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데 중세국어 주격조사 ㅣ에서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555458
부쳐에서 쳐는ㆍㆍㅣ라서 ㅣ 모음으로 끝나는건데 왜 ㅣ모음으로 끝나는걸로 분류되지 않는지 질문올립니다
ㆍㅣㅡㅓㅏ ㅑㅕㅛㅠ ㅖㅐ에다가 ㅣ를 붙이는 경우에는 전부 ㅣ모음으로 끝난다는건 이해가 되는데 쳐가 안되는 이유는 모르겠어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솔직히 빠지려는 이유는 집중력이슈도 있긴한데 제가 키우는 애완동물이 있는데 몸이...
-
장영진 꿀모 특 0
공통 불 미적 물임 미적은 보통 다맞거나 1개 틀리는데 공통은 2개는 깔고감
-
소고기맛 필통 1
도시락에서 소고기무국 새어나와서 필통 다 젖었는데 그 특유에 찌든내 난다.....
-
빡모 4점 초반부터 못푸는데 수학 감 진짜 ㅇㅁ 뒤진듯 0
패드립 아님 이미임 상반기엔 수학에 시간을 많이 썼는데, 정시 공부 자체가 처음이라...
-
있자나 나는.. 10
너가 없으면 살수가없어 오르비 그만두지 마. 아니면 나 무너져. 너 없으면 이...
-
메가패스 양도 0
메가패스 25만원에 양도해드립니다. 쪽지주세요
-
그러면 서울대인데 ㅋㅋ
-
주제통합같은 장지문은 15분은 엥간하면 넘기는 것 같고 다른 자문들도 12~13분...
-
겨울때 기출 한바퀴했는데 계속 3 5 6 7모 싹다 2등급만 나와서 여름방학동안...
-
제가 종종 했었던 말인데 다들 안된다 했던 걸 한 번쯤은 성공해보셨으면 좋겠습니다...
-
평가원 #~#
-
★D-3★[서울시립대][2026학년도 입시상담 멘토링 COME:PATH(컴패스 멘토링) 3차 - 고교생 멘티 모집] 1
[2026학년도 COME-PATH 멘토링 3차 고교생 멘티 모집] 서울시립대,...
-
사탐 과탐 vs 6
1년만에 사탐 1컷만들기 vs 과탐2컷 만들기 난이도 비교 ㄱㄱ
-
.
-
이따 알바가야됨 4
알바 오랜만에 가는 듯
-
달마다 결제 원하고ㅠㅠ 최적쌤 정법만 들을 것 같아요!ㅠㅠ 다운받고 들어도 되니까...
-
괜히 일찍 왔다 앞 수업 안 끝나서 학원 자습실에서 기다리는데 더워 죽겠음
-
앓아눕다 6
링거맞으면서 코코낸내..
-
가끔 생각해 6
나도 결혼하고 싶당 한 30살 정도가 적당하겟군(?)
-
혹시 퀄리티랑 난이도 어땠나요? 저 때는 기출이었어서… 과외 준비용으로 사서...
-
최근 4개년 평가원 6,9,수능 기출 실린 문제집 좋은거 있을까요?
-
솔직히 남자쪽이 개이득 아닌가 ㅋㅋㅋㅋ 기존 연애구조가 남자가 연애하기 어려운...
-
헤드스핀존나하기 0
베렐 르르르르
-
ㅋ
-
근데 강의 언제 끝나려나
-
탐구 1과목만 반영하고 과탐 가산점 없는대학에 돌려봤는데 사문 98,지구96중에...
-
내심 즐기고 있어
-
칭찬 - 그렇구나 비판 - 그렇구나 비난 - 그렇구나 다 이럼
-
사설 실모 기준 준킬러/비킬러만 틀리고 88~92점 맨날 15 22 28 30 중에...
-
비 왜케많이와 14
진짜오반데
-
저희 학교가 학군지인데 영어가 특히 어려운 편이라 1등급이 잘 안 나와서 방학 동안...
-
매실주맛있음? 2
1년넘게담글건데
-
외부 자극에 둔감한 편임 근데 너무 추운거는 못참아 크엑
-
수능끝나고 먹을꺼임
-
그정도 난도는 아닌거같은데 높네
-
다들 뭐하시나요 17
-
모의고사 업체 말고, 경험 상 상상력이 뛰어난 애들이 국어를 잘함. 예를 들어서...
-
잘생기고 돈 많으면 사귀는 중에 딴 여자랑 혼외자 만들어도 결혼에 문제 없네
-
백일주 추천 좀 1
오랜만에 묵혀둔 발렌타인을...
-
D-100, 당신의 백일주를 다채롭게 만들어줄 칵테일 칼럼 12
오이카와입니다. 오늘은 수능 D-100인데요. 당연히 백일주… 마셔야겠죠? 하지만...
