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학 유사과학 드립에 궁금해서 찾아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508614
1. 법률적으로 한의약은 다음과 같음
한의약”이란 우리의 선조들로부터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한의학(韓醫學)을 기초로 한 한방의료행위와 이를 기초로 하여 과학적으로 응용ㆍ개발한 한방의료행위(이하 “한방의료”라 한다) 및 한약사(韓藥事)를 말한다.
요약하면 전통 + 그걸 과학적으로 계승
2. 한의학을 한의대 교육과정
분자세포면역학 I | Molecular Cell Immunology I | 전공선택 | 3 |
생물정보학 I | Bioinformatics I | 전공선택 | 3 |
실험전략전술론 I | Experiment Strategies and Tactics I | 전공선택 | 3 |
분자세포면역학 II | Molecular Cell Immunology II | 전공선택 | 3 |
한의정보처리론 | Medical Data Management and Analysis in TKM | 전공선택 | 3 |
면역생리학 | Immunology Physiology | 전공선택 | 3 |
분자세포면역학 III | Molecular Cell Immunology III | 전공선택 | 3 |
의학정보학 I | Medical Informatics I | 전공선택 | 3 |
세포생리학 | Cellular Physiology | 전공선택 | 3 |
분자세포면역학 I | Molecular Cell Immunology I | 전공선택 | 3 |
의학정보학II | Medical Informatics II | 전공선택 | 3 |
실험전략전술론 I | Experiment Strategies and Tactics I | 전공선택 | 3 |
병리학적 연구방법론1 | Pathological Research Methodology1 | 전공선택 | 3 |
병리학적 연구방법론2 | Pathological Research Methodology2 | 전공선택 | 3 |
병리학적 최신연구방법론 | Pathological Research Trend Update | 전공선택 | 3 |
병리학적 한방임상론 | Hanbang Clinical Application based on Patholgy | 전공선택 | 3 |
염증병리론1 | Inflammation pathology 1 | 전공선택 | 3 |
염증병리론2 | Inflammation pathology 2 | 전공선택 | 3 |
염증병리연구동향 | Inflammation pathology research trend | 전공선택 | 3 |
병리논문작성법 | Pathology Thesis Preapration | 전공선택 | 3 |
천연물의약품 | Natural Products Medicines | 전공선택 | 3 |
신호전달생화학 | Signal Transduction Biochemistry | 전공선택 | 3 |
종양병리학 | Cancer Pathology | 전공선택 | 3 |
천연물유래의약품 | Natural Product Derived Drugs | 전공선택 | 3 |
논문연구 1 | Thesis research 1 | 전공선택 | 3 |
논문연구 2 | Thesis research 2 | 전공선택 | 3 |
논문연구 3 | Thesis research 3 | 전공선택 | 3 |
논문연구 4 | Thesis research 4 | 전공선택 | 3 |
세포신호전달 | Signal Transduction | 전공선택 | 3 |
종양조직학개론 | General Histology for cancer | 전공선택 | 3 |
종양조직표본제작법 | preparation and staining methods for cancer tissue | 전공선택 | 3 |
종양생물연구방법론 | Methodology for cancer biological Research | 전공선택 | 3 |
본초저널세미나1 | Journal Seminar on Herbal Medicine Ⅰ | 전공선택 | 3 |
본초저널세미나2 | Journal Seminar on Herbal Medicine Ⅱ | 전공선택 | 3 |
신본초자원론 | Resources of New Herbal Medicine | 전공선택 | 3 |
약용광물자원특론 | Advanced Medicinal Mineral Resource | 전공선택 | 3 |
약용식물자원특론 | Advanced Medicinal Plant Resource | 전공선택 | 3 |
중추신경계본초효능론 | Efficacy of Herbal Medicine on Central Nervous System | 전공선택 | 3 |
한약내분비약리학 | Endoctrine Pharmacology of Herbal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약리학총론1 | General Pharmacology Ⅰ | 전공선택 | 3 |
한약리학총론2 | General Pharmacology Ⅱ | 전공선택 | 3 |
한약신약개발특론 | Advanced Development of New Herbal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약정보특론 | Advanced Information on Herbal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약효능평가특론1 | Methodology for Pharmacological Research on Herbal Medicine Ⅰ | 전공선택 | 3 |
한약효능평가특론2 | Methodology for pharmacological Research on Herbal Medicine Ⅱ | 전공선택 | 3 |
한의학연구논문작성법 | Scientific writing for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향약특강 |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약효능론 | Theory of Efficacy | 전공선택 | 3 |
암연구최신동향 | Trends in Cancer Research | 전공선택 | 3 |
한약제제신약개발 | New Drug Development using Herbal Medicine in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세포신호전달개론 | Introduction to Cellular Signal Transduction | 전공선택 | 3 |
암분자표적신약개발 | Molecular-target New Anti-cancer Drug Development | 전공선택 | 3 |
분자생물학과 개체의학 | Molecular Biology and indivisualized Medicine | 전공선택 | 3 |
분자역학론 | Molecular Epidemiology in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임상분자생물학 | Clinical Biology in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약물 유전체학론 | Pharmacogenomics in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중개의학 | Translational Research | 전공선택 | 3 |
분자생물학 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ology in Molecular Biology | 전공선택 | 3 |
천연물유래 항암제 개발 방법론 | Methodology for New Cancer Drug Development using Natural Products | 전공선택 | 3 |
기초한의과학 체계적 문헌고찰 | Systemic Review of Science in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약제제신약개발방법론 | Methodology for New Drug Development using Herbal Medicine in TKM | 전공선택 | 3 |
한의학임상시험론 | Clincal Trials using TKM | 전공선택 | 3 |
한의학임상시험론 Ⅱ | Clincal Trials using KM Ⅱ | 전공선택 | 3 |
환경분자생물학 | Environmental Molecular Biology | 전공선택 | 3 |
분자세포생물학특론1 | Advances in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1 | 전공선택 | 3 |
분자세포생물학특론2 | Advances in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2 | 전공선택 | 3 |
분자유전학특론1 | Advances in Molecular Genetics 1 | 전공선택 | 3 |
분자유전학특론2 | Advances in Molecular Genetics 2 | 전공선택 | 3 |
금궤요략 | Keumgueyoryak | 전공선택 | 3 |
