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의사 질문받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357536
치과의사고 전문의입니다.
추석이라 심심해서
질문받습니다!
모든질문 다 받습니다.
안하시면...조용히 가겠습니다ㅜ
0 XDK (+10)
-
10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357536
치과의사고 전문의입니다.
추석이라 심심해서
질문받습니다!
모든질문 다 받습니다.
안하시면...조용히 가겠습니다ㅜ
0 XDK (+10)
10
부러워요 리발….
샌즈 좋아하세요?
와 샌즈 아시는구나!

연치 가고 싶어요화이팅입니다!!
감사합니다!! 교정이랑 보존 아니면 전문의 큰 의미 없다고 들은 적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페이에서 유리한거 빼고 장점이 크게 있는지 궁금합니당
교정 보존은 페이닥터만 할꺼면 메리트 있습니다
개원생각이 있으면 교정보존은 굳이 갈필요가 없어요
개원하실거면 오히려 보철이나 외과가 상대적으로 좀더 좋은거 같긴 합니다.
근데 보철은 페이닥터만 할꺼면 쓸데가 없어요
본인 성향을 잘 파악해서 남으세요
헉,, 개원이 교정 갈 필요가 굳이 없나요..? 그럼 보철이랑 외과가 교정보존보다 개원시 오히려 낫다 생각하신다는 말씀이신거죠?? 전 무조건 교정 가면 좋은 줄 알았어요
교정과 좋긴좋죠. 페닥으로 하방이 꽤 높은편이라 좋긴 좋은데
입학하면 선배들이 더 자세히 얘기해줄겁니다.ㅎㅎ
감사합니다!! 하나만 더 여쭤봐도 될까요? 첨에 몇년은 페이하더라도 무조건 개원 생각인데 개원할거면 전문의 굳이 필요는 없을까요..? 학교에 오래 남아있기도 싫고 치대 적성도 맞을 거 같아서 의대랑 치대 겹치면 치대가고 싶은 맘이 있어서요!!
요새 근데 전문의를 좀 따려고 하는 추세라서 뭐라도 하나 있으면 좋긴 해요
다니다보면 졸업전에 대충 느낌올거에요 무슨과가 맞겠다 하는 느낌이요
저는 전문의를 한 입장에서 전문의 추천하구 잘 맞는과 선택하시길 바래요 ㅎㅎ

감사합니다 선생님 복 받으세영:)보통 개원하는 추세인가요
네 다들 개원생각을 합니다.
근데 사람마다 개원 안하고싶어하는사람도 있어서
그런사람들은 걍 계속 페이한대요 (제 동기들 기준)
나이많은사람 의vs치
나이랑은 상관없이 가고싶은곳!
선생님은 다시 선택하신다면 의가시나요 치가시나요??
저는 열번태어나도 치대갈거에요 ㅋㅋ
오 혹시 이유가 있으신가요??
치과의사는 적성만 맞으면 딱 좋은거같아요
1. 학부때 QOL 좋음, 어차피 의대갔어도 상위과 노릴 자신 없었음
2. 전문직이라 급여 높음
3. 페이닥터 QOL 좋음
4. 적성 잘맞아서 일하는게 재미있음
개원하는데 얼마 정도 들어요?
규모에따라 다르겠죠..? 작게하면 3억? 크게하면 한도끝도 없구요
최대한 안아프게 진료 받을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왜 다른 부위는 안그런데 치과치료는 소름돋게 아플까요?..
근데 다른부위도 썩으면 치과만큼 아플걸요...? 아닌가...
마취 잘 해달라고 얘기하시면 좀더 신경써주실거에요 ㅋㅋ
사랑니 아플까봐 못뽑고 있는데
사랑니 난리쳐서 얼굴 못생겨지기 전에 걍 뽑는게 나을까요
얼굴외형에는 상관없어요 ㅎㅎ
근데 어릴때 뽑는게 좋아요. 회복도 빠르고 뽑기도 쉽구요
치과의사도 사망선고 내릴 수 있나요
의료법에서 배웠는데 기억이 잘 안나네요
가물가물한데 의치한 모두 가능한거로 알고있습니다.
오오 ㅋㅋㅋㅋㅋ신기하네요
법적으론 그렇긴 한데 사망선고 내리는 치과의사가 몇명이나 있겠어요 ㅋㅋ
치과의사가 주인공인 소설 봤는데 사망선고 내리더라고요... 궁금했어요
1.전문의 따는건 치대6년하고 수련 몇년을 더 해야하나요??
2.치대 졸업하고 바로 로컬에서 근무하면 페닥기준 페이는 연차에 따라 대략 어느정도인가요??
1. 수련은 인턴1+레지던트3 =4년입니다.
