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띵 [797231] · MS 2018 (수정됨) · 쪽지

2022-09-28 12:42:29
조회수 2,964

근데 중세국어 주격조사 ㅣ에서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555458

부쳐에서 쳐는ㆍㆍㅣ라서 ㅣ 모음으로 끝나는건데 왜 ㅣ모음으로 끝나는걸로 분류되지 않는지 질문올립니다

ㆍㅣㅡㅓㅏ ㅑㅕㅛㅠ ㅖㅐ에다가 ㅣ를 붙이는 경우에는 전부 ㅣ모음으로 끝난다는건 이해가 되는데 쳐가 안되는 이유는 모르겠어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kamp · 1091956 · 22/09/28 12:43 · MS 2021

    반모음 i+ㅓ 아닌가요

  • 오띵 · 797231 · 22/09/28 12:44 · MS 2018

    권규호에서 ㆍㆍㅣ라고 가르쳐주셔서요

  • kamp · 1091956 · 22/09/28 12:45 · MS 2021

    저는 한번도 그렇게 배운적이 없는데 머지

  • 오띵 · 797231 · 22/09/28 12:46 · MS 2018

    국어의 정석에 그거 분석하는거 예시에 있길래요..

  • 오띵 · 797231 · 22/09/28 12:45 · MS 2018

    반모음 +ㅓ면 안헷갈렸었는데 지금 헷갈리네요

  • 가나다법칙 · 1046544 · 22/09/28 12:43 · MS 2021

    이중모음인데 ㅣ가 앞에오는 이중모음이라서

  • 까멜리아 · 943179 · 22/09/28 12:44 · MS 2019

    ㅣ 모음으로 끝나지 않아서요 (반모음i + ㅓ)

  • 오띵 · 797231 · 22/09/28 12:45 · MS 2018

    권규호커리 타는데 거기 국어의 정석?에 그렇게 써있길래..

  • 국어학가망없나 · 1159823 · 22/10/01 12:44 · MS 2022

    여기서 ㅣ계열이란 반모음이 앞에 오는 ㅑ ㅕ ㅛ ㅠ 등이 아니라 ㅣ가 뒤에 오는 ㅔ ㅐ 등을 말합니다. 현대국어에서는 단모음으로 바뀐 소리들입니다. ㅣ반모음 계열의 이중모음만이 아니라 끝소리가 반모음 ㅣ인 겁니다. 지금은 단모음이지만 중세 때 이중모음이었던 ㅔ ㅐ ㅚ ㅟ가 다 여기에 속합니다.

    반모음 'j'로 시작하는 이중모음: ㅑㅕㅛㅠ (예: ㅑ=반모음 'j'+ㅏ)

    반모음 'j'로 끝나는 이중모음: ㅐㅔㅚㅟㅢㆎ (예: ㅐ=ㅏ+반모음 'j')

    반모음 'j'로 끝나는 삼중모음: ㅒㅖㅙㆉㅞㆌ (예: ㅒ=반모음 'j'+ㅏ+반모음 'j')

    그 책에서 아래아+아래아+ㅣ로 설명한 것은 훈민정음에서 밝힌 것을 인용한 것입니다. 훈민정음해례본에서 ㅕ는 아래아+아래아+ㅣ로 설명하였고 이는 다른 모음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나 만들 때 그리 만들었다는 것이지 실제 음가는 '반모음 j + ㅓ'이기 때문에 ㅣ가 붙지 않습니다. 제자원리≠음가

  • 국어학가망없나 · 1159823 · 22/10/01 12:47 · MS 2022

    제자 원리는 단순히 그 문자의 생김새를 어떻게 만들었냐이지 음가를 결정한다고 볼 수 없습니다. 물론 'ㅐ' 같은 건 음가를 결정하나 'ㅕ'는 아닙니다. 음가는 반모음 j + ㅓ입니다.

  • 국어학가망없나 · 1159823 · 22/10/01 12:52 · MS 2022

    「제자해」에서는 초출자 ‘ㅗ, ㅏ, ㅜ, ㅓ’에 다시 ‘ㆍ’를 더하여 ‘ㅛ, ㅑ, ㅠ, ㅕ’ 4자를 더 만들고, 그 특징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ㅛ’는 ‘ㅗ’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된다. ‘ㅑ’는 ‘ㅏ’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된다. ‘ㅠ’는 ‘ㅜ’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된다. ‘ㅕ’는 ‘ㅓ’와 같지만 ‘ㅣ’에서 시작된다.” 이어서 “‘ㅗ, ㅏ, ㅜ, ㅓ’는 하늘과 땅에서 비롯된 것이어서 초출이 되고, ‘ㅛ, ㅑ, ㅠ, ㅕ’는 ‘ㅣ’에서 시작되어 사람을 겸하였으므로 재출이 된다. ‘ㅗ, ㅏ, ㅜ, ㅓ’에서 둥근 것(즉 ‘ㆍ’)을 하나로 한 것은 초출의 뜻을 취한 것이다. ‘ㅛ, ㅑ, ㅠ, ㅕ’에서 그 둥근 것(즉 ‘ㆍ’)을 둘로 한 것은 ‘재출’의 뜻을 취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하면 재출자는 초출자인 ‘ㅗ, ㅏ, ㅜ, ㅓ’에 ‘ㆍ’를 다시 더하여 만든 것으로서, ‘ㅣ’로 시작된다는 것을 제하면, ‘ㅗ, ㅏ, ㅜ, ㅓ’와 같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러한 설명을 바탕으로 ‘ㅛ, ㅑ, ㅠ, ㅕ’는 ‘ㅣ’로 시작하는 상향이중모음 [yo], [ya], [yu], [yə]로 추정해 오고 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재출자(再出字))]

    참고하세요.

    아래아+아래아+ㅣ는 제자 원리일 뿐 음가가 ㅣ로 끝났다고 볼 수 없습니다. 해례본에서 제자 원리와 발음은 엄격히 구분합니다. "ㅣ에서 시작한다" 등의 언급을 통해 발음을 추정하는데 이를 통해 반모음+ㅓ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