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지러가 공대가면 어캐해야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786511
본인 생지러이고
물화 안건든지 2년째라 다 까먹엇는데
올해 전전 갈 거 같은데
물리 해야할거같아서 방인혁들을려고 19패스 사놓긴 했는데
이거 맞음? ㄹㅇ 경험자분들 좀 알려주세여
대학가기전에 물리 해놓으려면 뭐 해야하나여 ㅠ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차영진T '팔로워', '기출무한적용' 들었구 'n제 게임 : 입문편' 푸는데...
-
허수 특: (뭐 하는 강의인지도 모르고) 뉴런 봄 ㅋㅋ 4
N수생이 아니라, 현역이 수능을 처음 준비할 때 뉴런이나 빌드업 같은 강의를 듣는...
-
수학 도구정리가 좋은 이유(뉴런, 빌드업+드리블 등...) 7
현T 뉴런이나 배성민T 빌드업, 드리블 같은 강의에서 도구정리를 해주는 걸로 알고...
진지하게 공부 지금이라도 해 놓으시면 편해용! 물1 1단원하시고 바로 물2 1단원 들어가세용
물리1의 234단원은여?..
1학기때 전기 관련 단원 들으면 2 단원까진 하셔야 합니다! 근데 일물1은 물1,2 1단원(고전역학+열역학)으로 거의 80퍼는 커버되는 느낌이라서 일물1 급하시면 시간 아까우니 물12 1단원만 팔 거 같아용
앜 그럼 물1 2 인강 듣는게 낫겟져?
방인혁 배기범 이런사람들이여
네 누굴듣던 교수님보다 12047배 잘 가르쳐서 사설인강으로 물리 개념잡는게 좋아여..
여건이 된다면 물1은 방인혁 펀더멘탈 다듣고 물2는 1단원만 뚫더도 되져?
물1,2 마스터하고 미적잘하면됨
그게 필수본같은 개념인강 물1 2 다 들으라는거죠?
음..아마도요? 근데 너무 수능처럼 배우실 필요는 없어요 아마 대학가시면 지금 공부한거랑 되게 느낌이 다를꺼에요. 증명같은것도 해야되고 근본적으로 배우는 느낌이랄까 미적분을 곁들여서요.
그니까여 제가 지금 그게 고민입니다
그럼 뭘 들으는게 나을까여?
필수본 이런건 진짜 수능 문제 풀이 최적화된 개념강좌자나여...
뭐 아예모르는것보다는 그래도 들으면 단어들이랑 친숙해질 수는 있을꺼에요.
(이게 생각보다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영과고생들도 고딩때 일반물리를 배우는데 중딩때 하이탑을 보거든요? 그래서 좀 부족하다싶으면 하이탑을 보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이건 좀 투머치긴한데 대학에서 어떤 물리교재 쓰는지 확인하시고 미리 pdf 다운받아서 보는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아마 읽기 싫게 생겼을꺼에요. 근데 보고나면 그래도 어떤게 부족한지 생각날꺼 같아요. 물리 개념이 부실하다던지 미적분이 약하다던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