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60호] 수능 전 기출을 대하는 자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321983
어느덧 겨울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입시를 준비하는 고3, 재수생 여러분들에게 응원의 말씀 전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기출을 대하는 자세에 대한 칼럼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편하게 작성을 하려다 보니 반말로 쓰게 된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1. 이제 기출 문제는 중요하지 않다?
2022학년도에 처음으로 개정된 교육과정으로 수능이 실시되었고, 실제 수능에서 새로운
스타일의 문제들도 많이 나온 점에서 기출 문제의 중요도가 다른 해에 비해 떨어졌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기출 문제를 분석할 필요가 없다는 뜻이 아니라 예전처럼 기출 문제의 답과 풀이를 외울 정도로 4~5회 반복적으로 학습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다.
기출 문제는 더 이상 수능 문제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한 단계가 아니라
개념을 얼마나 잘 다졌는지 확인하는 단계, n제를 풀기 위한 준비 단계
이다. 즉 주어진 문제의 발문을 어떻게 해석하고, 조건은 어떻게 다루며, 최종적으로 풀이 과정을 어떻게 생각해내는지를 연습하는 과정이다.
2. 나쁜 문제는 없다.
문제를 스스로 평가하지 말자.
필자도 오랜 기간 사교육에서 활동하면서 다양한 문항을 검토하고 제작해봤지만 좋은 문제가 무엇인지 확답하기 어렵다. 더군다나 지금 수험생이라면? 더욱더 판단할 수 없을 것이다. (물론 필자보다 수학을 잘하는 수험생들은 선별할 수 있겠지만, 그런 학생들이 이 칼럼을 볼 이유는 없을 것이다.)
아래와 같은 활용 문제를 예로 들어보자.
물론 2023학년도 수능에 이러한 유형의 문제가 나올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초기자산 , 기대자산 , 시간 과 같이 대놓고 한글로 주어진 조건들을 식에 대입하여 계산하지 못한다면 의도를 숨겨놓은 문제에서 발문 및 주어진 식의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까?
즉 최근 수능에서 본 적이 없다는 이유로, 계산이 복잡하다는 이유로, 아무 의미가 없어 보이는 문제라 하더라도 자신의 문제점을 찾아줄 수도 있고, 다른 능력이 좋아질 수도 있기에 기출문제는 모두 풀어보자.
딱 하나! 선별해야 하는 것이 있다면
문제 난도
이다. 쉬운 4점도 벅찬 학생들이 22번, 30번과 같이 최고난도 문제를 풀고 있는 것만큼 바보짓은 없다. 시중에 있는 교재들은 정확하진 않더라도 문제 난도에 따라 적절히 분배돼있으니, 자신의 수준에 비해 높은 단계의 문제들은 실력 먼저 쌓고 나중으로 미루도록 하자.
3. 나쁜 풀이는 없다.
복잡한 과정을 거쳐 문제를 해결하고 해설을 봤을 때, 생각보다 쉬운 풀이에 허망한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이다. 이때 학생들이 가장 많이 질문하는 것이 ‘제가 쓴 풀이는 나쁜 풀이겠죠?‘, ’쌤이 알려주신 방법으로 풀어야죠?‘이다. 이에 대한 필자의 대답은 ’No’이다. 물론 추후 수능에서 시간 조절을 위해서는 간단한 풀이 방법들을 익힐 필요가 있겠지만, 아직 기출을 푸는 학생들에게 위 방법만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자세는 아주 위험하다.
또한 수능에선 신유형의 문제들을 많이 접할 것이고, 흔히 배우는 수능 개념으로 문제가 풀리지 않는 경험도 하게 될 것이다. 이때, 아무것도 못하고 문제를 틀리고 싶지 않다면, 어떤 방법으로든 간에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자세
를 가지도록 하자.
계산이 아주 복잡하더라도, 답까지 돌아가는 과정이라고 하더라도 절대 나쁜 풀이는 아니므로 끝까지 해결하려는 자세를 가지자. 그 후에 다른 풀이, 간단한 풀이를 연습하면 된다.
4. 실수를 줄이는 방법
‘어떻게 하면 실수를 안할 수 있을까요?’라는 질문은 다들 한 번씩 해봤을 것이다.
실수를 하지 않는 것은 불가능하다.
필자도 5년 이상 고등수학을 해 왔지만, 아직도 단순한 계산 실수 및 설정 오류를 범하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수능을 쳤을 때, 실수로 문제를 틀리는 경우는 매우 적다. 그 이유는 실수를 안하려고 하기보단 오류를 잡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즉 실수로 틀린 문제를 여러 번 풀어서 맞춘다고 해서, 그 실수가 고쳐진 것은 아니다. 문제를 기억하고 있어 해결하게 된 것이므로 다른 문제를 풀 때 똑같은 실수를 범하는 경우가 많을 것이다. 즉 문제를 다시 푸는 것보다는
자신의 풀이에서 오류가 무엇이었는지
를 찾아보도록 하자.