금궤요략2 | Keumgueyoryak2 | 전공선택 | 3 |
단계심법 | Dangyesimbeop | 전공선택 | 3 |
상한론과온병학 | Sanghanrhon and Febrile disease | 전공선택 | 3 |
상한론과체질의학 | Sanghanrhon and Constitutional Medicine | 전공선택 | 3 |
온병조변 | Onbyeongjobyeon | 전공선택 | 3 |
온병조변2 | Onbyeongjobyeon2 | 전공선택 | 3 |
황제내경과상한론 | Hwangje-Neijing and Sanghanrhon | 전공선택 | 3 |
한국 상한의학의 역사 | History of SangHan Medicine in Korea | 전공선택 | 3 |
한국 부인과학의 역사 | History of gynecology in Korea | 전공선택 | 3 |
한국 소아과학의 역사 | History of pediatrics in Korea | 전공선택 | 3 |
한국의 의안의 발굴과 활용 | Enlist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n the Medical Cases in Korea | 전공선택 | 3 |
동아시아 전통의학 속의 의안 연구 | Researchs on the medical cases in eastern medicine | 전공선택 | 3 |
사암침법의 역사 | History of Sa-am Acupuncture | 전공선택 | 3 |
사상체질의학의 역사 | History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전공선택 | 3 |
일본 한방의학의 역사 | History of Japanese Kampo Medicine | 전공선택 | 3 |
중국 소수민족의 의학 | Minority Race Medicine in China | 전공선택 | 3 |
의방유취의 구성체계 | Organization of Euibangyoochi | 전공선택 | 3 |
의방유취와 동아시아 전통의학 | Chinese Medical History 1 | 전공선택 | 3 |
의림촬요의 의학사 | Medical History of Euirimchwalyo | 전공선택 | 3 |
한의학과 지역 축제 | Korean Medicine and local festival | 전공선택 | 3 |
한의학과 스토리텔링 | Korean Medicine and story-telling | 전공선택 | 3 |
한의학과 문화재 | Korean Medicine and cultural assets | 전공선택 | 3 |
한의학 학술잡지의 역사 | History of Korean Medicine Journals | 전공선택 | 3 |
한의학과 문화유산 | Korean Medicine and cultural heritage | 전공선택 | 3 |
한국, 북한, 중국, 대만, 일본의 동아시아의학들 | East Asian Medicines in South Korea, North Korea, China, Taiwan, and Japan | 전공선택 | 3 |
몸의 인류학 | Anthropology of the Body | 전공선택 | 3 |
세계의 전통의학 | Traditional Medicines in the World | 전공선택 | 3 |
질병의 사회사 | Social History of Diseases | 전공선택 | 3 |
의학과 사유의 방식 | Medicines and Styles of Thought | 전공선택 | 3 |
동아시아 근대성과 동아시아 의학 | East Asian Modernities and East Asian Medicines | 전공선택 | 3 |
동의보감의 형성과 후대에 미친 영향 | The Establishment & Influence of Dongebogam | 전공선택 | 3 |
동의수세보원의 출현과 역사적 배경 | Emergence of Dongyisusebowon 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 전공선택 | 3 |
사회와 의학의 관계 | Relation of Society and Medicine | 전공선택 | 3 |
서양의학과 전통의학 관계의 역사 | History of Relationship between Bio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ine | 전공선택 | 3 |
우리 의학에 나타난 양생법 | Yangseng in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유의의 형성과 발전 | Scholor Physician in Korean medical history | 전공선택 | 3 |
의료와 문화 | Medicine and Culture | 전공선택 | 3 |
의료인류학 | Medical Anthropology | 전공선택 | 3 |
한국 침구학의 역사 | History of Acupuncture in Korea | 전공선택 | 3 |
한국의 질병의 역사 | History of Disease in Korea | 전공선택 | 3 |
한의학 영어논문 강독 | Reading of English Articles on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의학 인물사 | Figures in Korean Medical History | 전공선택 | 3 |
한의학의 제도사 | Institutional History of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의학의 학술유파 | The Currents of Tradicition in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의학의문화컨텐츠화방안 | Cultural Contents of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향약집성방의 형성과 조선전기의학 | Formation of Hyang-Yak-jib-Sung-Bang & Korean Medical History of the Early Joseon Dynasty | 전공선택 | 3 |
현지조사를 통한 의학연구 | Fieldwork Methods in Medical Researches | 전공선택 | 3 |
줄기세포분화론 II | Stem cell differentiation II | 전공선택 | 3 |
생리활성물질 작용론 | Action Mechanisms of bioactive compounds | 전공선택 | 3 |
유전자발현 조절론 | Regulation of gene __EXPRESSION__ | 전공선택 | 3 |
천연물 대사론 | Metabolism of natural products | 전공선택 | 3 |
단백질체학특론 | Special Topics in Proteomics | 전공선택 | 3 |
활성산소연구론 | Study on Reactive oxygen species | 전공선택 | 3 |
생식내분비 연구 | study on reproductive endocrinology | 전공선택 | 3 |
유전적 다형론 | study on genetic polymorphism | 전공선택 | 3 |
장부론 | Internal Organs in Oriental Medicine | 전공선택 | 3 |
원전인체구조학 3 | Classical study on structure of human body 3 | 전공선택 | 3 |
신경해부학 | Neuroanatomy | 전공선택 | 3 |
원전인체구조학 4 | Classical study on structure of human body 4 | 전공선택 | 3 |
내장학 | Splanchnology | 전공선택 | 3 |
한의학인체구조 특론 1 | Advanced Anatomy of Korean Body Structure 1 | 전공선택 | 3 |
국소해부학 | Regional anatomy | 전공선택 | 3 |
한의학인체구조 특론 2 | Advanced Anatomy of Korean Body Structure 2 | 전공선택 | 3 |
경혈해부학 1 | Acupoints and Anatomy 1 | 전공선택 | 3 |
경혈해부학 2 | Acupoints and Anatomy 2 | 전공선택 | 3 |
표면해부학과 임상적용1 | Superficial anatomy and clinical application 1 | 전공선택 | 3 |
표면해부학과 임상적용 2 | Superficial anatomy and clinical application 2 | 전공선택 | 3 |
융합한의정보론1 | Convergence Korean Medicine Information Science 1 | 전공선택 | 3 |
융합한의정보론2 | Convergence Korean Medicine Information Science 2 | 전공선택 | 3 |
국제협력연구세미나1 |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Seminar 1 | 전공선택 | 3 |
국제협력연구세미나2 |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Seminar 2 | 전공선택 | 3 |
