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기능론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25123

여기서 갑이 왜 기능론인가요? 저는 '구성원들의 요구 때문'이라는 말 때문에 미시인줄 알았어요.. 지금 적으면서 생각해보니까 상징적 상호 작용론도 아니고 교환이론도 아니긴 하네요ㅋㅋ그래도 왜 기능론인지는 모르겠어요 사문 초보자 도와주세용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925123
여기서 갑이 왜 기능론인가요? 저는 '구성원들의 요구 때문'이라는 말 때문에 미시인줄 알았어요.. 지금 적으면서 생각해보니까 상징적 상호 작용론도 아니고 교환이론도 아니긴 하네요ㅋㅋ그래도 왜 기능론인지는 모르겠어요 사문 초보자 도와주세용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변화에 대응한다라는 표현을 변화에 적응한다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아요! 안정을 추구하려는 것이 기능론이니까
기능론개념 정리중에 사회구성원의 합의 란말 보셨나요? 그걸로 구성원들의 요구를 이해하시면될거같습니다
구성원들의 요구 이거 때문같네여
기능론은 사회는 구성원의 합의에 의해 운용되는 것이므로 본질적으로 안정적이라고 봅니다. 그러나 새로운 요소가 개입하게 되면, 그 새로운 요소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주체가 없기 때문에 사회는 불안정하게 됩니다. 구성원들의 기능을 재조정하여 그 새로운 요소를 처리할 수 있게 되면 다시 안정 상태를 회복하게 된다. 이것이 기능론이 보는 사회변동의 본질입니다. (안정 상태에서 일시적 불안 상태를 거쳐서 다시 안정 상태로)
1. 첨단산업비중이 높아져서 정밀 작업이 필요해진다(새로운 요소 개입)
2. 로봇 활용이 증가한다(기능의 재조정)
3. 변화에 대응하게 되어 다시 안정 상태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