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tewshin [1081143] · MS 2021 · 쪽지

2022-12-14 15:43:03
조회수 1,337

국어 언매 관련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60386349

동생이 학교에서 기말고사를 보고 틀린 문제라고 가져왔는데

정답은 5번이고 동생은 1번 답을 써서 틀렸다는데


나만 이거 복수정답 같은 건가?


-까요, -ㅂ니다에서 모두 높임의 종결 어미로 청자를 높이는 거 맞는 거 같은데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카대가자 · 1083173 · 22/12/14 15:44 · MS 2021

    요는 종결어미가 아니라 보조사

  • mattewshin · 1081143 · 22/12/14 15:45 · MS 2021

    해요체의 종결 어미로 알고 있었는데 아닌가요?

  • 카대가자 · 1083173 · 22/12/14 15:48 · MS 2021

    요를 떼어도 말이 되니까 보조사로 봐야죵

  • mattewshin · 1081143 · 22/12/14 16:35 · MS 2021

    아 그렇게 되네요....

  • 브라질리언복싱 · 1144526 · 22/12/14 15:46 · MS 2022

    돼요? 면 종결어미인데 될까요? 는 보조사...아님말구 ㅋㅋ

  • 언매황가능 · 1159823 · 22/12/14 16:24 · MS 2022 (수정됨)

    '해요체'에 보이는 어미는 '-어요/아요'이지만 이 어미는 보조사 '요'가 붙은 것입니다. '-어요'의 '요'는 결국 보조사이기 때문입니다. 해요체를 설명할 때 따로 어미의 형태소를 분석하지 않고 어미 자체로 실현된다고 할 수도, 엄밀히 따져 보조사로 실현된다고 할 수도 있으며 대체로 후자를 따릅니다. 또 내신이라면 선생님이 수업 중에 언급을 하셨거나 따로 기출에서 나온 적이 있을 겁니다. 만약 그렇지 않더라도 적절한 것을 찾는 문제에서 가장 알맞은 설명을 찾아야 하므로 5번이 답이 될 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