경락경혈 세미나 1 | Seminar on Meridian and Acupoint 1 | 전공선택 | 3 |
경락경혈 세미나 2 | Seminar on Meridian and Acupoint 2 | 전공선택 | 3 |
침구의학 저널 세미나 1 | Seminar on the Journals of Acupuncture Medicine 1 | 전공선택 | 3 |
침구의학 저널 세미나 2 | Seminar on the Journals of Acupuncture Medicine 2 | 전공선택 | 3 |
경락근육학 특론1 | Spectial Lecture on Meridian-Muscle Study 1 | 전공선택 | 3 |
경락근육학 특론2 | Spectial Lecture on Meridian-Muscle Study 2 | 전공선택 | 3 |
경락경혈 문헌연구 특론 | Seminar on the Treatise of Meridian | 전공선택 | 3 |
경락시스템의 구조와 기능 | Understanding of Function and System of Meridian System | 전공선택 | 3 |
임상기반 경혈 주치 특론 | Special Lecture on Acupoints indication in Clinics | 전공선택 | 3 |
근거기반 침구의학 | Evidence-based Practice in Acupuncture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의 정보 특론 | In-depth Seminar on Health Informatics in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침구의학 논문작성법 기초 | Basic Scientific writing in Acupuncture Medicine | 전공선택 | 3 |
침구의학 논문작성법 심화 | In-depth Scientific writing in Acupuncture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국 침법의 특성 | Seminar on Korean Acupuncture | 전공선택 | 3 |
침구의학과 신경과학 | Acupuncture Medicine and Neuroscience | 전공선택 | 3 |
침구의학의 인지과학적 특성 이해 | understanding of cognitive science in acupuncture medicine | 전공선택 | 3 |
나노약리학 | Nano Pharmacology | 전공선택 | 3 |
단백질체학특론 | Special Topics in Proteomics | 전공선택 | 3 |
독성시험방법론 | Methodology of Toxic Test | 전공선택 | 3 |
면역약리학 | Immunopharmacology | 전공선택 | 3 |
분자약리학 | Molecular Pharmacology | 전공선택 | 3 |
실험분자유전학 | Experimental Molecular Genetics | 전공선택 | 3 |
약리학연구세미나 | Pharmacology Research Seminar | 전공선택 | 3 |
약리학특론 | Advanced Pharmacology | 전공선택 | 3 |
약리효과탐색론 | Search Theory of Pharmacological Effect | 전공선택 | 3 |
약물상호작용 | Drug Interaction | 전공선택 | 3 |
약물유전체학 | Pharmacogenomics | 전공선택 | 3 |
약물유전학 | Pharmacogenetics | 전공선택 | 3 |
유전자발현조절론 | Regulation of Gene __EXPRESSION__ | 전공선택 | 3 |
천연물 분자생물학 | Molecular Biology of Natural Product Research | 전공선택 | 3 |
한방약리학 | Pharmacology of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한약물유전체학론 | Pharmacogenomics in TKM | 전공선택 | 3 |
한의면역약리학 | Immunopharmacology of Korean Medicine | 전공선택 | 3 |
단백질체학특론 | Special Topics in Proteomics | 전공선택 | 3 |
대사론 | Metabolism | 전공선택 | 3 |
대사론2 | Metabolism2 | 전공선택 | 3 |
미생물학특론 | Advanced Microbiology | 전공선택 | 3 |
생화학특론1 | Advanced Biochemistry I | 전공선택 | 3 |
생화학특론2 | Advanced Biochemistry II | 전공선택 | 3 |
세포생물학1 | Cell Biology 1 | 전공선택 | 3 |
세포생물학2 | Cell Biology 2 | 전공선택 | 3 |
실험분자유전학 | Experimental Molecular Genetics | 전공선택 | 3 |
유전자발현조절론 | Regulation of Gene __EXPRESSION__ | 전공선택 | 3 |
천연물 분자생물학 | Molecular Biology of Natural Product Research | 전공선택 | 3 |
천연물융합과학 | Convergence Science of Natural Science | 전공선택 | 3 |
천연물의약품 연구동향 | Trend in Natural Medicine | 전공선택 | 3 |
뇌질환의 최신 연구동향 | Trend in Neural Disease | 전공선택 | 3 |
신경과학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ology of Neuroscience | 전공선택 | 3 |
신경면역학 특론 | Advanced Neuroimmunology | 전공선택 | 3 |
신경조직학 특론 | Advanced Neurohistology | 전공선택 | 3 |
융합종양생물학 | Convergence Cancer Biology | 전공선택 | 3 |
자가면역질환학 | Autoimmune Disease | 전공선택 | 3 |
중개연구론 | Translational Study | 전공선택 | 3 |
종양에 대한 한약/양약의 복합치료법 | Combine Treatment of Herbs and Western Medicines for Cancer | 전공선택 | 3 |
희귀난치질환의 융합연구 | Convergence Study of Rarity Incurableness Disease | 전공선택 | 3 |
의학논문작성법 | Scientific Writing of Medicine | 전공선택 | 3 |
임상신경해부학 | Clinical Neuroanatomy | 전공선택 | 3 |
중증질환의 한양방 융합치료 | Convergence Treatment in Serious Illness | 전공선택 | 3 |
융합신경과학 | Convergence Neuroscience | 전공선택 | 3 |
개인맞춤 한의학1 | Personalized Korean Medicine1 | 전공선택 | 3 |
개인맞춤 한의학2 | Personalized Korean Medicine2 | 전공선택 | 3 |
융합의학연구방법론 | Research Methodology of Convergence Korean Science | 전공선택 | 3 |
융합한의과학특론1 | Convergence Korean Medical Science1 | 전공선택 | 3 |
융합한의과학특론2 | Convergence Korean Medical Science2 | 전공선택 | 3 |
한약물전달시스템1 | Drug Delivery System of Korean Medicine1 | 전공선택 | 3 |
한약물전달시스템2 | Drug Delivery System of Korean Medicine2 | 전공선택 | 3 |
보면 기존 전통 한의학과 현대의생명과학이 융합된 교육과정인거 같음
3. 법률적으로 교육적으로는 일단 위에 가져온 건 내 주장이 아니고 팩트임
난 이걸보고 한의학이 유사과학이라고 한다면 그건 그 사람의 개인적인 주장이지 팩트라고 볼 수는 없다고 봄
자료는 10분이면 찾으니까 공부 안하냐고 하지마 ㅋㅋ 3시간 풀로 달리고 쉬는 시간에 글쓰는 거야 ㅋㅋ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6분 <<< 롤 한판하고 3초가 남음 ㄷㄷ
-
국잘싶 1
광광울
-
술주정 메타는 껴야지 11
나는 술취하면 애교가 많아지는 듯
-
개새끼들아 4
씹새끼들아
-
좋은 소식 4
내일부터 날이 풀린대요 세상에
-
작수 공통만 21(풀엇는데 틀림) 22(아예 안 품) 틀렸는데 일단 문제집 없어서...
-
자취하면 제일 부족한게 채소 과일 비타민인데 컬리를 쓰면 진짜 좋음 이런 거 하나...
-
중등 교사 목표로 하고 있고 원하는 과가 충남대, 안동대에만 있어서 충남대 사범...
-
좀 아쉬운 건 있어도 미련은 안남는다 다들 꼭 미련 안남기고 수능판 뜨시길!! 저는...
-
나 대학생때 진짜 알쓰여서 돌연변이인가 싶었거든 근데 요새는 가족들이나 친척들 처럼...
-
좀 안될거같긴 하더라… 어디로 도망치지…
-
유전 5
유전 방학에 꼭 해여합니까? 저 방학에 놀아서 근수축 단원까지만 햏는데…
-
어떻게 검색하시나요?? 출처 알고싶은데
-
아 내일 수강신청 모닝콜해줄사람
-
국어 어디까지 약대랑 치대돼여!?
