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61호] 살면서 처음 본 영단어를 시험장에서 마주할 당신에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413537
들어가기에 앞서
시험장에 들어선 여러분들의 앞에는 25개의 정체불명의 글이 놓여있습니다. 이 글들의 모든 소재를 다 알고 있을 가능성은 몇 퍼센트나 될까요? 없다고 봐도 무방할 것입니다. 여러분들은 궁예가 아니잖아요? 여러분들은 필연적으로 ‘모르는 글’을 마주하게 될 것입니다.
자, 그런데 ‘모르는 글’에는 크게 두 종류가 있습니다. 읽으면 이해할 수 있는 글과, 읽어도 이해할 수 없는 글. 전자의 경우라면 다행입니다. 읽으면 되니까요. 그런데 후자의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요? 가끔 평가원님께서 자비로이 글 아래에 고이 써주시는 특수 단어들을 아무리 찾아봐도, 눈을 비비고 다시 봐도, 여러분이 글의 소재조차 알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요?
이미 영어를 가르쳐 오신, 그리고 가르치고 계시는 선생님들이 아마 공통되게 얘기할 겁니다. ‘모르면 일단 제쳐 놓아라.’ 백 번 맞는 말입니다. 그런데 학생들은 그렇지 않나 봅니다. 아니, 정확히는 그러지 못하나 봅니다. 머리로는 모르는 소재를 제쳐 두고 다른 것을 먼저 읽겠다 생각하고 있지만, 이미 독해는 방향감을 상실한지 오래입니다.
애매한 지식은 저주다
왜 저런 일이 발생하는 걸까요? 그야 당연히, 제쳐 둘 것을 제쳐 두지 못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글의 일부분만을 차지하는 세부 내용은 배제하고 읽기 쉽지만, 글의 핵심을 차지하는 소재는 차마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이겠죠.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강제로’ 소재를 배제해줘야만 합니다. 그런데 어떻게요?
[2012학년도 9월 #26]
Unlike deviance in other settings, deviance in sports often involves __________ norms and expectations. For example, most North Americans see playing football as a positive activity. Young men are encouraged to 'be all they can be' as football players and to live by slogans such as "There is no 'I' in t-e-a-m." They are encouraged to increase their weight and strength, so that they can play more effectively and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ir teams. When young men go too far in their acceptance of expectations to become bigger and stronger, when they are so committed to playing football and improving their skills on the field that they use muscle-building drugs, they become deviant. This type of 'overdoing-it-deviance' is dangerous, but it is grounded in completely different social dynamics from the dynamics that occur in the 'antisocial deviance' enacted by alienated young people who reject commonly accepted rules and expectations.
① a disciplined control of the desire to avoid
② wasted efforts and resources in establishing
③ ambitious attempts to get independent of and free from
④ a traditional approach of matching slogans and mottos with
⑤ an unquestioned acceptance of and extreme conformity to
조금 많이 옛날 지문이지만, 이만큼 ‘소재를 모를 때의 상황’을 잘 보여주는 지문이 없기에 가져왔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이 지문부터 평가원이 ‘모르는 소재로 지문 꼬아버리기’ 방식의 문제를 내기 시작했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이야 여러분들이 외우는 단어장 어디 구석탱이에서 본 deviance를 떠올리겠지만, 약 10년 전 이 문제가 출제될 때에는 수험장에 있는 그 누구도 deviance가 무엇인지 몰랐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0퍼센트가 조금 안 될 정도의 수험생이 정답을 골랐습니다. 소재가 무엇인지 몰라도 문제를 푸는 데에 전혀 지장이 없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 deviance와 그와 유사한 단어들을 전부 X로 바꾸어 봅시다.
Unlike X in other settings, X in sports often involves __________ norms and expectations. For example, most North Americans see playing football as a positive activity. Young men are encouraged to 'be all they can be' as football players and to live by slogans such as "There is no 'I' in t-e-a-m." They are encouraged to increase their weight and strength, so that they can play more effectively and contribute to the success of their teams. When young men go too far in their acceptance of expectations to become bigger and stronger, when they are so committed to playing football and improving their skills on the field that they use muscle-building drugs, they become X. This type of 'overdoing-it- X ' is dangerous, but it is grounded in completely different social dynamics from the dynamics that occur in the 'antisocial X ' enacted by alienated young people who reject commonly accepted rules and expectations.
조금은 지문이 이해하기 쉬워졌을 겁니다.
1) 우리가 빈칸에서 찾아줘야 하는 것은 ‘스포츠에서의 X’와 관련된 것이고,
2) 그것이 ‘팀의 성공을 위해 스스로를 내려놓는 것’임을,
3) 또 그것이 ‘규칙과 기대를 거부하는 반사회적 X와는 차이가 있음’을,
고로 정답이 ‘규칙과 기대의 순응’과 관련된 ⑤임을 그리 어렵지 않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조금 최신 지문으로 또 연습해봅시다.
