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영문법전문가가 되려하는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57341
선생님은 문법을 성문종합으로 공부했고,
적어도 사전 두께 문법책을 대학 들어가고
나서도 봐야했던 세대야.
사소한 법칙부터 다양한 관용적 표현까지 모든 걸 말 그대로 암기해야 하는
나름 불우하게 영어공부를 했던 셈이지.
대학진학 후에도 이렇게 많고 쓸데없는 문법들을 대체 왜 배워야 하는지는 잘 몰랐지만, 성적이 좋아야 했기 때문에 시중에 있는 문제집이란 문제집은 다 풀었던 것 같다.
영문과라는 부담감도 더해져서 모르는 게 없어야 한다는 일종의 강박이 있었지.
그냥 생각해봐도 100권 이상의 문제집을 풀고 나서 느낀 건, 내가 속았다는 거야.
그 두꺼운 책속의 많은 내용 중에 나오는 문법문제는
수능부터 토익 토플에 이르기 까지 똑같다는 걸 깨달았지.
그리고 시간이 지나서 내가 토익이나 수능영어를 가르치게 되었을 때 내
주변의 많은 선생님들과 책들이 여전히 엄청 긴 개념강의를 반복하고 있는 걸 봤어.
동명사가 가지는 기능부터 명사의 종류, 1형식부터 5형식까지 두루 두루...
어떤 선생은 make의 용법을 2형식부터 5형식까지 전부 설명하고 문법이라고 하지만,
실제로 make는 문법문제로는 5형식 밖에 나오지 않으며, 나머지는 모두 해석의 문제야. convince가 자동사로도 쓰인다고 말해주면 안되는 거고.
시험에 나오는 convince는
convince 목적어 that(of)의 형태만 물어보니까.
다른 잡다한 언어적 예외의 허용을 시시콜콜 말해주는 문법책이나 수업들은
학생들을 기만하고 있는 거지.
선생은 실전을 겪어보면 바로 느낄 수 있는 시험용 문법을 말해줘야 하는 거고,
그건 기출문제를 풀어보고 가르치기위한 연구를 해본 선생이라면 누구나 아는거야.
이런 과정에서 선생은 학생이 배워야할 문법을 줄여줘야 하는 거고, 계량화해줘야 한다.
사실 영어는 언어이기에 보편화하거나 계량화 할 수 없으며, 그러기 어렵지만,
시험에 나오는 문법은 그렇지 않다. 딱딱 떨어지지 않는 문법을 문제화 할 수 없거든.
그런데 왜 선생들은 기출에 등장하지도 않은 문법을 가르치고
학생은 그걸 들으며 고개를 끄덕걸이는걸까....?
사실 나에게는 영어를 제대로 공부해보지 않거나
괜히 있어보이려는 선생들의 수업방식이라고밖에 생각이 안들어.
혹여나 그렇게 해주는게 학생들 영어실력향상에 좋고
성의있는 수업이라고 생각한다면 오산이야.
영어를 제대로 배워서 영문과 가려는 학생에게도,
순수 영어능력을 향상시키려는 학생에게도
지금은 장황한 문법을 배우는 것은 시간낭비니까.
사실, 영문과에서도 그런 문법은 배우지도 않지만.
어쨌든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제목대로 학생들이 영문법 전문가가 되려하는 것 때문이야.
그렇게까지 공부할 필요가 없는데도.
목적을 확실히 하자.
더 많이 배우고 열심히만 하면 좋으니?
잘해야지.
그러면 선생은?
나올걸 찝어서 분류해줘야지.
그래야 영어 선생이지.
... 항상 내가 생각해오던 한국 영문법교육의 문제야.
그래서 문법교육에 관해 더 많이 고민하기도하고...
너희가 괜히 더 배워야한다는 강박에 빠지지 않았으면한다
If you need any help, Just message to me. Let me show you how to study Grammar.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컷 50(98) 2컷 45(90) 3컷 40(77)
-
멘탈관리?도 있는거 같네요 이걸 평가원에서 처음에 마주쳤다면 어떨지 대처랑 설계...
-
공부너무하기싫다 9
쓴소리좀
-
아 식곤증 4
너무 피곤해
-
시발점 문제는 그냥 책에다 풀었는데 기출은 여러번 돌려야한다는데 다들 노트에 푸시나요?
-
공하싫 2
걍 잘까
-
이거 재밌다던데 넘 낯설다
-
4점짜리가 3문제밖에 없으니 부족하네~~ 어쩔수없이 3점에 끼워넣어야겠다
-
어 형이야
-
특히 생윤 공부 할때 어느정도로해야 100프로 한건지 감을 잘 못 잡겠는데...
-
맞팔구 3
-
삼겹살은 맛있다
-
두 평면의 교선의 방향벡터는 두 평면의 법선벡터들의 외적과 같다 고로 두 평면의...
-
5덮 러셀에서 안쳐서 외부생으로 나가야할거 같은데
-
ㅠㅠ
-
지거국 목표인 07입니다 충남사람이면 경북,부산대 갈 수 있어도 그냥 충남대...
-
이해원s1 2
작년보다 쪼메 어려워진거 같은데 내가 못해진건가
-
나나 다른 사람이나 뭐 백날 말을 해도 똑같은 소리만 주구장창 설명을 해줘도 주구장창 그냥 포기함ㅇ
-
칼럼 파티다ㅏ 0
-
와 몸매 미쳤다 6
겠냐고요
-
오 신기하네요
-
하아..