-
의대몇명가고이런거잇잖음
-
뭐있음뇨???? 인강있으면 좋음
-
반수갤 100명 넘는데 ㅋㅋㅋ 들어오자마자 탈출각 잡는 우리 학생들
-
와 이중에서 30명 뽑느더고? 되겟냐이게 ㅋㅋㅋ
-
상상하기도 싫음 생각만해도 괴로움
-
최고구나 우는게
-
안녕히 주무세요 2
ㅤ
-
차단꿀팁 4
잘 찾아보면 그중 하나는 산화됏을거임 아까 벌점 450점짜리 하나 풀고옴 ㅋㅋㅋ
-
홍대 숭대 숭대 3떨하고 추가모집 중인데 저희 어머니가 너무 불안하다고 거의 서울...
-
메디컬가거싶잖아요 님들때매 책임져요
-
으하하
-
지금 개정시발점 하고 있는데여 뉴런내용이 많이 들어있다 하는데 어느정도임뇨? 이거...
-
강민철쌤 듣고있는데 양치기 하는데 인강민철로 부족해서 사설 벅벅 하려고 하는데...
-
너무 도파민만을 추구했던거같아.
-
ㅇㅇ?오르비시스템이넘복잡해요
-
예비고2 수시러 수1 세젤쉬,시발점,쎈 각각 3번씩 다 했는데 내신대비 용으로...
-
타타카에.. 5
넌 좀 적당히 싸워라
-
인증 마렵내 3
하지만 마렵다고 싸면 그건 강아지임
-
ㄹㅇ루
-
사랑의 정의 1
...
-
히히히히히히 4
취르비등장
-
정시 라인 2
수학을 현역으로는 3이상 끌어올리지는 못할것 같아용.. 혹시 13322정도면...
-
나는 아마 알아채지도 못할거야
-
예전엔 언어학/국문법 글을 써서 팔로워를 모았더랬죠 4
근데 지금은 매사가 귀찮으
-
화1 20분컷 계신가요 12
-
다음주 개강이다 5
이게 맞냐?
-
어디에서 알려줘서 다들 쓰는거임...? 인강강사들도 안알려줘서 걍 안매기고 푸는데..
-
비싼거 말고 단점 있나요?
-
아 기구하다 2
새벽감성 ON
-
글만봐도 우울해지는데 내가 재밌나 난 죽고싶은데 그냥
-
재종 공신폰 0
현역 때 공신폰 썼는데, 재종 갈건데 다시 써야할까요..? 차피 공부할땐 폰 낼건데...
-
자취 꿀팁 4 7
IoT 스위치를 활용하자 스위치 자체를 갈아버려도 되는데 그러면 집주인님의 허락을...
-
인강 듣고 강마다 해당 기출 풀기 vs 한 대단원 끝날때마다 그 단원 기출 풀기...
-
ㅈㄱㄴ
-
지금도 아는 고닉들이 댓글 적어놓음 신기함
게이는 공부 안하노?
ㅋㅋㅋ oz쌤 개념 강의 마지막 3회독 하다가 심심해서 써봄 ㅋㅋㅋ
한의사가 배우는 커리큘럼이 전부 한의학은 아닙니다. 한의사도 현대의학에 대해 어느정도 알고졸업하죠. 한의학은 대체의학 즉, 유사과학이 맞습니다.
한의학이랑 현대의학은 질병을 바라보는 개념자체가 아예 다릅니다.
그렇기에 요즘 젊은 한의사는 '양진한치'를 한다고 합니다. 현대의학처럼 바라보고, 단지 치료만 한방치료하는거죠. 한의사들도 기존의 한의학을 부정하는 셈입니다.
ㅋㅋ 그니까 그건 님 뇌피셜이라는 거임 ㅋㅋ
저거는 팩트고 ㅋㅋ
교과서의 어디를 보아도 경락이나 경혈의 실체가 무엇인지 찾을 수가 없다. 진위 판단과는 거리가 먼, 원전의 이야기를 그대로 옮긴 설명이나, 뻔한 상식적 이야기를 그럴 듯하게 포장한, 내용 없는 설명들이 자리를 가득 채우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당분간 한의학 이론의 진리성 시비를 잠재우는 데 성공했을지 몰라도 한의학을 스스로 성장 가능한 학문으로 진화시키는 데는 실패했다.
by 김기왕 부산대 한의전 교수
이게 팩트입니다. 한의대에서 배우는게 다 한의학이란게 뇌피셜이구요
그러니까 그건 교수 개인의 의견이지 팩트가 아님 ㅋㅋ
몇번을 말해야함?
니 주장은 사실이 아니고 일개 주장임
하지만 한의약 육성법의 법조문과 한의대 교육과정은 존재하는 사실임
내가 의사들은 내로남불이라고 얘기하면 그게 팩트가 됨? 주장일 뿐이지?
팩트랑 주장을 구분좀 했으면 ㅋㅋ
한의대 교육과정에 있다고, 그게 다 한의학인가?
그럼 치대교육과정에 전신해부학, 내과학 일부가 포함되어있으니, 전신해부학이나 내과학이 치의학이겠네요?
그리고 한의학 개념엔 실체가 부족하다는건 복수의 한의학 전문가들의 발언으로 입증되는 정설임.
한의학 전문가의 의견따위보다 님 뇌피셜이 더 우선함? 한의학육성법 조문을 가지고 해석한건 님이잖음.
그 어떤 조문에도 한의학이 유사과학임을 부정하는 단어는 없습니다
ㅋㅋ 그럼 그게 치의학의 일부가 아님?
치의학은 정녁 아가리밖에 모르고 전신에 대해서는 모르는 거임? 치의학이 약쓸때는 내과학에 관점에서 쓰는거 아님?
니가 하는거 똑같이 따라해볼까?
한의학 개념에 실체가 확실하다는건 복수의 한의학 전문가들과 다수의 과학자들과 의사들의 발언으로 입증된 정설임
이렇게 내가 시부리면 이게 바로 팩트가 됨? ㅋㅋ
전문가와 다수의 과학자 의견따위 보다 님 뇌피셜이 중요함? ㅋㅋ
다시 말하지만 니 주장이랑 객관적인 사실을 교묘하게 섞지 마셈
전신 내과학과 해부학이 치과의사에게 필요할수도 있지만 그게 치의학은 아닙니다.
그리고 그 다수의 전문가의 의견중 하나라도 가져와보세요.