[2023학년도 6월 #34]
Development can get very complicated and fanciful. A fugue by Johann Sebastian Bach illustrates how far this process could go, when a single melodic line, sometimes just a handful of notes, was all that the composer needed to create a brilliant work containing lots of intricate development within a coherent structure. Ludwig van Beethoven’s famous Fifth Symphony provides an exceptional example of how much mileage a classical composer can get out of a few notes and a simple rhythmic tapping. The opening da-da-da-DUM that everyone has heard somewhere or another __________ throughout not only the opening movement, but the remaining three movements, like a kind of motto or a connective thread. Just as we don’t always see the intricate brushwork that goes into the creation of a painting, we may not always notice how Beethoven keeps finding fresh uses for his motto or how he develops his material into a large, cohesive statement. But a lot of the enjoyment we get from that mighty symphony stems from the inventiveness behind it, the impressive development of musical ideas. [3점]
* intricate: 복잡한 ** coherent: 통일성 있는
① makes the composer’s musical ideas contradictory
② appears in an incredible variety of ways
③ provides extensive musical knowledge creatively
④ remains fairly calm within the structure
⑤ becomes deeply associated with one’s own enjoyment
은근히 이 문제에 데이셨던 분들 많으셨으리라 생각합니다. 설마 시작부터 development가 ‘발달’이 아닌 ‘(음악의) 전개’라고 하며 단어로 의미 장난질을 치지는 않았을 것이라 생각했겠죠. 하지만 그 이후에도 음악 관련 용어들이 우후죽순으로 쏟아져 나오면서, 독해하기 상당히 어려운 지문이 완성되었습니다.
이번에는 음악 관련 용어들에 다 ■ 표시를 넣어보겠습니다. 대신 아까 전의 제시문처럼 ■가 동일한 대상은 아니기에, 해석할 때에는 ‘(음악 관련) 무언가’라고 뭉뚱그려 해석해보죠.
■ can get very complicated and fanciful. A ■ by Johann Sebastian Bach illustrates how far this process could go, when a single melodic line, sometimes just a handful of ■, was all that the composer needed to create a brilliant work containing lots of intricate ■ within a coherent structure. Ludwig van Beethoven’s famous Fifth Symphony provides an exceptional example of how much ■ a classical composer can get out of a few notes and a simple rhythmic tapping. The opening da-da-da-DUM that everyone has heard somewhere or another __________ throughout not only the opening ■, but the remaining three ■, like a kind of ■ or a connective thread. Just as we don’t always see the intricate brushwork that goes into the creation of a painting, we may not always notice how Beethoven keeps finding fresh uses for his ■ or how he develops his material into a large, cohesive statement. But a lot of the enjoyment we get from that mighty symphony stems from the inventiveness behind it, the impressive ■ of musical ideas.
생각보다 많지요? 저는 음악 관련 용어 전부에 ■ 표시를 한 것이기에, 여러분들이 느끼기에 ■ 수가 너무 많다면 줄이는 것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 표시가 많아도 빈칸을 푸는 데에는 큰 지장이 없습니다.
1) 우리가 빈칸에서 찾아줘야 하는 것은 ‘베토벤 음악에서의 오프닝’이 어떠한지이고,
2) 제시문 초반부에서 ‘음악 관련 무언가’들은 통일성 있는 구조 내에서 복잡하며,
3) 빈칸 문장 뒷부분에서, 오프닝에서 있는 ‘음악 관련 무언가’가 나머지 3개의 ‘음악 관련 무언가’에서 나옵니다. 2)의 ‘통일성 있는 구조’와 동일하다 봐도 되겠지요. 그렇다면 빈칸에 들어가야 할 남은 이야기는 ‘복잡하다’는 이야기입니다.
4) 제시문 후반부에서도 음악과 관련된 어휘는 ‘inventiveness’나 ‘impressive’가 보입니다.
고로 ‘복잡하고 창의적인 것’과 관련된 선지인 ②를 고르는 것이 가장 적절합니다.
마치며
물론 모르는 어휘를 제쳐 두고 해석하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은, 모든 어휘를 알고 정확하게 해석해주는 것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원어민이 아니기에, 생전 처음 보는 어휘를 시험장에서 언제든지 마주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합니다. 또한, 그러한 상황에서도 어떻게 문제를 풀 수 있을지 대책을 미리 강구해야 합니다. 그렇기에 오늘 제가 이 칼럼에서 제시한, [모르는 단어를 아예 지워버리고 풀기]가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칼럼 제작 | 사교육연합동아리 Team PPL 영어팀
제작 일자 | 2022.11.15
Team PPL Insatagram |@ppl_premium/@ppl_elab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여러분이라면 둘중에 어디 가시나요?