-
(질문) 수학 사설이 어려우면 어떤 걸 보면 좋을까요? 1
질문할 시간에 한 문제라도 더 푸는게 정배겠지만... 사고력 점검이 필요한 것...
-
수학 모의고사를 푸는 학생들은 막혔을 때 대처하는 법을 기준으로 크게 두 부류로...
-
아니 또 무슨 ai하고 대화하려면 공부를 해야된다 이런말 할거같은데 그거는 애초에...
-
안녕하세요, 수능 국어를 가르치는 쑥과마늘입니다. 오늘은 2021학년도 9월...
-
ㅈㄱㄴ
-
4회차 말도 안되는 난이돈것같은데 제가 못하는건가요 ..
-
[공부글] 3년 입시동안 본인의 수능 시험지 운용 방법 정리 10
소개 -23,24 정시 수도권 약학과 합격 -25수능 건수의 안정, 지방치 적정,...
-
맛있겠노
-
수1 수2 미적 하루에 3개 하루치씩 다 풀만함?
-
정치적, 제도적 이슈와 관련된 메타가 있을때마다 추가됨
-
아침부터 택배기사한테 전화오고 전화 안 받으면 반송한다고 난리나서 확인해봤는데...
-
9모끝나고랑 비겨하면 집중력이 빨리 떨어지는거같은데 너무 많이남아서 그런가….
-
수학 고민시간 1
수분감 하는 중인데요 한 문제 풀 때 고민 얼마나 하시나요? 이제 처음 푸는 거에요
-
산책하다 3
준네 멀리왔음 여기 어디여;
-
흠 3
흠
-
정말이지 무시무시한 우연의 일치가 아닐수없습니다..
-
아따 날씨좋다 2
ㄷㄷ 이쁜이 발견
-
님들은 가족 아닌 여자애기 옷 갈아 입히는 거 가능함? 7
그럴 일은 보통 없겠지만 가족 아니고 부모님 지인 분의 애기 같이 걍 남인 3~4살...
-
운동하던 친구가 갑자기 대학가겠다며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전부 3등급이면 어디...
-
오늘은 조기퇴근 0
외출했다 돌아가기엔 시간 낭비가 좀 있어서
-
국어 유기 4
3모 국어 원점수 84인데요 수학이 4가 떠서 4월 한달동안 수학만 하려고 하는데...
-
개념 다 돌렸고 문제가 적은 과목이라길래 학평, 평가원 다 뽑아서 풀려는데 법과...
-
미친짓?
-
고속기준 시립대전전컴이 찐초고 중앙대 공대는 노랑인데 인문이면 고대 가정교육과 연초...
-
지금까지 살면서 영어 과목은 강의를 들어본 적이 없는데 항상 2등급 안정 성적을...
동의합니다. 60강 짜리 문법 강의 두세개듣고 3~5등급이리는 학생들을 볼때면 제가다 미안해지더라구요.
저 또한 가장 분할때죠... 그 강의를 듣고 오히려 더 혼란해졌을때...
3등급이하는 그냥 영단어만 열심히 외워도 등급오를텐제 영문법 안듣고 수능영문법 몇개만 공부하면 되는데
맞습니다 몇문제 나오지도 않고, 따로 강의들을 필요없이 해석에 있어서의 문법은 익숙해지면 그만이죠
진정한 영어교육자이십니다. 조 선생님 화이팅
고맙습니다^^
문법은 피니싱터치 앞부분에 4강정도로도 충분히 맞춤 ㅋㅋ
4강이면...상상이 가지않지만 괜히 어영부영 많이 듣는것보다 나을것같습니다 그정도로 쓸데없죠
문법공부가 너무 부담되는데 차라리 문제풀고 문제로 공부하는게 낫겠죠?
ㅇㄹㅇ
너무 부담이된다면, 그게 지름길이 될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한문제 한문제가 등급을 좌우하기에, 상위권이라면 문법을 정리할 필요는 있습니다. (짧은 강의를 듣든, 문제를 풀든) 다만 그 정리과정에서 쓸데없이 많은 정보를 주는 선생님들이 별로다...이거죠
문법 중독자가 되는 분들이 꽤 있죠
공부에 미친다는건 참 좋은일입니다만, 수험생이라면 기본적으로 성적이 향상되어야하는데 그렇지못하면 부정적인상황인거죠. 동감합니다.
다 수험생 불안심리 이용해서 장사하는 사람들이죠
심지어는 다 가르치는게 선생의 도리다! 라고생각하는 선생님들도 더러 있더군요 ㅎㅎ 놀랐습니다...
이 모든게 용서되는 마법의 한 마디 '작년에 하나 틀려서 2등급 받은 애들 있지?'
기출에서 문법쪽만 쭉뽑은걸로 공부하는게 좋은가요?
선지를 보고 '아 이건 이게 아니라 요게 되야하네'라는걸 알 수 있으면 기출과 다른 몇문제들로 충분합니다~ 아니라면 짧은(중요)강의로 개념을 다지는것도 좋구요.
알바가 아니라 그런면에서 어법끝이 책으론 진짜 좋은듯 딱 셤에 나왓던 것만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