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수능 국어 총평 및 간략 분석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464785
수능 국어 영역 강사 설승환입니다.
저는 서초/노량진 메가스터디 학원에서 강의를 하고 있고,
다담 언매 800제, 다담 화작 500제, 다담 언어N제 저자입니다.
항상 6평/9평/수능 총평을 남겼는데요,
오늘도 시험지 올라온 후 풀어보고, 간략한 분석 글을 남깁니다.
현장에서 시험을 치르고 있는 모든 수험생분들
정말 고생 많이 하고 있을 텐데,
모쪼록 오늘 시험에서 좋은 결과가 나오기를 기원하겠습니다.
한줄평 : 작년 수능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까다로운 시험
이번 수능의 가장 결정적인 핵심은, 언매인 듯합니다.
직접 구성 요소, 어미/접사 구별, 안긴문장 등 고난도 주제와 함께
시간이 엄청 걸릴 법한 문항도 등장하여
언매 선택자들 중 대다수가 언매를 먼저 푼다는 점에서,
현장 체감 난도가 상당히 높았을 것 같습니다.
화작의 경우에도, 올해 6월/9월 모의평가보다는 까다로운 편입니다.
두 번째 (가)+(나) 융합에서 시간이 걸릴 법한 문항들이 꽤 나와서
역시나 많이 당황하셨을 법합니다.
아무래도 선택 과목의 난이도가 좀 높다 보니,
독서/문학을 풀 때 문항 난이도 대비 체감 난이도가 많이 높지 않았을까 싶어요.
독서의 경우,
독서 이론 2번 문제에서 시간이 쓰일 법했다는 점,
인문 지문 8번 문제에서 답이 잘 안 보일 수도 있었다는 점,
법학 지문 2문단 독해와 12번 문제 해결이 원활하지 않을 법했다는 점,
명실상부 킬러 지문인 생명과학(사실은 통계학에 더 가까운)의 부담감 등
여러 까다로운 요소들이 존재하였고,
문학의 경우,
작년 수능, 올해 6월 모의평가에 비해 무난했던 것 같지만,
현장에서 문항을 풀고 있는 수험생들에게는
낯선 작품을 계속 읽고 처리했어야 한다는 점에서
힘겨워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독서
독서 이론, 인문(역사학), 사회(법학), 과학(생명과학+통계학)
네 개의 제재가 채택되었는데,
법학 지문은 수능완성의 '기속 행위와 재량 행위' 지문을 연계하였고,
과학 지문은 수능특강의 '최소 제곱법' 지문을 연계하였네요.
특히 '최소 제곱법'은 수특에서는 사회/문화 영역으로 분류한 지문을,
수능에서는 과학 영역으로 배치하여 다루다니
역시 평가원은 참신하게 출제하려고 정말 노력을 많이 한다는 느낌이 듭니다.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과학 지문이 명실상부 킬러입니다.
[1~3] 독서 이론
6월/9월 모의평가의 '독서 이론' 지문에 비하면 정보량이 많지는 않지만,
2번 문제 정답을 고를 때 꽤 고민을 많이 했을 것 같아요.
시간이 많이 걸릴 법했고,
선지에서 요구하는 바를 정확히 간파하지 못하면 낚일 가능성도 컸습니다.
[4~9] 인문 (가), (나) 융합
올해 6월 모의평가에서 '동양'을 소재로 했던 것처럼,
이번 수능에서도 '동양'을 소재로 '유서'에 대한 글을 제시했습니다.
독서 이론을 제외하고, 오늘 출제된 독서 지문들 중에서는 제일 할 만한 글이긴 했는데 8번 <보기> 문제의 정답을 고를 때 살짝 고민했을 수도 있겠습니다.
2021학년도 수능 인문 지문을 출제하신 분인지,
'중화 관념'이 또다시 중요 키워드로 설정되었네요.
[10~13] 법학
많은 선생님들이 EBS에 수록된 사회/문화 지문 중
'기속 행위'와 '재량 행위'에 대한 글을 중요하게 꼽았고,
역시나 해당 지문이 연계되어 출제됐긴 했습니다만,
2문단의 독해 속도가 어땠느냐에 따라 12번 문항의 체감 난도가 달랐을 것 같습니다.
글이 짧게 출제되어서 독해 속도를 확 높였다면,
그래서 2문단의 '케이스 구별'을 세밀하게 하지 못했다면,
12번 문항을 풀 때 시간이 꽤 많이 걸렸을 것 같아요.
중간 킬러 지문으로서의 역할을 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14~17] 생명과학(통계학)
그래프에, 숫자들에, 지문 길이에, 온갖 부담 갈 만한 요소가 다 포함되어 있는
이번 수능의 가장 까다로운 지문입니다.