-
A전하량을 q2라 뒀어요 ㄴ에서 합력으로 구할때 q1q2가 q1²보다 큰지 모르는데...
-
어째 도는거같지가않지
-
한문같이 일주일에 한 번은 복붙해도 별 생각 없는데 과학을 복붙하는건 ㅅㅂ...
-
둘 다 들어보신 분 계신가요?이뭘 더 추천하시나요?ㅠㅠ 믿문 듣고 있는데 듣고...
-
설대생들은 클럽, 헌포, 펍, 술집 같은 유흥거리랑 거리가 멀고, 왠지 학벌이...
-
오늘 추합된 학교가 있는데 여기 안가고 다른데 달려고 등록된상태에요. 그냥 등록금...
-
뭣도 모르고 제가 시작했다가 귀엽고~ 깜찍하게~ 써리~원! 듣자마자 머리속에 물음표...
-
제가 경희대 썼는데요.. 앞 분이 중앙대 쓰셨는데 오늘 앞분이 중대 전화추합 하시고...
-
수학 미적분 백분위 88 영어 2 사탐 80 사탐 91 국어 "46"인데 반수하면 포텐 있음??
-
진짜 간절하다 ㅈㅂ
-
이정도면 그냥 전추겠네 합격증은 포기함 고려대 다군은 전설이다
-
거리는 왕복 1시간 정도이고 오전 8시부터 새벽 1시까지 시간표대로 관리해주고 밥은...
-
서울대 vs 연대 20
선호도, 이유 궁금합니다.
-
ㅇㅇ 버틸만 아이고
-
실전감각, 현장감좀 느끼고 싶어서 전과목 모의고사 현장응시좀 해보고 싶읍니다,,...
-
https://orbi.kr/00070311569/%EC%84%A4%EB%8C%80%...
-
평반고에서 고1~고2 넘어가는 겨울방학 때 내신에 벽 느끼고 내신공부 아예 내려놓고...
-
예비 인데 전화 받을 수 있을까요?ㅠㅠㅠㅠㅠ
-
희망이 사라져요
-
포텐 터짐 대 대 대
-
644점이 최초 예비 4번임요
-
민 족 고 대 3
자 지축을 박차고
-
고경제 0
고경제 이번에 한명도 안돈건가...? 아시는분
-
서울대학교 다니는 친구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연고대에 비하면 좀 놀거리가 많지 않다고...
-
걍 칼럼 다 내리겠음 11
내가 누굴 가르칠 지능이 아님
-
국민대는 등록했는데 오늘 아주대에서 추합전화가 왔습니다. 통학시간도 비슷해서 투표 부탁드립니다
-
진학사2칸 합격했습니다 캬~
-
건대는 영문인데 전과하려고요.. (이과임) 전컴은 좀 힘들것같아 그외공대로 전과...
-
신라면도 매워서 못먹음. 인생 커하 튀김우동으로 매워함
-
전화추합오면 4
바로 결정해서 말해야하나요? 고민해서 당일내 결정은 안되나요
-
안녕하세요 고려대학교 가정교육과 일반전형 추합 돌았나요??
-
ㅅㅂ 정시할까 17
ㅋㅋㅋㅋㅋㅋㅋㅋ 생기부 제대로 안 적히는데 학종해서 뭐하냐 차라리 국어 수학 탐구나...
-
대학커뮤니티 노크에서 선발한 중앙대 선배가 오르비에 있는 예비 중앙대학생, 중앙대...
-
기존에는 최대한 안 쓰겠다였다면 이제 아예 안 쓸겁니다. 마지막 단말마 정도로 너그럽게 봐주시길
-
신박한 과들이 많네요
-
내가 예비 1번인데 정신병 걸릴것 같다
-
홍대 합격증 10
방금 전화추합으로 붙었는데 합격증 안주나요?
-
궁금합니당
-
계산량 꽤 많음뇨
-
다 구글드라이브 쓰시나요?? 교재 및 자료 업로드 드라이브를 구글드라이브에서...
-
뱃지 달았다 2
오우오우
-
중대경영 추합 3
최초예비 851 낙지기준 합격컷 749.83 방금 전화추합됨 지금부터 4칸이엇던사람들 전화갈듯
-
국수고평가뭐지다노
-
죽음의 수용소 읽고 나서 하이데거랑 샤르트르 사상이랑 비교해서 독후감 적었는데 너무...
-
3칸 풀줌스나(스나아님) 붙이긴함... 내년에 유용하게 쓰일 경험이겠지.. 이럴거면좀 지를걸그랬나
-
보통 학생회는 성비 반반에 가깝지 않음? 우린 뭐지.. ㄹㅇ
-
숭붕이 옯붕들아 1
새터가면 나랑 친구해줘 ㅠㅠㅠ 나 ㄹㅇ 존못새내기가 겪는 학교생활은 하기싫다구 ㅠㅠ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