커리큘럼과 법조문 임의로해석한 님 뇌피셜말고, 전문가 입장 들고와주세요
ㅋㅋ 그건 니 생각이고
니가 보기엔 치과가 하부 대퇴골 쪽의 수술도 할 수 있다며 이식 수술인가 뭔가
그건 치의학 아님? 그걸 위해 전신해부학을 배웠는데 그럼 그건 치의학이 아님? ㅋㅋ
다시 말하지만 니 뇌내망상이랑 팩트를 구분하라니까 ㅋㅋ
https://koreascience.kr/article/JAKO201933056481973.pdf
ㅋㅋ
한의학을 이야기하는데 한의대교수 이야기도 부정하고, 법조문보고 해석한 본인의 뇌피셜을 앞세우는데에 할 말을 잃어버렸네요
개인의 의견이랑 팩트를 구분하자는 건데 ㅋㅋ 이게 이해가 안가면 이해 갈 때까지 놀아드림 ㅋㅋ
https://m.ytn.co.kr/news_view.php?key=200711092052567399&s_mcd=0105#return
ㅋㅋ 왜 나도 전문가 의견 하나 가져왔어
이제 나도 팩트가 되는거지?
님 논문 안읽어봤죠? 한의학이 실증적 실체가 존재한다는 말은 없는데요? 어디 존재하는지 가져와보세요.
실체가 존재하지않는다는 것을 변명하는 글 뿐이네요.
읽어 봤습니다 지금 한의학이 비과학이냐 아니냐에 대해 얘기하는 중인데 뭔 헛소리세요? ㅋㅋ
님처럼 저도 전문가 의견 하나 가져오고 팩트라고 하니까 어떠세요? ㅋㅋ
팩트가 두개가 되네요? ㅋㅋㅋ
이제 주장이랑 팩트가 구분 되시겠어요?
그리고 한의대 커리큘럼이랑 한의학이 유사과학이 아닌거랑 무슨관련이 있음?
한의대는 한의학을 가르쳐서 한의사를 육성하는 기관인데 이걸 이해 못하시면 ㅋㅋ 뭐
한의학만 가르치는 기관이라는건 님 뇌피셜이죠?
ㅋㅋㅋ 그럼 수학과에서 수학 가르치고 물리학과에서 물리학 가르치지 한의대에서 한의학말고 뭘 가르쳐요? ㅋㅋㅋ
한의학을 가르친다와 한의학만을 가르친다는 별개인데요? 결국 뇌피셜이였네요?
ㅋㅋ 한의대에서 한의학을 가르친다고 말하는게 뇌피셜이라고 느끼세여? 그럼 그렇게 느끼세요 ㅋㅋ 그거까지 제가 뭘 어떻게 하겠습니까 ㅋㅋ
1+1=2라는걸 당연하게 못받아들이시니 뭐ㅋㅋㅋ
뇌피셜하고 팩트 구분못하는건 바로 님이였네요.
뇌피셜 잘 들었습니다.
한의대에서 한의학만 배운다는 객관적 증거 제시하세요
ㅋㅋㅋ 한의대에서 한의학 배운다고 말한걸 뇌피셜이라고 생각한다면 답이 없네요 ㅋㅋ
일개 개인 의견을 팩트라고 주장하다가
똑같은 논리로 반박하니
답이 없으셔서 억지부리시는거 같은데 ㅋㅋ
알겠습니다
한의대에서 한의학 배우는건 제 뇌피셜 입니다 ㅋㅋㅋㅋㅋ
경락 경혈은 그냥 단순한 인체의 좌표일 뿐입니다.
고대 의사들이 아플 때마다 일일이 몸을 자극해보다가 유의미한 지점들을 찾아내었고, 그걸 그럴싸하게 자신들만의 이론으로 만들어낸 개념이죠.
현대에 와서 그 이론을 신봉하기보다는 그 유의미한 지점들이 왜 의미있는 지점이었는지를 연구하고, 이용하는게 현대 한의사의 역할입니다.
서양의학에도 근막 경선 이론이 있는데, 그것과 유사하게 동양에서 고대 의사들이 발견해낸 것이라 보면 됩니다. 당연히 완벽한 이론일수는 없죠. 연구를 통해서 계속 보완해야할 부분입니다.
실제로, 서양의학의 근막 경선 이론과 경락은 닮은 점이 많습니다. 근육의 연계적 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Superficial Back Line은 방광경과, Superficial Front Line은 위경과, The Lateral Line과 The Spiral Line은 담경과, Deep Front Arm Line은 폐경과, Superficial Front Arm Line은 심포경-심경과, Superficial Back Arm Line은 대장경과, Deep Back Arm Line은 삼초경-소장경과, Deep Front Line은 간경)-비경-신경과 흡사함을 알 수 있습니다.
한의학 자체가 실체하지 않는 개념이 많습니다. 개념이라기 보다는 언어적 표현이라고 하는게 더 맞겠네요. 억지로 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언어니까요
그 언어가 실체하지 않는다고 임상적 의미가 없는 것은 아니죠. 본질은 그 언어가 아닙니다.
고대 의사들이 수많은 의학 현상들을 기록하고 담아내는 과정에서 자신들만의 언어로 표현한 것이고, 그 가운데 이론에 있어서는 당시 그들에게 있어서 가장 세련되고 이해가능한 언어들을 이용했을 뿐입니다.
그 언어에 집착하기보다는 그 언어로 무슨 증상과 치료법, 치료 경과를 표현하려고 한 것인지 본질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걸 올바르게 알아내서 임상에 적용하여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는게 한의사의 역할이죠. 더 나아가, 그걸 현대과학과 접목시켜 발전시키는 것까지요
한의학은 굳이 따지자면 기초과학은 아니죠.
이 그룹의 환자들에게 이런 치료를 해서 어떻게 될지에 대한 가설을 세워서 결론을 내며, 그 결론들이 모여 더 유의미한 치료법을 찾아가는 응용과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원글을 보시면 그에 부합하기 위한 교육과정도 진행되고 있는걸 알 수 있겠네요
한의학이 유사과학, 무당, 굿, 주술이길 바라는 사람들이 현대과학이나 서양의학과 접목시키면 거품을 물죠.
사실 의서들을 보며 그때 당시의 상황(증상, 치료, 경과)을 파악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현대과학이나 서양의학을 접목시켜서 한의학을 이해하는 것 또한 필요합니다.
동양의학을 이용하는 외국의 사례를 보면, 중국 중의사는 양한방복수면허고, 일본에서는 의사 면허를 따고 한방과 전문의로 수련을 받죠.
한의학의 본질은 옛날 그 현상을 현대 사람들이 어떻게 해석해서 치료에 이용할 것인가의 문제입니다. 옛날 그 방식 그대로, 여과없이 똑같이 치료할거면 현대에 한의사가 왜 필요한가요ㅋㅋ 결국, 그 당시 상황, 그때부터 현재까지의 발전된 기초과학, 생리병리 내용들, 서양의학 모두 고려해서 임상에 이용해야합니다.