겉보기부터 심상치 않다는 생각을 많이 했을 것이고,
문항 전반적으로 오답률이 꽤 높게 나올 법합니다.
19세기 초기 연구와 클라이버의 연구가 어떻게 다른지를 명확히 간파했어야 14번, 15번을 잘 해결할 수 있었고,
그래프를 설명하는 부분을 시간을 들여 정확히 이해했어야
17번 문항까지 완벽히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보기> 문항의 정답들이 다소 앞 번호에서 등장해서
우리 수험생들을 시험에 빠뜨리게 한 것 같군요ㅠ
문학
이번 6평/9평과 동일한 연계율을 보였습니다.
출제된 7개의 작품 중 3개 연계, 4개 비연계로 나왔어요.
혹시나 6평/9평과 달리 현대소설이 연계로 출제될까봐, 희곡/시나리오가 출제될까봐 걱정하셨던 분들도 있을 텐데,
6평/9평 때의 지문 구성을 거의 동일하게 구현했습니다.
전반적으로 독서, 선택과목에 비해서는 풀 만한 난도이지 않았을까 싶지만,
위에서도 말씀드렸듯이 비연계 지문들을 읽어나가는 데 시간이 걸렸을 법하니,
현장에서 문제를 풀고 있는 우리 수험생들에게는 힘겨운 시간이었을 수 있겠습니다.
[18~21] 고전소설
'최척전'을 출제했습니다.
낯설 만한 부분과, 2017학년도 6월 모의평가에 출제된 부분을 겹치게 해서,
어느 정도 수험생의 부담을 줄여주려고 한 흔적이 보입니다.
문항들도 전반적으로 어렵게 출제되지는 않은 듯합니다.
[22~26] 고전시가+수필
연계 작품으로 이황의 '도산십이곡'을, 비연계 작품으로 김득연의 '지수정가'와 수필 '겸재의 빛'을 출제했습니다.
6평/9평과 달리 해당 SET를 6문항이 아닌 5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선지 길이가 좀 긴 편이긴 했지만 '도산십이곡'을 기준으로 문항 풀이 전략을 잘 수립했다면 무난하게 넘어갈 수 있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27~30] 현대소설
비연계로 최명희의 '쓰러지는 빛'을 출제했습니다.
확실히 평가원은 '아주 낯선 비연계 작품'을 선택하는군요.
하지만 작품을 읽어나가는 데 있어서 그렇게까지 어렵게 느끼지는 않으셨을 것 같고, 문제들도 '정답 선지'는 다소 선명하게 보였을 듯합니다.
[31~34] 현대시
연계 작품인 나희덕의 '음지의 꽃'과 비연계 작품인 유치환의 '채전'을 출제했습니다.
<보기>를 독해한 후 큰 흐름, 맥락을 짚어가면서 작품을 읽으셨다면 정답을 잘 발견할 수 있었겠습니다.
선택과목 - 화법과 작문
2019 수능, 2022 수능의 화작만큼은 아니더라도,
올해 6평/9평 화작보다는 확실히 까다롭습니다.
늘 나오던 구성인 '발표 - 융합 - 단독 작문'으로 구성했는데,
두 번째 융합 지문이 아주 시간이 많이 걸리게 출제되었습니다.
40번 문항에서 정답을 고를 때 꽤 고민했겠고,
41번 문항이 다 맞는 말처럼 보였을 가능성도 크며,
42번 문항은 하나하나 따질 게 많았어서,
이 지문을 얼마나 침착하게 잘 해결하느냐가 관건이었습니다.
선택과목 - 언어와 매체
문법... 아주 까다로웠습니다.
6평/9평 때 문법이 어려울 것이라는 게 예고되기는 했지만,
그보다도 확실히 까다롭습니다.
수험생이 어려워하는 직접 구성 요소가 35번 문항에, 안긴문장이 39번 문항에 배치되었고,
36번은 시간이 꽤 많이 걸릴 법하다는 점,
37번은 굉장히 생소하게 출제되었다는 점,
38번은 어미와 접사를 얼마나 잘 구별해야 하느냐 하는 점
등, 5문항 중 그냥 주는 문항이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매체의 경우에도, 43번, 45번 등에서 꽤 고민했을 법한 문항이 나와
만만하지 않았던 것 같아요.
2023 수능을 치르신 수험생 여러분들,
부디 마지막 탐구 영역까지 최선을 다하여 좋은 성과가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올 한해 정말 고생 많으셨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문학 2022수능이 랑 평이하게나오고 비문학 2022 09 경제지문 시장 독점적...