2. 지역에따라, 할줄아는것에따라, 환자매니지정도에따라 다르긴 합니다. GP 시작페이는 천차만별인데 다 할줄알고 환자도 무난하게 봐주는 GP3,4년차 이후부터는 수도권에서도 1200 이상은 받을거 같네요?
2에 대해 질문조금만 더 드려도 될까요?? GP시작페이가 천차만별인데 그냥 아시는선에서300~600 이런식으로라도 말씀해주실수있을까요??
그리고 1200은 세전인가요..? 생각보다 엄청쌔네요 ㄷㄷ
뭐 암것도 못하고 갓졸업했는데 자기가 어디든 빨리 취업하고 싶다 하면 300이든 400이든 주는대로 일단 들어가는거구요, 아니고 뭐 다른 장점이 있고 잘할수 있다 하면 좀더 배짱팅겨봐도 되구요.. 지방내려가면 600 700으로도 시작하기도 합니다.
페이는 모두 세후입니다. 통장에 꽂히는 액수요.
수련하는게 바로개원하는거보다 더 메리트가 있나요?
개인마다 생각이 다르기때문에 뭐가 맞다 틀리다 얘기하기는 어려워요ㅜ
그렇군요.. 요즘은 예전보다 수련비율이 늘엇다해서 여쭤봤습니다
전반적인 수련 선호도는 예전에비해서 확실히 늘었습니다.
선생님 감사합니다 추석 잘 보내세요!
수련은 의사처럼 똑같이 치과병원 같은곳에서 받는건가요?
네 맞습니다. 치과병원도 수련기관이고, 대학병원도 수련기관이고 의과랑 다같이 협진도 하고 그럽니다
페이해도 적당히 본인 여가 즐길 수 있다고 보시나요
제가 지금 페이하고 있는데요, 주3일 근무하고 천만원 이상 받고 있습니다.
천만원보다 훨씬 위쪽이긴 한데 여기까지만..
진짜 선생님… 개멋지십니다 저도 꼭 치대 갈게요
와 원래 페이가 그렇게 센가요...???
교정이신가요...??
교정과 아닙니다.
치과가 뭐라그래야되지.. 능력따라 좀 편차가 있어요
변호사들도 그렇잖아요? 승소 잘하고 그러는사람이면 몸값 더 주듯이
의과는 하방이 높은게 장점인데, 능력에 자신있으면 치과와도 페이는 나쁘지 않아요
다만 이제 정형외과 이런 넘사과들이랑 비비기는 쪼금 힘들긴하구요 ㅋㅋ
근데 어차피 의대갔어도 피부 성형 정형 이런덴 못갔을거같아서..만족합니다.
능력은 어떤 걸로 입증이 되나요? 뭐 추천서나 원장님 앞에서 환자를 봐봐요?
선생님 하나만 더 여쭤봐도 될까요 일단 치대 갈 성적이 나와야 생각하는 거지만 ㅋㅋㅋ 페이 기준으로
대학 잘 가서 덜 좋은 분야 전문의 따기랑 대학 좀 덜 좋은 곳 가서 교정보존 하기 뭐가 더 좋다고 보시는지…
덜좋은데가면 교정과 갈 수 있을거같죠...? ㅜ 가보세요..
저는 지방치대나왔는데 맨날 모의고사 평가원 인설의 성적나오다가 수능 미끄러져서 그냥 온 애들 많았는데
그런애들 공부 개빡세여...
아 근데 저희때는 지방의대랑 지방치대랑 많이 겹쳤던때라 지금하고는 좀 느낌이 다를수 있어요
우왕.. 치페 상방 1000정도라고들었는데 머단하네요
전문의는 시작이 1000-1200인데요...gp도 천이상 받는사람 정말 많습니다.
와 미쳤다
충치 8개입니다 혼내주세요
치과계를 먹여살리는 고마운분을 왜 혼냅니까 ㅎㅎ
7년제 치대가 유의미한 메리트가 있는 부분이
있나요?
무조건 디메리트죠. 어쩔수없는경우 아니면 안갈거같네요.
석사학위 누가 안알아줍니다..
그래도 서울대라면..?
서울 치전이라서 4년아닌가요? 학석사통합도 뽑나요? 서울대면 1년정돈 더 할수있다고 봐요
서울대도 학석 통합 7년으로 바꼈어요

제가 어릴때 양치를 자주 안했었는데 어떻게 충치가 하나도 안생겼을까요?그러게요...저도 궁금하네요..
교정해주시는 선생님들은 대부분 교정 하셨던 분들이 많나요?
