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950662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강기원 0
연구소 질답에 스1 개념설명다시해주신다 하셔서 스2부터 드갈거 같은데 (물론...
-
보ㅈ더락으로 이해함
-
헥헥
-
전광용의 「사수」 내신 벼락치기 하는데 진짜 맛있네요 이거
-
여기서 공부질문하시는 분도 계심 이분은 나를 보고 무슨 생각하실까
-
과에서 어울리는거나 동아리 등 대학 생활 적응 힘들까요?
-
수학실력이 강사치곤 좋지는 않아 걱정됩니다 보자마자 문제 풀려야하는 데 그렇지...
-
이 값이면 교재를 열 권은 사는 가격이라 고민중임 카르마가 두려워
-
또 피해망상 도지려고 함
-
이럴때 오승환이었으면 쓱 타자 하나 대가리 터트리는데
-
되면좋겟네
-
당신의 아스피날은 누구인가요?
-
아니라는 나쁜말은 ㄴㄴ
-
아님 망고
-
작년에 국어 뽀록1터진거로 사촌들한테 서성한 광탈한거 연막치고 다녔는데 (ex. 하...
-
생명 공부할 거 2
생명 기출 2번 돌렸는데 이제 뭐 풀어야 되나요?ㅠㅠ
-
다시 ㅇㅈ 3
아 ㅅㅂ
-
왜 내일 5월임 3
진짜 개구라치지마셈
-
낼 점심 3
규카츠
-
으흐흐
-
차이나는거죠? 4점한문제가 정배인가? 유튜브보니까 확통은 미적분 원점수+7점이라고되어있어서요..
-
안녕하세요 이제야 정신 차린 노베 고3입니다 제 나름대로는 열심히 하고 있다고...
-
아니 미친놈이 저딴게 58억..?
-
이상한 가계도 0
제대로 이해한 게 맞나
-
나는 오르비 욕할때만 메인가네
-
겸손해져야겠다 0
공부든 뭐든
-
21번 킬러 문제 드디어 처음부터 끝까지 혼자 힘으로 풀어냈다 기분좋다..
-
.
-
92점 기하임 공통 선택 1씩틀
-
80점임(13,15,22,28,30 틀) 6모 1가능한가…. 이제 4규, 엔티켓...
-
당연히 왼쪽처럼 이등분인데 오른쪽으로 생각하고 혼자 개죠랄하다가 틀림 ㅋㅋㅋㅋㅋ 84점나옴 ..
-
저녁 6
동생이사줌
-
역시 정상화는 신창섭
-
난 오펜하이머
-
안녕하세요 짤막하게 글을 씁니다 많은 의견을 받을 수 있도록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국어 CDS지문 3
이 지문 난이도는 어떤난인돈가요? 2019학년도 지문인데 난이도 어렵던데. 정답률은...
-
요즘 보는 애니 3
여성향 게임의 파멸 플래그밖에 없는 악역 영애로 환생해버렸다 약사의 혼잣말 넷플에 있어요오
-
캬캬캬
-
나도 저런 것 좀 받고싶다
-
근데 확통 옛기출 보면 막 남학생 여학생 이런거 나오잖음 2
볼때마다 남학생이 학생수 많아서 성차별 느낌 ㅜㅜ 퓨ㅠㅠ 여성인권 신장해 !
-
공부노래 추천 1
-
사실 속으로는 컴플렉스를 직접적으로 극복 못 하면 본인이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계속...
-
내가 이거 수천 번 이야기했어. 뭐 동창이고 친구고 간에 6
신원 확인됐고 신뢰성 보장할 수 있는 인간들 아니면 함부로 인연 맺지 말라고. 너랑...
-
술 먹고싶다 1
ㅋㅋ
-
ㅎㅎ 2
-
캬..
-
Q: 왜 5번은 건너뛰나요? A: 마지막에 올릴거에요.
-
"눈·뇌 적출된 시신으로 돌아왔다"…우크라 여기자 충격적인 죽음의 전말 5
[서울경제] 러시아 점령지에 '잠입 취재'를 나섰던 우크라이나 여성 기자가 장기가...
-
교수도 좀 쉬라고!!
이거 사진 위치 조절 어캐함...?
나도 이거 햇갈려서 검색해서 저 답변 봤음ㅋㅋㅋ
ㅋㅋㅋㅋ 다똑같네요
완료상은 동작의 완료를 나타내는 동작상이고,
진행상은 움직임이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동작상입니다.
중의성의 종류에는 어휘적 중의성, 구조적(통사적) 중의성, 의미적 중의성이 있는 건 아실 겁니다. 이 중에서 구조적 중의성은 문장의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해석이 두 가지 이상으로 되는 현상인데 ‘-고 있-’과 같은 보조용언을 이용한 상(相)의 중의성이 그 예입니다.
“아이가 타고 있어요”
1. 아이가 타는 행위를 진행 중이라는 뜻으로,
2. 타는 행위를 완료하여 그 행위의 결과를 유지 중이라는 뜻으로도
해석이 됩니다.
“신발을 신고 있다”를 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중의적 문장이라 할 수 있겠지만 ‘중'을 사용하여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고 문제에서 쓰였습니다. 맞는 말이라고 봅니다. 수정 전의 문장은 '-고 있-'이 진행상의 의미로도 완료 지속상의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중의성을 띠게 되지만, 수정 후의 문장에서 '-는 중이-'라는 표현은 완료 지속의 의미보다는 동작의 진행상을 나타내게 됩니다.
‘-는 중이다.’로 고치면 동작이 진행 중이라는 의미를 나타내게 되어 중의성을 해소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혜윰모의 견해인 것 같은데 ‘-는 중이다' 구성이 일반적으로 양태를 나타낸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8년 전 문제이긴 하지만 2014 9월 국어 모의고사에서도 “중이다"를 통하여 중의성을 해소한다고 보는 것 같고 평가원은 아마 이 견해를 유지하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국국원의 답변을 보아도 어느 정도 해소가 된다고 했으며 사전 정보를 참고하라 하였습니다.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 '중'은 일반적으로 명사 뒤에 쓰이며 관형형 어미 '-는' 뒤에 오는 '중'은 일반적으로 동작의 지속을 나타내는 '중'으로 보는 것이 적절할 것입니다. 즉 중-2로 보아 동작상의 진행으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는 것이지요. 국국원의 의견이 학교문법과 일치하는 것은 아닙니다. ㄴ첨가와 같은 경우를 봐도 그렇지요.
참고로 학교문법론입니다. 개인의 의견을 피력하는 책에는 ‘론'이 붙는데 ‘학교문법론'은 이관규 교수가 학교문법을 어떻게 기술해야 할 것인지를 쓴 책입니다. 학교문법을 제정할 때 참고하는 책이긴 하지만 어느 정도 개인의 의견이 녹아 있습니다. 우말론 같은 책도 마찬가지죠.
아래의 링크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님이 올리신 사진에 대한 또 다른 답변입니다.
https://www.korean.go.kr/front/onlineQna/onlineQnaView.do?mn_id=216&qna_seq=77844
긴글 감사합니다. 일단 수능시험에서 평가원이 해소된다고 봤으니 그를 따라가는게 맞겠네요.
https://orbi.kr/00058952476
링크 참고해주세요!
그냥 넘기지 않고 저희 모의고사에 많은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