위에 했던 이야기들에 대한 예를 들면, 이런 연구가 있을 수 있겠네요
https://blog.naver.com/lunarmix/222877298247
경혈을 현상으로 이해하려는 접근
첨언하자면,
한의학이 유사과학, 무당, 굿, 주술이길 바라는 사람들이 현대과학이나 서양의학과 접목시키면 거품을 무는게, 한국이 의료이원화 체계라 더욱 심합니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환자를 두고 의사와 한의사가 경쟁을 해야하는 상황이라 더욱 그렇죠.
일본 한방과 전문의가 한약을 치료에 이용하고 논문을 내는 것에는 아무런 말을 하지 않습니다. 그러면서 한의사가 한약을 쓰면 그건 또 기를 쓰고 언플해대는 아이러니한 상황입니다.
현재는 약사들이 일반의약품으로 나오는 한약제제들을 알기위해 한의학 공부를 하더군요.
그러면서 한의사가 제조한 한약은 위험하고, 약사들이 파는 한약제제는 안전하다고 홍보합니다 ㅋㅋ
위에서 말했던 것처럼, 일본에서는 일본 한방과 전문의가, 중국 대만에서는 중의사가 한약을 이용하여 치료하고있습니다. 한국 처럼 양방의사들의 방해가 없기 때문에 훨씬 처방 빈도가 한국에 비해 많겠죠. 일본은 병원에서 한약을 주고, 대만은 건보로 한약을 줍니다. 한국 의사들이 주장하는대로 한약이 위해한 물체였다면, 한중일 대만 국민들의 수명이 지금보다 몇십년은 줄었을 겁니다.
동양의학이 존재하지 않았던 미국이나 서양국가들에서도 요새 보존적 치료의 중요성을 깨닫고, 침이나 TCM(한약) 등에 관심을 가지는 추세입니다
님의 말대로 한약이 그렇게 효용이 좋다면 반대로 한약을 복용하는 국가에서 국민 수명은 다른 나라에 비해 더 좋아야 하지 않나요?
근데 약의 효능성으로 그 국가의 국민 수명을 대변할 수 있음? 다양한 요인으로 죽을수도 있고 그 나라에 의료복지 수준이나 사람마다 죽는 이유가 다 다른데 그걸 어떻게 약의 효용 차이로 일반화해유?
그러게요. 평가 지표를 무슨..,
이게 맞지 내 삼촌 한의사인데 정확히 이렇게 말하심 예전부터 내려온 한의학은 유사과학이 맞고 지금 한의사들은 현대의학의 관점에서 한의학을 일부 적용한다
ㅋㅋ 누가보면 지금 한의사들은 전기도 안쓰고 스마트폰도 안쓰는 줄 알겠음 ㅋㅋ
그니까 순수한 한의학 자체는 유사과학이고 현대에 와서 과학을 접목시키려는 노력을 한다는거잖음?
그럼 이 내용중에 의학이랑 겹치지 않는부분이 한의학인거죠... 예를 들어 침의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라던가, 한의학에서 말하는 경락계, 기 등등이 물리학 생물학적으로 정확히 어떤걸 지칭하는건지에 대한 해답들이요... 근데 아직 명확히 밝혀진게 없죠.
뭐 그건 님 생각이고요
그게 팩트가 되는건 아니다 이말을 하고 싶을 뿐입니다
팩트는
법률적으로 한의학은 전통 + 과학이고
한의대 교육과정에 저런 부분이 있다 이겁니다
그래서 님이 말하려는게 뭐에요
법조문이 저렇고 한의대 교육과정이 저렇게 돼있으니 한의학은 유사과학이 아니다 이 말인가요?
뇌피셜과 팩트 구분하라는 건데요? ㅋㅋ
그러니까 이 글을 쓴 이유가 뭐나고요 댓글 말고
한까들이 뇌피셜 싸부려서
그럼 저게 한의학이 유사과학이 아니라는 근거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시나요?
팩트니까 당연히 근거는 될 수 있죠
근거로 적합하냐는거였고요
한까들이 뇌피셜을 말하길래 팩트를 가져와봤다는거면 저걸 한의학이 유사과학이 아니라는 근거라고 생각한다는건데 그것도 님 생각이지 팩트는 아니잖아요
그래서 저는 그게 팩트라고 한적 없는데요? ㅋㅋ
한까들는 적어도 근거조차 들고 오지 않고 뇌피셜 씨부리더라고요 ㅋㅋ
만약 무당이 전통적으로 내려 오는 굿을 과학적으로 증명하겠다고 하는 행위를 하면 이것을 과학으로 불러야 할까요 아니면 유사과학으로 불어야 할까요?
ㅋㅋ 문제는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 심지어 미국에서도 무당으로는 안보는게 문제죠
진짜 무당 주술사 등. 한의사 말고.
그게 차이겠죠 ㅋㅋ
전통의학에는 그런 요소가 섞여 있고 이것이 과학으로 위장하면 오쓰님같은 맹신자가 생긴답니다.
그건 님 생각이고요 ㅎㅎ
저는 맹신을 안해서요 그냥 제가 경험한 효과만 믿죠 아마 한의사들도 그렇지 않을까요? 같은 과학의 시대를 살고 있는데 ㅋㅋ
제 바램은 오쓰님이 공부를 좀 더 열심히 해서 의대나 한의대 둘 중 한 곳이라도 들어가 자신이 믿고 있는 것이 맞는지 직접 경험을 해 보는 겁니다.
한의대는 안갑니다 의대만 갑니다
제가 의대만 지망하는 의대 빠돌이라도
의사들이 한의사 무시하는거 지적하는건 당연한겁니다
불합리한거에 목소리 내는게 당연하듯이요
의대가서 의벳 달고 이런 글 적기 위해 공부 열심히 할게요 ㅎㅎ
형우빌딩님이 무당이라는 이야기를 꺼내신 부분에서 본인이 아니라고 하시겠지만 한의사=무당이라고 근거없이 폄하하시려는 의도가 보입니다. 무당이란 신내림을 받아 신을 섬기며 굿을 하는 무속인을 뜻하죠. 반면 한의사는 환자의 병증을 진단하고 그에따른 처방을 내리는 의료인을 뜻합니다. 한의사가 신내림을 받았나요? 아니면 신을 섬기나요? 자신의 본래 의도를 숨기고 비유적 표현을 통해 은근히 한의사를 까내리는 행위는 한의대생으로서 용서할 수 없습니다.
먼저 제 글로인해 불편함을 드려서 미안합니다. 원글 작성자의 논리에 대한 대응으로 쓴 댓들이지만 상처받으신 분이 있다면 오해는 없었으면 합니다. 저 또한 이런 논쟁에 댓글이 달리면서 글이 거칠어지고 알게 모르게 상처를 주고 받는 것에 회의가 들어 이제 오르비를 그만 둘까 하던 참이었는데 그걸 또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마음 푸시기 바라며 올해 목표하신 바를 이루시길 바랍니다.
