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로즈(이유섭) [194126] · MS 2007 · 쪽지

2015-04-16 00:28:02
조회수 2,436

2013 연세대 편입 논술고사 시험문제 (인문계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92159

2013학년도 연세대학교 논술(편입)

입학시험 문제지(인문계열)



아래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제시문 <>




또 내가 시험 삼아 네게 물으리라. 사람은
습한 곳에서 잠을 자면 요붕이 생기고 반신불수가 되어 죽거니와, 미꾸라지도 그러한가? 나무에 올라간 즉 벌벌 떨면서 두러워하는데, 원숭이도 그러한가? 셋 가운데 누가 바른 거처를 아는가?  사람은 고기를 먹고, 사슴은 풀을 먹고, 지네는 뱀을 달게 여기고, 솔개와 까마귀는 쥐를 좋아한다. 넷 가운데 누가 바른 맛을 알며, 원숭이는 편저로 짝을 삼고, 순록은 사슴과 교미하며, 미꾸라지는 물고기와 더불어 놀며 모장과 이호는 사람이 아름답게 여기는 미인이지만 물고기가 보고는 깊이 숨어들고, 새가 보고는 높이 날아가고, 순록과 사슴이 급히 달아난다. 넷 가운데 누가 천하의 아름다움을 아는가




 




제시문 <>




모든 발언은 단일언어 - 그 구심점과
힘의 영향 - 에 참여하며, 동시에 사회, 역사적인 언어적 다양성 - 그 원심적이고 분리적인 힘 - 을 공유한다. 이 같은 사실은 어느 하루, 어느 한 시대, 어떤 한 사회집단이나 장르나 유파의 어떤 한 순간의
언어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어떤 발언이든 일단 살아있는 언어 내부의 갈등하는 두 경향 사이의 모순적이고
긴장된 통일임이 밝혀질 때에만 그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분석도 가능해진다. 발언의 진정한 환경, 즉 발언이 그 속에서 생명과 형태를 부여받는 환경이란 한편으로 일반언어(Language)처럼
익명적이고 사회적이면서도 다른 한편 개별 발언(palore)처럼 구체적이고 특수한 내용과 악센트를 가지는, 대화적인 언어의 다양성이다.




주요한 시적 장르들이 언어, 이념적
삶의 통일적이고 집중적이며 구심적인 힘들의 영향 하에서 발전하고 있을 때, 소설과 소설지향적인 예술적
산문은 탈중심화를 도모하는 원심적 힘들에 의해 형성되고 있었다. 시가 보다 높은 공식적 사회이념의 차원에서
언어, 이념적 세계의 문화적, 민족적, 정치적, 집중화의 과업을 수행하고 있을 때, 보다 저급한 차원, 예컨대 지방 장터의 무대나 어릿광대의 놀음에서는
광대의 다양한 언어가 모든 언어들과 방언들을 조롱하며 메아리치고 있었고 우화시나 익살극, 거리의 노래, 속담, 기담의 문학이 펼쳐지고 있었다. 그곳에서는 언어적 중심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시인이나 학자, 승려, 기사 따위의 언어들에 대한 
활기찬 장난이 이루어졌다. 그곳에서는 모든 언어들은 일개 가면일 뿐, 어떠한 언어도 진정하고 확실한 얼굴임을 주장할 수 없었다.




이러한 저급 장르들 안에 통합된 언어적 다양성은
(
다양한 장르들 안에 표현되는) 문예 언어,
민족과 시대의 언어, 이념적 삶에 존재하는 언어학적 중심에 단순히 대면하고 있는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그 같은 문예언어에 의식적으로 대립하고 있다. 그것은 자기 시대의 공식 언어를 패러디하면서 그에 대해
날카롭게 논쟁적으로 적대한다. 그것은 대화화된 언어적 다양성이다.




 




제시문 <>




중국과 관련하여 첫째로 주목해야 할 대상은 기원전 5세기의 공자의 가르침이다. 공자의 철학은 라이프니츠 시대에 와서
크게 각광을 받았는데 결국 이는 도덕철학이다. 그의 저작물은 중국인 사이에서 최고로 존중되고 있다. 그는 주요문헌, 특히 역사류의 주요문헌에 주석을 달았다,. 물론 그 밖에도 철학에 관한 업적도 있긴 하지만 이것 역시 고대의 전통적인 문헌에 대한 주석서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도덕의 완성을 위한 그의 노력이 그를 가장 유명하게 만들었는데 이러한 가르침은 중국인들 사이에서
역시 권위를 누리고 있다. 그의 일대기는 프랑스 선교사에 의하여 중국어 원전에서 번역되었다. 이에 따르면 그는 탈레스와 거의 동시대인으로써 한때 정부의 최고위직에 있었으나 실각하여 공직을 박탈당한 후로는
그의 동료들 사이에서 철학자로 통하였지만 여전히 사람들은 그에게서 공사에 대한 조언을 구하곤 하였다. 공자가
그의 제자들과 나눈 대화 내용으로 전해지는 것은 일상적 교훈을 담고 있다. 그의 내용은 어디서나, 어느 민족에게나 볼 수 있는 것으로써, 더 분명히 이야기하자면 전혀
특출한 데라곤 없다. 실용적인 세속적 지혜의 소유자라고 할 그에게서 사변철학이라고 할 만한 것은 전혀
눈에 띄지 않으며 아무리 봐도 특별한 것이라곤 찾아볼 수 없는 선과 충직에 대한 도덕설만이 다루어져 있다. 키케로의
도덕적 설교집인 <의무에 관하여> 는 우리에게
공자의 전체 작품보다도 많은, 그리고 더 값진 것을 일깨워준다. 공자의
원전을 대하고 나서 우리가 내릴 수 있는 판단은 만약 그 원전들이 번역되지 않았더라면 공자의 명성을 유지하는 데 더 유리하지 않았겠는가 하는 것이다.





 


 


<문제 1> 가치관의 다양성을 옹호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문 가와 제시문 나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밝히시오. (글자 수 제한 없음, 50점)

제시문 다의 요지를 제시문 가와 제시문 나의 관점에서 비판하시오. (글자 수 제한 없음, 50점)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