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스 [327041] · MS 2010 · 쪽지

2011-01-12 11:45:16
조회수 1,036

논술후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3636

경영학과입니다. 학교에는 8시 30분쯤에 도착했구요
한교실에 45명씩 교실이 2개더라구요. 정원이 45명인데 뭔가 '딱 2배수구나'라는 걸 알수있는 느낌.
엄청난 남초더군요. 저 여잔데. 화장실 갈때 보니까 남자화장실은 뭔가 사람이 우글거리고 여자화장실은 썰렁.....
이정도일줄은 몰랐는데?!! 거의 성비가 7대 3 정도? 원래 그런가요....

문항 1번 케플러문제
이거 자수 없어서 다들 웅성거리고 그랬는데... 우리교실은 교수님이 자수 없는거 맞는지 나가서 물어보시고 오더라구요...
교수님도 의외이셨나 봅니다...ㅎㅎㅎ
논제 1은 그냥 저는  케플러 제1법칙 발견과정만 서술했습니다
서론 케플러가 제1법칙을 발견한 과정은 (가)의 과학발견과정을 정확히 따르고 있다
먼저 1단계인....단계에서 케플러는..
2단계에서
3단계에서..
뭐 이런식으로 한단계에 한문단씩 해서 여섯문단 정도로 짧게짧게 끊어서 한 600자 조금 더되더라구요
1000자 넘기신 분도 있다던데 저는 '제1법칙'만 서술했고 각 단계별로 두세문장 정도로 짧아서 논제 1은 한페이지 안에 끝났습니다

논제 2 과학적 사고의 5요소
케플러의 탐구과정을 크게 4가지로 나누어서
초기탐구(정다면체로 우주 설명한거..)
2번째 탐구(제2법칙 발견)
3번째 탐구(제1법칙 발견)
4번째 탐구(제3법칙 발견)
이런 순서대로 각 탐구별로 한문단씩 할애해서 각각의 탐구가 5가지 요소를 모두 만족하는지 간략하게 이유와 함께 썼습니다
초기탐구가 '실험관찰'인가? 어쨌건 그 실제 데이터 활용하는 면에서 부족했다고 쓰고 나머지 3가지 탐구는 모두 만족시킨다고 썼어요
근데 이문제 문이과 공통이었나 보더라구요...
이과애들이 '우리 서술형 나왔어ㅡㅡ케플러'그러길래 대충 문제 뭐나왔는지 물어보니까 대충 일치하던데..

학생회관에서 점심 먹었습니다. 우리학교에서는 재수생까지 시험보러 16명 올라왔다더군요. 그래서 선생님들 3분도 올라오셨습니다..
학생회관에서 점심식사 하셨던 분들... 혹시 입구쪽에서 왠지 좀 열명정도 우르르 몰려서 대구 사투리 쓰고 있는 무리를 보셨다면..
그게 우리학교일 겁니다 아마....ㅎ 지금 서울대 다니는 선배들도 학생회관에 모이고 해서 좀... 눈에 띄었을거예요..ㅎㅎ

오후
문항 2
저출산문제...
문항 1에서 일과 가정의 양립정책 시행해야 하는 이유
여기서는 자료를 네가지 다 썼나? 그랬던거 같아요
서론 우리나라의 저출산은 사회적 문제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에서 시행하는 일과 가정의 양립정책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본론 1 우리나라의 실태. 출산률도 낮고 여성취업률도 낮다(자료활용)
본론 2 이에 비한 유럽의 높은 출산율과 여성취업율(자료활용)
본론 3 유럽 국가들의 경향성. 80년대에는 여성취업률 낮은 국가가 출산률이 높았는데 05년에는 여성취업율이 높아야 출산율도 높음
그이유는 양성평등이 확립되면서 여성의 사회참여 욕구가 늘어나서 여성이 일과 가정 병행할수 있는 인프라가 되어있는 국가들이 출산률도 높은것.
본론 4 제일 밑에 그림 활용했어요. 그래프 비슷하게 양성평등지수? 랑 출산율간의 양의 상관관계 있다...
결론 여성이 일과 가정을 병행할수 있어야 출산율 높일수 있음. 일과 가정의 양립정책 필요.

논제 2 적합한 모델 고르는거.
서론 저출산 문제 해결위해 새로운 육아모델 필요
본론 1 4가지 모델중 1, 2는 부적절
논거로는 유럽국가 출산율 나타낸 표 활용했습니다. 1, 2 채택한 국가들이 대체로 출산율 낮은 경향을 보임..
본론 2 3번 모델도 부적절. 우리나라 기업은 아직 직원복지나 사회적 책무같은 개념희박. 기업에만 맡기면 한계.
본론 4 4번모델 채택해야함. 기업주도일 때와는 달리 국가주도로 균일서비스 제공할수 있고,
육아에 있어서 영어유치원같은 사교육시장을 공적영역으로 편입가능
결론 4번모델 채택하면 여성이 일과가정 양립할수 있고 사교육비 부담도 줄일수 있음. 저출산 해결위해 4번모델 채택해야함.
이런식으로 썼습니다

논제 3
솔직히 제가 눈팅하면서 본 답안중에 저같은 답안은 하나도 없었던거 같아요 저도 맞게 쓴건지 헷갈립니다.....

저는 제시문 1에 구운몽 정경패랑
제시문 2 서상수 유우춘
이 세사람의 의견을 거의 종합하는? 형식으로 써버렸는데
보도자료 보고나니까 제가 너무 글을 깊이 없게? 쓴거 같네요..
굉장히 철학적 문제였는데 무슨 논증하듯이 써버려서 조금 걱정...

서론 음악이란 인간의 감정을 표현하여 청자의 공감을 자아내는 예술이다.
       좋은 음악에 대해 제시문의 주인공들은 서로 다른 태도를 보인다.
본론 1 좋은음악은 형식과 내용이 조화를 이루어야한다. 근거로는 정경패가 공자 음악이랑 순임금 음악을 좋다고 평가한것,
          서상수가 '나'의 음악을 비판한것
본론 2 좋은음악에는 좋은 연주자가 필요하다
          양소유가 훌륭한 연주를 했기때문에 정경패가 감동한것. 유우춘이 훌륭한 연주를 위해 열심히 연습한것.
본론 3 청자의 이해와 공감이 필요하다
          유우춘이 귀족에게 연주할때는 귀족이 알아듣지 못하기 때문에 즐거움 느끼지 못함
          반면 친구인 호궁기와 연주할때는 음악을 이해하는 청자와 있었기 때문에 만족스러워함
본론 4 상황에 맞아야 한다
          구운몽에서 양소유가 제일 마지막곡 연주했을때 앞서 언급한 모든 요소가 충족되었지만 정경패가 당황함
          이는 상황에 맞지 않는 음악이었기 때문
결론 좋은음악은 형식과 내용, 좋은 연주자의 연주와 청자의 이해, 적합한 상황이라는 다섯가지 요소를 모두 충족시켜야.

헐 근데 보도자료 보니까 제가 엄청 가볍게 읽었다는 느낌이 들어요.. 제시문독해를 제대로 못한셈인가...
여튼 이제부터 결과 기다립니다...! 설날 직전에 결과 나와서 부담감이 더 크네요
결과 받고 다음날 시골 할머니댁 내려가서 모든 친척을 만나야 하는 막중한 부담이..
어쨌든 이글 보신분들 합격 기원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