이사람은 뭔데 맨날 화나있노 ㅋㅋ
ㅋㅋ 사실은 공부 존나 하기 싫어서 이것도 존나 재밌음 ㅋㅋ
다른 건 관심없는데 님 글에서 시작이랑 끝에 ㅋㅋ 붙는 게 상당히 띠껍네요.. 그것만 없어져도 훨씬 감정을 뺀 대화가 가능할 거 같은데
오 지적 감사합니다 ㅎㅎ
이건 레알 동감
이분은 제발 수험생 졸업하고 글썼으면 좋겠음 ㅋㅋㅋㅋㅋ
그냥 한의대를 가라
아빠가 못물려받으면 호적에서 파버린대서 안됨
그래서 쫄?
?? 아 의벳이구나 ㅋㅋ
궁금해서 그러는데 이런 글들 싸지를 시간에 공부해서 의대 간 다음에 글 쓰시는게 글쓰시는 목적에 더 맞지 않을까요? 잘 이해가 안가서 그럽니다.
ㅋㅋ 맞습니다 공부하겠습니다 ㅎㅎ
암환자한테 침놔주던데 ㅋㅋㅋㅋㅋ
그건 저도 잘 몰라요 ㅋㅋ
의대간다면서 이런 글이나 싸지르고있네 그시간에 공부나 하지
네 공부하고 있엉요 ㅎㅎ
난 찾아본적이 없어서 모르는데 한의학이 유사과학이라기엔 존나 잘듣지 않음? 심지어 어떤 병은 의학으론 치료가 안되고 한의학으로만 치료가 가능하기도 하다던데
그냥 근거가 지들 뇌피셜임
찾아보니까 한의학이 유사과학이라는 근거를 찾기가 오히려 더 어려웠음
한의학을 지들 멋대로 정의내린 것에 입각해서 전제를 해놓고 결론을 내버리는 부류들임
차단 어케 하는거임? 눌러도 안나오네
프로필 들어가서 마이크
한의사협회에서 협회장으로 모실 분이 오르비에서 썩고 계시다니..
혹시 이사람한테 욕하면 고소당하나요?
그건 니 생각이고 ㅋㅋ가 ㅈㄴ 웃기농 ㅋㅋ 니말대로면 안될거머있농 교수의 개인의견 이러네 ㅋㅋ 뉴턴역학도 뉴턴의 개인의견이고 상대성이론도 아인슈타인의 개인의견이니가 학문 자체를 부정해는 꼴이라 걍 말이안되는 답변을 달고있는데 사실 지능적 한까였던거 ㅇㅇ
그건 검증된거고 ㅋㅋ 한까 뇌피셜은 검증 된거임? 그냥 지가 망상하는 한의학을 전제로 깔고 가잖아ㅋㅋㅋㅋ 하긴 이걸 생각할 능지면 ㅋㅋ 댓글을 안달았겠지 ㅋㅋ
학문은 여러사람이 발전시킨건데 여러사람의 기본단위는 개인아닌가 ㅋㅋ 개인의 생각이고 니생각이고 ㅋㅋ 웃참하고갑니다 ^^
학문이 언제부터 다수결로 결정되는거였냐? ㅋㅋ
여러 사람의 의견 ok라고 근데 그걸 팩트인양 말하지 말라고
학문이 다수결로 결정되는걸 모른다는건가 법률적으로라는 말이나 과학적으로라는 말을 꼭 맹신하고 팩트라고 좋아하는 애들있던대 공리라는 것과 약속이라는 것은 가정으로부터 학문이 시작하는 것을 의미하고 니말대로면 지구가 둥근지 어케아냐 ㅋㅋ 니가 직접 본것도 아닌대 ㅋㅋ 걍 다수의 의견이 그런거지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사람도 있는데 그건 개인의 의견인가? 니말대로면 과학은 발전을 못해 ㅋㅋ 신학이 중심일때 니같은 애가 지구둥글다고하면 돌던질 애라니까 ㅋㅋㅋㅋ 과학과 법률은 수정을 거치면서 발전되어가는데 과학적으로 법률적으로 말만 붙이면 100프로와 정확성을 농하는거부터 너는 학문과는 동떨어졌다 ㅋㅋ 니가 말한 주장은 법률적이니까 100프로 옳고 나머지 의견은 개인의 의견이라는거 자체가 ㅋㅋ 의대는 포기해라 걍 ㅋㅋ
ㅋㅋㅋ 학문이 다수결로 결정되면 천문학이 옳았던거지 ㅋㅋㅋ
한까 뇌피셜 씨부릴거면 근거 가져오라고 말하는게 이해가 안가?
역으로 양의학은 무당 주술에 유사과학 범벅이다라고 이게 팩트라고 당당히 근거 없이 씨부려도 되냐고 ㅋㅋ
이거에 답을 안하고 뭔 헛소리만 씨부리고 계세요?
나가 씨부린 약속 공리를 한까들은 전제를 하고 씨부린다는게 내 얘긴데 이게 이해가 안가? ㅋㅋ
아직도 핀트를 모르겠냐 게이야.. 걍 니 글 싸지르는 수준이 한까 한빠를 떠나서 아니꼽다는거야 ㅋㅋ 글은 보라고 쓰고 댓글만달면 누구랑 싸우고싶어하기망하는데 ㅋㅋㅋ
핀트는 니가 모르는거 아닐까 모르겠네 ㅋㅋ
내가 한까들한테 적어도 근거를 가지고 주장을 하라는게 이해가 안가냐고 묻잖아
위에 한까 보이지
내가 법률로 정의된 한의학을 가져와도 지 혼자 뇌피셜 씨부리고 그걸 팩트인양 말하잖아
팩트랑 주장을 구분하자는게 이해가 아직도 안돼?
무슨 주장이든 사실이라는 가치를 바탕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야 하는데
한의학이 유사과학이라는 어떠한 근거사실도 없이 그저 암튼 유사과학임 ㅇㅈㄹ하는게 정녕맞냐 ㅋㅋ
됐고 침 한번 맞아보씨요들 ㅋㅋ 쥐리깐에
내가 봤을 때 이 인간은 문과가 적성인듯ㅋㅋㅋㅋ 법조문으로 과학성 여부를 검증하려 하네ㅋㅋㅋ 또 대충 그럴듯한 과목 이름만 보고 혹하는거 보니 진짜 문과 최적합
ㅋㅋ 그럼 한까 뇌피셜로 과학성 여부를 판단함?
나무위키나 위키백과에 있는 유사과학 특징과 비교해도 안맞는 부분이 너무 많은데?
