공하면 졸업장에는 이렇게 표시되어요.

경영학사 | 경영학전공
이공학사 | 전자공학전공
 
 

위에서 보듯이 문과생이 공학과를 복수전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학업수행 능력 그리고 엄청난 노력과 의지가 있어야 효과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수능성적이 안정 정도면, 문과보다는 자연대가 훨씬 유리합니다.


가, 다군에 안정적으로 합격 가능한 대학이 있으면, 원하는 공대로 소신 지원을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최근 사례를 보면 예상 컷이 높았던 학과일수록 막판 추합이 많아 실제 컷이 역전되는 경우가 많음)


취업, 향후 진로 등을 고려하면 전자, 화공, 기계 순이고 실제 전공자들 의견을 들어보면 취업 등에서 체감되는 격차가 크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비유전 · 1040460 · 22/12/27 10:42 · MS 2021

    이과가 교차로 문과 드가서 전화기.복전하려고 하면 따라갈수 있을까요?

  • Informant · 1056490 · 22/12/27 10:48 · MS 2021

    위의 글 2, 3번 보면 가능은 한데 개인의 역량과 노력에 달려있다고 봄

  • yycfyc · 1097003 · 22/12/27 13:41 · MS 2021

    물리학과에서 전자공 복전 난이도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연계되는 내용이 그래도 좀 된다고 듣기는 했는데 그래도 많이 힘들까요?

  • Informant · 1056490 · 22/12/27 23:48 · MS 2021

    물리학과 전자공학이 밀접한 관계도 있고 연계되는 내용이 있어 하시는 분들 있는데, 복수전공도 하면서 학부연구생 활동 등도 열심히 하는 것 같아요.
    아래에 실제 물리전공에 전자공학 복수전공해서 SK하닉 입사하신 분의 경험담 중 일부 참고하면 대충 그림이 그려질 것으로 보입니다.

    2학년때부터 전자공학 복수전공을 하였는데 물리학 단일전공으로는 취업이 힘들 것 같아서 전자과를 복수전공하였습니다. 전자과를 복수전공하면서 복수전공을 통해서 전자과 심화전공 학생만큼의 지식을 쌓긴 힘들겠다는 것을 느끼고, 회로설계나 소자 직무가 아닌 공정과 관련된 직무를 목표로 해야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반도체 공정 직무라는 목표를 정한 후 반도체 공정과 관련된 대외활동을 많이 하기 위해 노력했고, 이러한 노력들이 자기소개서를 쓸 때에나 면접을 준비할 때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취업을 준비하면서 가장 큰 도움이 되었던 대외활동은 나노기술연구협의회에서 주관하는 나노소자공정 교육이었던 것 같습니다. 교육 성적 우수자를 대상으로 무료로 공정실습을 진행하기도 하니 반도체 공정과 관련된 직무에 관심이 있는 분이시라면 꼭 듣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흑설탕 · 980746 · 22/12/27 13:45 · MS 2020

    경영에서 빅데이터 공부하기는 힘들까요? 경영쪽에서 빅데이터 공부하는 거라고 배워서요

  • Informant · 1056490 · 22/12/28 00:02 · MS 2021 (수정됨)

    경영학과에서 빅데이터 사이언스 연계전공하는 분들 꽤 있어 어렵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빅데이터 공부해서 Tensorflow Developer Certificate, 빅데이터분석기사 자격증 따고 코딩, 머신러닝 등 열심히 공부해서 학사로 머신러닝 엔지니어가 되신 분도 있어요.

    본인이 부지런하면 학교 내 머신러닝 학회, 데이터분석 학회도 경험하고 외부 Naver 부스트캠프 AI Tech, Google ML Bootcamp도 경험하면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어 IT회사로 취업 등 여러모로 경력관리에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 myouthis · 1152030 · 22/12/28 00:06 · MS 2022

    외고도 아니고 유학도 안 다녀온 사람이 영문학부 들어가면 학점 따기 많이 힘들까요? 인문하고 영문 중에 고민 중이에요.. 수능 영어는 고정 1이긴 합니다

