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평균에 관한 뻘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799553
여기 이번 수능 국어의 가채점 표본 평균이 있습니다.
어떻게 구했냐면 각 문항마다 '정답률×배점'을 구한 뒤 모두 합쳤죠
평균이 왜 이렇게 높냐면, 하위권이 가채점을 안 해서 그렇습니다.
그리고 여기서는 공통문항 평균, 선택문항 평균 따로 나눌 필요가 없어서 하나로 합쳤습니다.
선택과목 없던 시절이랑 평균 비교해볼거거든요.
당연히 그 시험들도 가채점 표본 평균 기준으로 비교할겁니다.
그러면 지금부터 비교질(?)을 시작하겠습니다
이번 수능이 아마 2020수능에 가장 많이 비유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2020수능도 가채점 표본 평균을 내서 가져와봤습니다.
2020수능의 등급컷은 91 / 84 / 77 이었습니다 (만점 표점 140)
2023수능 화작 표본이랑 비교해도 2020 수능 평균이 더 낮습니다. 생각보다 많이 낮네요.
2020수능이 더 어려운 시험이었습니다.
혹시 저거 아무 숫자나 써넣은거 아니냐 하실까봐... 2020수능 정답률 어디서 봤는지 링크 첨부해드리겠습니다.
사이트 이름 클릭하시면 2020수능 정답률 창으로 이동됩니다.
그 다음에 비교할게 어떤게 있냐면...
1컷이 92인 2017 수능이 있죠. 그것도 평균을 내서 가져와봤습니다.
그런데 이투스는 2020 이전으로는 정답률 창에 못 들어가더라고요. 그래서 이투스는 뺐습니다.
2017 수능의 등급컷은 92 / 86 / 79 였습니다. (만점 표점 139)
2023 화작 표본이랑 2017 전체 표본 평균이 거의 비슷한 것 같습니다.
언매 표본까지 합치면 2017 수능 평균이 더 낮겠네요.
이번에도 2017 수능정답률 링크
그 다음 비교해볼 것은
1컷이 94인 2018 수능입니다. (10명만 더 있었으면 95일뻔한)
이번에도 이투스는 빼고 표에 기록했습니다.
2018 수능의 등급컷은 94 / 89 / 82 였습니다. (만점 표점 134)
화작과 언매 응시자 비가 7:3 정도인걸 고려하면, 2018수능의 평균이 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정답률 링크 빼놓을 수 없겠죠?
즉, 이번 수능 국어는 2017 수능과 2018 수능의 중간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으며, 선택과목이 없었다면 등급컷이 93 / 87~88 / 80~81 일 확률이 가장 높습니다.
다만 이번 수능은 17이나 18에 비해 오답률 TOP5의 오답률이 높은 편이어서 아마 1컷은 1점 정도 내려갈 수도 있겠군요
그래도 그 아래의 등급컷에는 큰 변동이 없을 것 같습니다
선택과목 없다는 전제 하에 등급컷이 저렇고
실제로는 화작과 언매가 나뉘어 있으니 등급컷이 위아래로 찢어질텐데...
어떻게 찢어질지는 여러분들의 상상에 맡기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ㅈㄱㄴ
-
아 20번 주체 아웃 선지를 내버리네 ㅋㅋㅋ 국어인 줄 마킬라도라 있길래 바로...
-
난 이제 작품 60퍼 1회독했어...
-
포인트 좀 모여서 이거쓰고 사려는데
-
하니-킁
-
차단해야겠다 15
-
뭐만 하면 윤석열 윤석열 다 갖다붙이노
-
에엥..
-
이건 뭐노 2
대선토론은 역시 강평ㅋㅋ
-
'오로지 사람 사는 세상을 원했던 그분'
-
난근데국어밑줄안침 11
정신사나움
-
장난전화 0
연애개입 코인한탕 동성연애
-
차단 9
한 등불이 하나 비인 하늘에 걸려 있다.
-
지금 중계중
-
4->1 1
고1 3모 국어 4 6모 3 9모 2 11모 1 수능 백분위 98 1
-
늦은 5덮 후기 2
국어 91 여태까지 풀어본 사설 중에 난이도 제일 낮았을지도? 수학 84 미적 28...
-
애들이 목소리 변조해서 장난전화 하는데 안들을라해도 웃참하기 힘드네 ㅋㅋㅋ
-
작9 수학 2
88점 받고 2등급 나왔었는데
-
ㅈㅉㅇㅇ..?
-
아오아오
-
닉변 ㅊㅊ ㄱ 11
빨간색 관련 ㅊㅊ ㄱ
-
ㅋㅋ
-
그럴 수도 있지
-
사실 김문수는 무능해보여서 도저히 못찍겠고 이재명은 우클릭 이제와서 한다지만 뿌리가...