ㅋㅋ 뇌피셜이랑 실존하는 사실인 팩트를 구분해서 주장하라는거지
저걸로 한의학이 유사과학이 아닌게 팩트라고 한적 없는데 혹시 난독증 있는거 아닌지 검사 받아보길 ㅋㅋ
국제적인 기준에서 노벨한의학상 그런건 못들어봤음
국제적인 기준은 물론 국내적인 기준으로도 한의학은 유사과학이다라는 근거는 찾을 수 없음
국제적인 기준인 WHO에서도 한의학은 최소 전통의학 대체의학이지 유사과학으로 보지도 않음
찾아보니 국제질병분류체계에도 한의학 관련 내용이 추가되어 있음
노벨반도체학상이 없다고 반도체가 과학기술이 아니지 않음
오쓰오억님. 늘 글 재밌게 잘 읽고 있습니다 ㅎㅎ 의대 가셔서 멋진 의사 되세요 ㅎㅎ 여기 글 읽는것도 재밌네요 ㅎㅎ 양방과 한방의 다음세대들의 생각과 무지성 한까들( 한방의 조금이라도 제대로 모르면서 무작정 과거 선배들의 만행에 무당이미지 씌워서 빼애액 거리는) 의 주장 읽는 것도 재밌구요 ㅋㅋ 글 올라오면 매번 읽고 있습니다 ㅎㅎ
근데 교육과정이라하고 왜 대학원 커리큘럼 들고온거임?
이리됐건 저리됐건 왜캐 비전공자들이 확실치 않은 뇌피셜이랑 인터넷 레퍼런스 가지고 왈가왈부 하는지 잘 모르겠네.. 한빠 한까 둘다
님들 논리면 과학이 발전 자체를 못함
오래전부터 조상님들이 그랬으니 맞다?
실체는 없지만 언어적인것이 있다
개소리들 하지마시고 그냥 비과학적인거죠. 잘못되었으면 수정을 거치는게 과학입니다. 경혈 그런거 입증 안되었고 효과도 저명한 논문에 단독치료가 입증된건없죠. 그럼 현대과학에선 효과없다고 보는게맞는거에요
님들 같은 비과학적인 맹신도들이 갈릴레오같은 과학자들을 탄압한거죠..
ㅋㅋ 뭔 헛소리님? 님이야 말로 개소리 마시고 근거 가져오셈
님이 입터는 대로 세상이 팩트가 되면
내가 양의학은 유사과학이고 부작용으로 환자 ㅈㄴ 죽이고 마케팅 상술로 돈 빨아먹는 사기라고 하면 팩트가 되고 양의사는 성범죄자 1위 기사 가져오면 그것도 팩트가됨? ㅋㅋ
남 논리대로면 ㅋㅋ 팩트 일수도 있겠네 ㅋㅋ
반대로 근거도 없이 무지성 한까들이 한의학의 과학적 이용을 저해하는 거라고 밖에 안보임 ㅋㅋ
댓글내용을 반박해야죠
비과학적이라는거에 흥분해서
감성적인 주장은 의미가없어요
사고방식이 짐승에 가깝네요
이미 반박 끝낸걸 눈가리거 아웅한다고 반박이 안된게 아닙니다 짐승님^^
다시 말하지만 뇌피셜을 팩트인양 씨부리지 마세용 ㅎㅎ
제가 양의사 좀 까니까 짐승이라니느 뭐라느니 ㅋㅋ 반박을 하세여 논점 회피마시고요
과학적인 증명이 전혀없고
조상님들이 써왔으니 맞다라고 하는 학문이 뭐가 과학적이죠?
갈릴레오 지동설에 반박하는 당시 기득권 교황들이랑 다를게없죠. 그논리는.
이내용만 반박바람 반대진영 일부의 잘못을 예로들어서 논점 벗어나지마시고.
과학적인 증명이 논문으로 수백편 존재하고
조상님들이 생체실험하면서 남겨준 데이터 과학적 방밥으로 검증했으니 과학적이져 ㅎㅎ
오히려 임상은 커녕 시험도 없이 양약 짬뽕탕 써대면서 수천년 수많은 인간 상대로 실제로 써내려져온 한약 까는 내로남불하는 짐승들이 문제죠 ㅎㅎ
1. 권위있는 sci급 논문 + 단독 효과
유의미하게 밝힌거 몇개나있나요 그래서?
2. 조상님들이 생체실험 하면서 남겼으니 괜찮다면 갈릴레오 천동설이나 정신병자들 전두엽절제술, 사혈요법도 옳은 지식이라니까요? 조상님들이 이미 실험 다 거친건데? 수정을 거쳐야죠. 현대 문명을 누릴만한 현대인보단 무당이나 비문명인에 가까운 논리회로를 가지셨네요.
3. 그리고 또 논리가 부족해서 무당같은 학문의 비과학적 본질에 대한 방어보다는 그에 비교되는 현대의학의 오점을 예로 드시는데, 적어도 한약보다는 상호반응이나 생리적기전이 더 많이 분자단위로 연구된 상태입니다. 기전조차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 미신에 가까운 학문과는 다르죠
1. 권위 있는 기준은 누가 정함? 유의미하게 밝혀졌다는건 누가 정함? 이번에 베타 아밀로이드 조작 의혹 있던데?ㅋㅋ Sci급 논문 자체가 이미 어느정도 권위를 가진걸로 아는데 그래서 과학적 방법론으로 쓰지 않으면 게재가 안됨 객관적인 팩트로 sci논문은 존나 많음
2. 선조들이 생체실험한 데이터 그걸 과학적인 방법으로 연구해서 논문게재함 sci급 논문도 넘쳐나고 궁금한게 양방 짬뽕탕는 sci급 논문 존재하긴 함? ㅋㅋ 한약은 있던데 ㅋㅋ 이거 답 왜 계속 회피함?
3. 논리가 딸리니까 그냥 무지성 비과학 무당 드립 치시는 거 같은데 왜 반박을 안함? 왜 존나 엄밀한게 검증하는거 처럼 씨부리다가 똑같이 공격당하니까 할말이 없음? 현대양의학의 오점이 아니라 현대양의학의 내로남불이 맞음 ㅋㅋ 한약은 양약의 단일 성분과 다르게 한약재 하나에도 성분이 수천가지라고 아는데 양약 성분 수십개인 짬뽕탕도 임상 못하면서 수천년 데이터 가진 한약이 기술부족으로 규명이 안되는걸 검증 안되었다고 까는 내로남불이 역겹다는거임 ㅇㅇ
토론은 사람하고 하세요. 님이 잘못한겁니다.
ㅋㅋ 벌레들끼리 우쭈쭈해준다고 벌레가 아니될까?
이집 자기소개 맛집이네 ㅋㅋ
과학적인 사고가 있을까 기대한 제잘못이죠. 지성인이었으면 저런길로 가지도 않았을듯
ㅋㅋ 내로남불이 없길 기대한 내 잘못인듯 ㅋㅋ
상식인이었으면 저렇게 내로남불 씨부리진 못할텐데 ㅋㅋ
그니까 잘보고 갑니다 ㅋㅋ
ㅋㅋ 지가 지나치게 한빠인거라고는 생각 못하나
말만 개띠껍게하네 당연히 의대는 못갔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