  • Informant · 1056490 · 22/12/28 00:17 · MS 2021

    수능 고정 1이면 영어 재능이 있어 따라 갈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영어 재능 있는 분들은 노력하면 단기간에 실력 향상시키는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어문에서 어느 정도 경쟁력을 갖추면 어떤 분야를 추가로 공부하더라도 시너지 효과가 크고 향후 성장성이 무궁무진할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myouthis님이 영어에 계속 관심을 갖는다는 전제하에, 개인적으로 영문학이 여러모로 더 유리할 것으로 보입니다. 문과에서는 영어 경쟁력이 있고 경영 등 복전 그리고 학회활동 등 스펙 잘 쌓은 사람들이 원하는 진로로 잘 가는 경우를 많이 보았거든요

  • myouthis · 1152030 · 22/12/28 00:23 · MS 2022

    친절한 답변 너무 감사합니다!
    영문학부를 넣어봐야겠어요
    혹시 경영이나 타 학과를 복전을 했을 때 그 학과가 원전공인 사람들에 비해 디메릿을 받는 부분이 있을까요? 복전으로는 그 학과의 수업을 심도 있게 공부하기가 힘들다는 말이 있더라구요

  • Informant · 1056490 · 22/12/28 00:31 · MS 2021

    복전 공부의 심도성은 절대적으로 본인 노력에 달려 있고, 관심있는 경영학과 수업 수강하고 관심 분야의 학회 활동 열심히 하면 심도있게 실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요.
    홍보, 마케팅, 전략, 금융, 투자 등은 수업만 중요한 것이 아니고 교내 교외활동을 통해 스펙을 쌓는 것도 중요합니다. 영어를 일정 수준 향상시켜 놓으면 무엇을 선택해도 크게 플러스 효과가 있고 복전 관련 디메릿은 전혀 없어요.
    관심 분야 설정해서 준비와 활동 등을 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myouthis · 1152030 · 22/12/28 00:36 · MS 2022

    뼈가 되고 살이 되는 말씀만 해주시네요ㅜㅜ 제가 방구석에 있는 걸 좋아하긴 하는데(ㅎㅎ..) 대학생 되면 열심히 스펙을 쌓아 봐야겠어요
    감사합니다 덕분에 마음이 편해졌어요!

  • 배고픈n수생 · 870872 · 22/12/28 15:57 · MS 2019

    서강대는 아니긴한데 경영학에서 공대복전전과보다 물리학에서 공대 복전전과가 훨씬 나을까요

  • Informant · 1056490 · 22/12/28 23:59 · MS 2021

    예, 물리와 전자공학은 겹치는 과목도 있고 물리적 기초가 충분해야 전자공학을 심도 있게 공부할 수 있을 것 같네요. 위에서 4번째 댓글도 보세요.

  • 헤르미온느* · 1012311 · 22/12/29 12:26 · MS 2020

    전/화에서 경영 복전도 많나요? 공대에서 경영복전하면 메리트가 크다고 할 수 있나요?

  • Informant · 1056490 · 22/12/30 00:00 · MS 2021

    일단 많지는 않아요. 공학 직무로 대기업 취업하는게 합격률이 더 높아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는 사람들도 있긴한데 문과 관련 아래의 업무를 더 선호해서 경영 복전을 합니다.
    . 금융기관 또는 컨설팅 업무를 더 선호할 경우
    . 서울 본사에서 기술영업, 해외마케팅, 구매 등 업무를 선호하는 경우
    . 물리학 전공인데 경제 복전해서 펀드매니저로 가는 분도 있고,
    공학보다는 문과업무를 너무 좋아할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선택하는 것 같습니다.

  • 헵피 · 1049469 · 22/12/30 17:11 · MS 2021

    최소학점이 39와 36... 이 둘의 차이가 큰가요? 3학점이 어느정도 체감되는지 모르겠어서요...
    옛날부터 경제,경영 공부해보고 싶었던 이과생이라
    상경교차 성공하면 좋을거 같지만, 추합후반권이라 불안하거든요..
    안전하게 인문으로 교차지원하는게 좋을까요..

  • Informant · 1056490 · 22/12/31 01:00 · MS 2021

    큰 차이 없어요. 3학점은 수업 1과목 차이이고, 경영은 일부 암기과목 있고, 경제는 수학, 그래프를 통한 이론적 학문인데, 지금 표본이 빠지는 중이라는 말도 있어서 추세분석도 중요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