-
‘이다’는 국문법에서 가장 논쟁이 많은 주제로 손꼽힐 만한데, 그 품사적 지위를...
-
빨리 풀어야한다고 생각해 조급해져서 오히려 정확도랑 속도 다 박살나는게 아닐까
-
관형절이 나올때마다 '어 이ㅅㄲ 수상한데?'라는 생각을 하면서 머리에 넣어두면 웬만하면 거기서 나옴
-
님들님ㄴ들 4
기만하지마 콰악 씨
-
지금 4규를 풀고있는데 수학을 좀 효율적으로 공부하고 싶어서 여쭈고 싶은게...
-
어떤시험이든 어떤난이도든 선지 225개를 다봄 미친놈이 ㅋㅋ 5모에서 친구들 다...
-
a=0일때를 보는것또한 필연적이고 결국 a=0이면 0에서 접선을 그었을때 공통접선을...
-
타코피의 원죄 11
치유물이 애니로 낭ㅎ네
-
대체되기 전에 탈조선 해야한단말이다
-
학계에서는... 물론 조사로 보는 학자가 없는 건 아니지만 주류라고 보기는 어려움...
-
좀 많이치는 편인거같은데
-
거기다 6
거기가 약점이야
-
좆되네 ㄷㄷ
-
그래서 이해못하고 눈알굴리기만 하게되고.. 저같은 케이스였다가 고치신분 계신가요
-
ㄱㄱ
-
샘 알트먼 키보드에서 손 떼
-
원래 내신때매 미적 부교쟈들이랑 나신문제집이랑 수특 풀엇고 27번까지 맞추고 나머지...
-
근데 다 그렇지 않나? 근데수업도멀쩡하게듣고 성적도좋음 말도 잘하고 근데가끔...
-
방금 동서양의 우주론 다시 풀어봤는데 진짜 레전드긴하다 0
보기만 틀리긴했는데 시간 개많이써서 사실상 시험장에선 몇개 더 나간거였음 뒤쪽...
-
나는 영어 노베다..
-
1. 화작 확통 영어 3이상 물2 화2 2. 언매 미적 영어 무조건 2이상 사문...
-
쨔스 미적이 쉬우니까 못풀고 넘어갔던 공통 다시 돌아가서 몇문제 세이브했다
-
5덮 현역 0
노찍맞 언매 75 확통 65<—- 올해 대학 가기 글렀나요. 목표가 고려대여서요
-
공부하기존나싫다 12
집에보내줘집에보내줘집에보내줘집에보내줘
-
내 눈 ㅅㅂㅅㅂㅅㅂ
-
뭐가 더 빡셈?
좆됐다..
바이바이 내 국어 1등급아!
언매 87 2등급 제발.. ㅜㅜㅜㅜㅜㅜㅜㅠㅜㅜㅜㅜ
언매 91 화작 95
또는
언매 89 화작 94
통합 기준 1컷 93이면 91/95는 불가능. 화작이 3배 많아서
그럼 언매가 마니내려가고 화작이 적게 올라가나요?
그럴 확률이 높겠죠? 95/91로 갈리면 화작이 3배 많다고 가정했을 때 95x0.75 + 91x0.25 하면 94니까요.
근데 이건 분포가 완전히 고르다고 추정한 거고 실제는 좀 다르겠죠 아마..?
그래도 95/91 보단 94/90에 가까울 듯요
그러면 좋겠네요 ㅠㅠ
저도 90이라 제 추측이 맞길 기도 중입니다..
화작 94 언매 90 각인디? 응시자수 고려해서 위아래로 찢으면
팀 화작 한강수온체크 드가자~
1컷 92.x 잡고 인원수 화작이 3배 많고 4점차이 잡으면 94 90각이다 제발
진짜 제발
아 씨발 좆됐네
아니 ㅅㅂ 진짜 그정도였나?
젠장
멸망했네 아
와 화작 개멸망 ㅅㅂ
여러분... 제가 딱히 반대의견 내는 건 아닌데, 작성자분도 뻘글이라고 제목에 언급해두셨듯이... 평균과 시험의 난이도(등급컷)는 인과관계가 없음. 상관관계 정도 있으려나. 도수분포가 더 중요함.
표점과는 거의 직접적인 연관이 있죠.. 표준편차도 고려해야하겠지만 일단 평균이 높으면 만점표점도 조금 낮아진다고 봐야죠
표점 문제 때문에 국어 잘하는 학생들이 백분위대학이 아닌이상 손해를 많이 보게되겠죠..ㅠㅠ
그래서 1컷은 92-93보다 낮을 수 있다고 보시는 건가요?