-
궁금합니다!
-
야이개씨 9
-
ㄱㄴㄷ 순으로 적은 겁니다
-
그게머죠
-
저랑 친한 형이 있는데 올해 한양의 수리논술 부활하잖아요?그래서 이 형이 자꾸...
-
hangry 6
하네
-
평가원 #~#
-
사탐런 질문 0
물화러인데 교육청은 전부다 백분위 94~99 왔다갔다하는데, 6모때 물리 45에...
-
국어 비문학 0
실모라고 생각안하고 그냥 기출푼다고 생각하면서 문학, 선택 제외한채로 3지문...
-
1. 적도 부근은 무역풍이 강하게 불어오는 지역이므로, 전향력 유무와 관계없이 항상...
-
강k7회 미적 1
72점..... 식곤증 너무씨게와서 문제가 안읽혔음 점심 ㄹㅇ 조금먹어야할듯...
-
자유롭게 적어주세요
-
수능영어 전문으로 과외 3년차 / 누적 학생 25명 이상 성적 향상 사례도 많고...
-
근데 6
좋아요 4개, 9개 이런식으로 돼있는 글이나 댓글 좋아요 눌러서 5개, 10개로...
-
이거 왜 x=12일때 극값이 안 생기지.. 미천한 저에게 설명해줄 대예은 구합니다
-
쉬운 모의고사여서 풀고 나서 기분도 좋을 거임
-
맨날 ? 까먹네 0
-
으어어어 4
과외 한 번 받으면 힘이 다 빠짐… 난 듣는 입장인데도 일케 힘든데 과외쌤은 대체...
-
왜 오타니?
-
비핵화 사야겠다 4
-
ㅈㄱㄴ
-
살이 탔네
-
최근 수학 문제 중에서 유일하게 '별로' 워딩 쓴 문제 10
250921 얘는 출제 의도가 뭔지를 모르겠음 부등식 보고 '오 평균 변화율인가?'...
-
정말 가능합니다~
-
수능 경제 개념 1
수능 경제 개념학습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인강이 나으려나요
-
아 메인 저 분 3
좋아요 10개 만든 거 난데 ㅋㅋㅋㅋㅋㅋㅋㅋ ㅅㅂ
-
요즘 오르비를 잘 안해서 ㅁㄹ
-
"가능할까요?" 6
가능합니다~
-
고1 순열과조합 할때 한거같은놈이 왜있누
-
디게 헷갈리지만 7
결론은 일단 열심히해서 아무 대학이나 쓸 수 있는 성적을 만드는것이다 다시 달리러 갑니데이
-
10분 주기로 토하러 화장실 거네 구웨에엑 하면서
-
강대k 5,6회 0
수학 등급컷 1컷만 부탁드려용
-
음함수미분하면 점수 깎이나
-
문과야 ㅜㅜ
-
문제가 어렵긴 하나 그리 어렵진 않음(시중 n제들과 비슷한 듯) 근데 퀄리티는 시중...
-
물리랑 화학 둘 다 안정 1등급은 아니고 백분위 93 98 왔다 갔다 하는...
-
옯버기 2
-
660 중반?
-
현재 고2라 26강기분 들을려고 하는데 다음년도에 27강기분 들어야할까요? 아니면...
-
정시 70프로 컷 질문 19
이런 시스템을 잘 몰라서 그런데 70프로 컷 평균백분위가 93이면 대충 어느정도...
-
8월 부터 제주 지역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모든 노선 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
고전 소설 너무 어려운데 걍 ebs 외우는거 어떰?? 3
고전소설 다 ebs아닌감
-
ㅈㄱㄴ
-
아이 개미친 새끼야 14
좋아요 어떤 미친놈이 테러하는데 누구노? 쪽지보내라
-
5분동안 손으로 쓱쓱 빨고 건조기 20분 돌리면 빨래 30분안에 끝날텐데......
-
스블 미적 4
6모 15 22 28 29 30 날라갔고 3모이후로 미적 28-39 맞춘적이없음…...
제 말이요..!!! 작수만큼은 그래 아니겠지만 쉽다는 글이 너무 많더라구요. 충분히 까다로운 시험이였습니다.
네 분명 만만치 않은 시험이었다고 봅니다.
언어는 굉장히 어려우면서, 짜증나게 출제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선택 과목부터 푼 학생들이 많이 흔들렸을 거라 생각합니다.
오랜만입니다. 저도 문법 풀면서 짜증이 확 났을 정도였어요ㅠ
선생님 화작 76점인데 4등급 될까요?? 5로 떨어지지는 않겠죠..?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