-
서강대 문과편입 최초합(경쟁률 100 넘었음) 현재 문과 전문직 계열 자격증...
-
독서론 풀 때 독서론 지문 다 읽고 문제 푸시나요 아니면 발췌독 하시나요?
-
본질도 중요하다
-
랜덤으로..
-
뭔 작수유형이 서바에 다있었냐 ㄹㅇ 카르텔이네
-
확통 문제 질문 3
-
경시 변형이에용 ㅇㅅㅇ
-
하루에 1점씩 올리면 전과목 만점!
반모음 i+ㅓ 아닌가요
권규호에서 ㆍㆍㅣ라고 가르쳐주셔서요
저는 한번도 그렇게 배운적이 없는데 머지
국어의 정석에 그거 분석하는거 예시에 있길래요..
반모음 +ㅓ면 안헷갈렸었는데 지금 헷갈리네요
이중모음인데 ㅣ가 앞에오는 이중모음이라서
ㅣ 모음으로 끝나지 않아서요 (반모음i + ㅓ)
권규호커리 타는데 거기 국어의 정석?에 그렇게 써있길래..
여기서 ㅣ계열이란 반모음이 앞에 오는 ㅑ ㅕ ㅛ ㅠ 등이 아니라 ㅣ가 뒤에 오는 ㅔ ㅐ 등을 말합니다. 현대국어에서는 단모음으로 바뀐 소리들입니다. ㅣ반모음 계열의 이중모음만이 아니라 끝소리가 반모음 ㅣ인 겁니다. 지금은 단모음이지만 중세 때 이중모음이었던 ㅔ ㅐ ㅚ ㅟ가 다 여기에 속합니다.
반모음 'j'로 시작하는 이중모음: ㅑㅕㅛㅠ (예: ㅑ=반모음 'j'+ㅏ)
반모음 'j'로 끝나는 이중모음: ㅐㅔㅚㅟㅢㆎ (예: ㅐ=ㅏ+반모음 'j')
반모음 'j'로 끝나는 삼중모음: ㅒㅖㅙㆉㅞㆌ (예: ㅒ=반모음 'j'+ㅏ+반모음 'j')
그 책에서 아래아+아래아+ㅣ로 설명한 것은 훈민정음에서 밝힌 것을 인용한 것입니다. 훈민정음해례본에서 ㅕ는 아래아+아래아+ㅣ로 설명하였고 이는 다른 모음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만들 때 그리 만들었다는 것이지 실제 음가는 '반모음 j + ㅓ'이기 때문에 ㅣ가 붙지 않습니다. 제자원리≠음가
제자 원리는 단순히 그 문자의 생김새를 어떻게 만들었냐이지 음가를 결정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물론 'ㅐ' 같은 건 음가를 결정하나 'ㅕ'는 아닙니다. 음가는 반모음 j + ㅓ입니다.
「제자해」에서는 초출자 ‘ㅗ, ㅏ, ㅜ, ㅓ’에 다시 ‘ㆍ’를 더하여 ‘ㅛ, ㅑ, ㅠ, ㅕ’ 4자를 더 만들고,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ㅛ’는 ‘ㅗ’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된다. ‘ㅑ’는 ‘ㅏ’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된다. ‘ㅠ’는 ‘ㅜ’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된다. ‘ㅕ’는 ‘ㅓ’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된다.” 이어서 “‘ㅗ, ㅏ, ㅜ, ㅓ’는 하늘과 땅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초출이 되고, ‘ㅛ, ㅑ, ㅠ, ㅕ’는 ‘ㅣ’에서 시작되어 사람을 겸하였으므로 재출이 된다. ‘ㅗ, ㅏ, ㅜ, ㅓ’에서 둥근 것(즉 ‘ㆍ’)을 하나로 한 것은 초출의 뜻을 취한 것이다. ‘ㅛ, ㅑ, ㅠ, ㅕ’에서 그 둥근 것(즉 ‘ㆍ’)을 둘로 한 것은 ‘재출’의 뜻을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면 재출자는 초출자인 ‘ㅗ, ㅏ, ㅜ, ㅓ’에 ‘ㆍ’를 다시 더하여 만든 것으로서, ‘ㅣ’로 시작된다는 것을 제하면, ‘ㅗ, ㅏ, ㅜ, ㅓ’와 같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설명을 바탕으로 ‘ㅛ, ㅑ, ㅠ, ㅕ’는 ‘ㅣ’로 시작하는 상향이중모음 [yo], [ya], [yu], [yə]로 추정해 오고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재출자(再出字))]
참고하세요.
아래아+아래아+ㅣ는 제자 원리일 뿐 음가가 ㅣ로 끝났다고 볼 수 없습니다. 해례본에서 제자 원리와 발음은 엄격히 구분합니다. "ㅣ에서 시작한다" 등의 언급을 통해 발음을 추정하는데 이를 통해 반모음+ㅓ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