무슨말이여 ㅠ
걍 저기다가 +2하면 화작컷 -2하면 언매컷 아닐까
하 언매 2컷 84 가능...?

가!! 능!!화작 2컷 87~88 가능...?
화작 86 3등급 ㄱㄴ?
화작 90도 2를 걱정해야하네요 ㅋㅋ
평균 점수는 ebsi에 있는걸 참조하는게 정확하지 않나요?
동일한 기준에서 비교를 해야되기 때문에 가채점 표본 정답률로 비교했습니다.
ebsi의 평균은 2023은 가채점 기준, 그 이전의 것은 실채점 기준이기 때문에 기준이 동일하지 않습니다.
앗 그렇군요
음... 일단 글쓴이님의 글은 2023년도 수능 화작과 언매 지원자가 같은 시험지로 응시했다는 대전제 하에 적절한 것 같습니다. 가중평균을 적용하여 76, 80(메가스터디 기준) 사이의 값으로 예측하기 위한 전제가 같은 시험지여야 함과 일맥상통합니다.
화작 지원자 수준 << 언매 지원자 수준임을 감안하면, 언매 시험지로 전체 표본이 응시한다고 했을 때 메가스터디 기준 언매 평균인 80.60에 못 미칠 뿐 아니라 2020 수능의 평균인 74.31보다 낮을 지도 모릅니다.
또한 평균으로 전체를 말할 수 없습니다. 이번 시험의 경우 비문학의 난이도가 마지막 지문에 몰빵돼있었기에 평균은 올라갈 수 있어도 1컷이 어떻게 될 지는 예측하기 힘듭니다.
이번에 킬러 문제가 많았다는 사실은 인정합니다. 전체적인 정답률을 비교해보면 17수능과 18수능 사이이지만, 이들에 비해 킬러 문제의 오답률은 1컷 88인 21수능과 비슷한 정도로 높습니다.
하지만 나머지 문제들의 정답률이 너무 높은 바, 상위권이라면 80+a점의 점수는 확보한 상태에서 킬러 문제들을 얼마나 잘 풀고 찍었냐 싸움이겠죠. 결국 1컷은 92~93으로 귀결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만약에 이번 언매 문제를 화작 선택자들에게 풀렸으면 평균이 낮아졌을거라는 사실도 인정하겠습니다. 중간에 난이도 언급한 부분은 제가 성급했던 것 같네요.
다만 실제로는 그 언매 문제 안 풀어도 되는 사람이 국어 응시자의 70%이기 때문에, 등급컷은 체감 난이도에 비해 올려치기 되는게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사실 저것도 말이 평균이지 최하위권은 거의 다 제외된 상태로 산출한 것이기 때문에 1컷을 추정하는데는 적합도가 높습니다
그래서 난이도가 균일하게 출제되었으면 1컷 93이 거의 확실하고, 킬러 문제가 어려웠다고 해도 결국 찍맞이 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에 많이 내려가봤자 1점 내려갈 것으로 예상하는 것입니다
환상동화님 매번 올리시는 글 재밌게 잘 읽고 있습니다 ㅎㅎ.
댓글을 보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댓글 남깁니다.
절대 따지는 것 아니고 그냥 어쩌면 의미 없는(?) 미래를 예측하는 재미에 생각할 것들을 추가해 보는 가벼운 느낌으로 질문하는 것입니다 ㅎㅎ.
"다만 실제로는 그 언매 문제 안 풀어도 되는 사람이 국어 응시자의 70%이기 때문에, 등급컷은 체감 난이도에 비해 올려치기 되는게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서 말씀하신 국어 응시자는 화작러들인데요,
교육청 통계이지만 화작러들 중 1.75%만이 국어 1등급입니다. 수능에는 N수가 포함되니 1.75%보다는 당연 많겠지만
화작러들 중 소수만이 국어 1등급 컷 형성에 기여(?)한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만약 제 생각이 맞다면
70% 학생이 어려운 언매 문제를 풀지 않았음에도
30%의 언매 선택자들에 의해 1컷이 형성될 수 있는 것 아닌가요??
언매 선택자들이 1컷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말은 아니었습니다.
제 말의 의미는 이렇습니다
[화작 응시자 표본]
어려운 언매 문제 안 풀어도 됨. 따라서 언매가 필수라고 가정했을 때보다 점수가 높게 나옴
[언매 응시자 표본]
원래 잘하는 표본이라 점수가 높음
결과적으로 공통 선택 안 나뉘어있을 때에 비해 체감난이도 대비 1컷이 높게 형성된다는 의미였습니다
이해했습니다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환상동화님, 가채점 통계적으로 추정한 거 말고 그냥 환상동화님 느낌으로도 1컷 92-93정도로 예측하시나요??? (선택과목 없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