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쓰오억 [1144254] · MS 2022 · 쪽지

2022-10-24 14:13:38
조회수 8,180

의료 수가 인상은 자살 아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967966


한국은 초저출산 초고령화 국가임

안그대로 기형적인 인구구조 때문에 우리 세대는 세금부담이 엄청 늘어날건데

여기사 의료수가를 더 올리자는건 님들 나중에 낼 세금부담이 더 늘어날거라는 뜻임 

의대생은 뭐 의료수가 올라서 국민 세금 쪽쪽 빨아먹으면 꿀빨먄 그만이지만 

의대도 못간 대다수의 수험생들은 왜 의료수가 인상을 찬성하는지 모르겠음 


물론 내가 의대생이 아니라 의대지망생이라 이렇게 생각하는거지 나도 의대생 되면 국민들 세금에 ㅈ되든 말든 수가 올려달라고 할 듯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Saint · 1119983 · 22/10/24 15:02 · MS 2021

    저출산 고령화 세금,의료문제 해결법=안락사 도입

  • 오쓰오억 · 1144254 · 22/10/24 15:05 · MS 2022

    그래서 도입하는 듯 ㅋㅋ

  • KD · 1014497 · 22/10/24 16:28 · MS 2020

    주6일 정형외과가 1200밖에안됨?

  • oojooatom · 868592 · 22/10/24 16:31 · MS 2019

    병상수가 작아서 그런듯

  • 오쓰오억 · 1144254 · 22/10/24 17:05 · MS 2022

    그거에 따라서 받는 월급도 달라지나요?

  • 오쓰오억 · 1144254 · 22/10/24 17:06 · MS 2022

    오쓰 오억이라던데 아는 형이

  • 우유우유유우 · 559452 · 22/10/24 17:10 · MS 2015

    수술 안하고 외래만 봐서 그렇습니다.
    돈 많이 버는 정형은 수술로 몸 갈아넣거나 본인이 개원해야해요

  • 오쓰오억 · 1144254 · 22/10/24 17:10 · MS 2022

    아 그렇군요 형이 그래도 엄청 들어가기 힘들다던데

  • 우유우유유우 · 559452 · 22/10/24 17:13 · MS 2015

    들어가기 힘들다기보다 들어가서 힘듭니다. 들어가는 것도 물론 쉽진 않지만 아무래도 고생 많이 하니까 최상위권에선 기피하는 사람들도 있고 해서 성적대가 높은 더 어려운 과들이 많이 있죠

  • 오쓰오억 · 1144254 · 22/10/24 17:16 · MS 2022

    아 그래요? 요즘은 제일 인기과가 아닌가요?

  • 우유우유유우 · 559452 · 22/10/24 17:18 · MS 2015

    평균적으로 가장 많이 버는 과가 정형외과일 수는 있겠지만 입국 성적대로는 최상위는 아닙니다.
    늘 어느정도 인기과인 스테디셀러이고 고령화에도 괜찮은 좋은 과입니다

  • 우유우유유우 · 559452 · 22/10/24 17:09 · MS 2015

    사실 수가 인상이 아니라
    보장률이나 자기부담금을 손봐서 사람들이 병원을 덜 찾게 만들어 병원 유인효과를 줄이는 게 정책적으로는 맞습니다. 우리나라처럼 경증질환으로 건보재정이 계속 많이 새는 국가는 없거든요. 감기에 항생제 두세 개씩 때려박는 곳 없습니다. 문케어 이후로 mri 보험화 되면서 마구 찍어대니 돈 줄줄 새는 거구요.

    현재 한국의 수가 체계는 경증 질환에 우선 배정되어 있고 중증질환에는 불리하게 세팅되어 있어요. 사실 세금의 성격이 강한 건보재정이 더 많은 사람에게 돌아가게끔 정책적으로는 잘 짜여진 부분입니다. 세금이 특정 일부에게만 많이 가면 안되잖아요?
    그런데 문제는 국가가 중증질환자 치료가 돈이 안되게 세팅해서 해당 질환을 보는 병원이 없게 만들고, 그로 인해 치료받는 사람의 숫자가 적어지게끔 만들었다는 겁니다. 세금 분배는 잘 되고 있을지 몰라도 그게 필요한 사람에게 가고 있는지는 다시 들여다 볼 문제예요.
    심지어는 중증질환이라고 다 보장을 안하는 것도 아니고 질환군에 따라 수가보전율 차이가 크고, 정작 돈 많고 아픈 사람이어도 무조건 심평원 수가대로 받게끔 되어 있어서 본인 의사와 무관하게 치료를 불가능하게 만들어둔 사례도 많아서 참 안타깝습니다.

    보장율 축소하고 본인부담금 늘려서 병원유인효과 줄여서 건보재정 아껴야 합니다.
    근데 또 본인부담금 늘리자 그러면 의사 밥그릇이라고 하겠죠? 정작 의사들은 본인부담금 늘면 환자들 병원 덜 오니 현행대로 높은 보장률로 눈 먼 나랏돈 타먹는 게 훨씬 이득입니다..

  • 오쓰오억 · 1144254 · 22/10/24 17:12 · MS 2022

    코로나로 건보 오지게 빼먹더라고요
    누가 정책을 짠건지
    우리 아버지는 차마 이렇게 비양심적으로는 못하시겠다고 직접 하셨지만
    아버지 친구들은 간호조무사 시켜서 돈 긁어모았답니다

  • 우유우유유우 · 559452 · 22/10/24 17:16 · MS 2015

    비대면 한시적 허용과 키트 검사로 많이 번 의원들이 몇 곳 있죠. 대부분의 의원들은 장사 대목이었다 정도지 캡쳐해오신 것처럼 수십억 단위까지는 아니었습니다. 저도 비정상적이었다고 보고, 비대면 원격진료에도 크게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 오쓰오억 · 1144254 · 22/10/24 17:17 · MS 2022

    근데 저거 원래 의사가 직접해야하는거 아니에요?
    아버지 말로는 원래는 직접해야한다고 하던데

  • 우유우유유우 · 559452 · 22/10/24 17:18 · MS 2015

    네 맞습니다

  • 오쓰오억 · 1144254 · 22/10/24 17:23 · MS 2022

    하긴 뭐 다 확인할 수도 없으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