지금까지 교육청, 사관학교까지는 아니더라도 평가원 문제는 자신의 입맛에 맞게 골라서 풀지 않고 모두 풀었으면 하는 마음과 문제에 대한 기본적인 자세에 대해 설명하고자 글을 쓰게 됐습니다.
얼마남지 않은 수능, 수험생 독자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길를 바라며 칼럼 마치겠습니다.
칼럼 제작 |Team PPL 수하기팀
제작 일자 |2022.11.12
Team PPL Insatagram |@ppl_premium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체력 관리 0
학교 다니는 현역입니다 평일에는 매일 몬스터를 마셔야 집중도 잘 되고 잠도 안 와서...
-
♡: 개인적으로 역대삼도극 중 230629 가 hardest ♤: 이제 삼도극 절대...
-
자료 별로 없으니까 참고 하라고 ㅋㅋ
-
이거 뭐임 9
한완수 형님...
-
맞팔구 7
100번째 팔로워의 주인공은~??
-
평가원이 아니라 서바 푸는줄 알았음 진짜 이게 44도 아니고 45인게 개에바임
-
한화 vs KT 경기 시청하기 시합 30분 전
-
큰 소리로 노래가 나오는가?o 춤을 추는가?o 술을 마시는가?o 근처 사람들과...
-
뉴런 한완수 0
둘 중에 뭐를 더 빨리 끝낼 수 있을까요? 국어2 수학3 이라는 전제 하에
-
ㄱㅇㅇ 6
ㄱㅇㅇ
-
수인분당선오르비끄세요 24
넵...
-
미분 가능성 관련 개념도 좀 제대로 안잡힌 느낌이고 특히 절댓값 들어간 미분 가능성...
-
쌀쌀쌀 2
먹
-
ㅅㅅㅎㄱㅅㄷ 4
네.. 사실 아니기도 함
-
여러가지 미분법에서 배우나요?
-
지구과학 3 7
이거진짜임
-
투과목은 언제나 여러분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물투지투단 4
-
졸린데 잘까요 2
피곤함..
-
ㅃㄹㅃㄹ
-
ㅅㅂㅋㅋㅋ 7
-
ㅃㄹㅃㄹ
-
알빠노 6
형이 1등급 받아올게
-
지1 개 ㅅㅂ 0
분명 학교 기출 다맞았다 생각했는데 20점이 나갔네 개 븅신같은과목 팩트:내가공부제대로안한거임
-
4시간도 많다길래;; 난 고1때부터 기본 5시간은 넘었던으같은데 시홈기간엔 10시간?..
-
사탐으로 피신한 분들이 많아서
-
지2 언급이 좀 있네 10
어차피 ^5천^따리 응시율 꼴찌 확정임
-
하코다테 탐방중 11
예쁜 카페에 왔읍니다
-
고양이가 되는거도 나쁘진 않을듯
-
심지어 구글 폼 들어가서 문제를 풀긴 함
-
ㅇ
-
2~3수: 짜증남 안왔으면 좋겠음 4~5수: 연민
-
화1은 시험이 비교적 쉬웟으니까 인정하는데 물1 1컷 48 지1 1컷 44 이 두개가 ㄹㅇ
-
서킷 수학 1
몇 분 잡고 해야하나요? 50분?
-
의대 근처도 못가는 애들,학부모들이 9.5할인데 왜 다들 의대에 관심이 많고 8
의대에 대해 잘 알까? 의대에서 배우는거, 의사되는 과정 레지던트, 전공의, 예과...
-
123페가 쉬웠던 것도 아닌데 그리고 4페는 걍 마그마엿는데..
-
쉽다는 것의 정의가 (1) ㅈㄴ 쉬워서 수학 실모를 발로 풀어도 만점 (2) 못푼...
-
과탐은 아예 멸망인가 지구에서 생윤으로 바꾸긴 했는데 생윤도 1맞는건 좀 운빨...
-
진짜 너무 이쁨..동사 문제 풀 기분이 난다
-
졸려 2
잠와
-
인생이 무료하네요ㅠㅠ
-
그냥 풀고.. 대충 지문파악하고 문제도 다 맞았으면 그냥 넘어가도 되는건가?...
-
지원가능한거임?
-
2021학년도96779 2026학년도 3모 41668 3더프 보정 43657 4더프...
-
언제 갈까 11
6일에 가서 8일에 내려올까 호텔 잡아야지 아님 친구집갈까..
-
지구의 노예 5
고3 자이스토리 지1 고3 완자 지1 중3 과학 대기파트 중2 과학 천체파트 동시에 봐주는중ㅋㅋ
-
매번 그렇지만 교육청 모고이든,평가원이든,더프,수능이던간에 시험 컷보면 어려운거...
-
교보왔는데 4
뭐살까?...
-
국어랑 과탐이라고 생각함뇨
-
현장 응시한 사람 아니면 난이도 평가 안 믿긴 함 20
집에서 벅벅 풀고 평가 하는게 의미가 있나 싶은..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