교정이 필요하신분들은 하셨을거에요
피부과 전문의 선생님인데 개꿀피부로 태어나셨으면 피부관리 적당히 하셨을거고
피부가 안좋게 태어나셨으면 관리 많이 하셨겠죠? 비슷한 느낌 아닐까요
음료수 마시고 이 안닦고 자면 좋되나요 이에 낄건 없으니 괜찮을지도 라고 생각이 들어버렸는데 현실을 알고시파요
탄산이나 단거 먹으면 안좋아요.
젤리같이 당이 많은데 끼이면 최악인데
음료수라고 안전한건 아닙니다.
충치가 이빨닦는거보다는 유전영향이 더 심하다는데 맞나요?
논문 찾아봐야될거같은데 제생각엔 아닙니다.
물론 치아자체가 약하게 태어나는 enamel hypoplasia같은 것들이 있긴 하지만 그런 특별한경우를 제외하고는요.
턱 크게 벌릴때 왼쪽 아래 턱쪽이 아픈데 충치 아니면 사랑니인가요? 사랑니 한번도 안 뽑았고 충치는 딱히 안보이는데 뽑기가 너무 무섭네요 ㅠㅠ
귀옆이 아픈게 아니고 아래쪽 턱이 아픈거면 너무 단단한거나 질긴음식을 많이 먹는게 아닌지, 아니면 집중할때 이를 악무는건 아닌지 한번 체크해보세요.
아 감사합니다
치과대학병원에서 근무하려면 교수님이되어야하나요 ??
교수가 아니어도 근무할 수는 있는데 거의 없어요..
손 떨리면 걍 의대 ㄱ하는 게 낫나요?
손떠는 동기 몇명 있는데 다들 잘 지내고 있습니다 ㅎㅎ
워라벨 확실히 다른직업군에 비해 체감되나요?
저는 진짜 좋다고 생각합니다.
제친구들중에 저보다 워라밸 좋은사람 없다고 단언합니다.
손기술 안좋고 남 앞에서 말하는거 잘 못하고 특히 남한테 뭐 보여줄 때 손이 많이 벌벌 떨리는데 괜찮을까요
아뇨 그럼 치대 오시면 안돼요
전문의 따는게 좋을까요?? 궁금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는 따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근데 안따도 잘하는 선배님들 정~~~~~~~~~~말 많이 있습니다
페닥으로 어느정도 있으실건가요?
이제 개원 알아보고 있습니다 ㅎㅎ 한 2-3년정도..? 되겠네요 페이닥터기간은
양치하고 딸기우유 마셨는데 그냥 잘까요 아니면 다시 양치하고 잘까요
그냥주무시고 나중에 치료하러 오세요!
헉
연봉얼마에요? 연봉 진짜 높다던데....
회사원들 생각하는 세전연봉으로 계산하면 3억후반? 의사들은 원래좀 높아여;;
진짜 찐찐찐 흙수저인데.. 나중에 제 힘으로 혼자 개원해서 혼자 잘 먹고 살 수 있을까요? ㅜㅜ
저도 집안에서 도움 없이 개원준비하고 있어요 다 할수있습니다 ㅎㅎ
제가 손을 좀 떠는 편인데, 치대 들어가도 될까요?
(치대 호소인은 아니에요. 내신도 되고, 최저도 맞출 수 있어요.)
그렇다고 막 달달ㄷㄷ달은 아니고 그냥 약간 스스스 흔들리는 정도요
평소에는 안 떨어요. 긴장하면 떨긴한데
손떠는건 상관없어요. 오십시오 ㅎㅎ
치과의사로써 의사와 비교했을때 조금 아쉽다..싶은 점들이나 치과의사가 의사보다 낫지!!싶은점들이 있나요? 돈은 제외하고요!!
사람들이 뭔가 의>치 급나눠서 보는것같은거만 조금 거슬릴뿐 나머지는 특별히 아쉬운건 없습니다.
근데 제가 의대못가서 치대간것도 아니고 둘다갈수있는데 치대간거라 대수롭게 생각하는건 아닙니다.
치과의사가 의사보다 나은점은 좀 애매하네요. 치과, 의사 이렇게 나눌게아니라 치과, 성형외과, 피부과, 비뇨기과, 산부인과, 가정의학과 뭐 이렇게 나눠서 비교하면 비교가 좀 될거같은데 치과 의과로 나누는건 너무 뭉뚱그려서 분류하는거 같아요.
아 확실히 조금 막연한 질문이긴 한것 같아요
대답 감사합니다!!
근데 대충 어떤뉘앙스인지는 알거같아요
치과는 의대에서 인기과보다는 못하고 비인기과보다는 괜찮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거같습니다. 치대커트라인이 어땠던간 그건 항상 그렇게 평가되어왔던거 같고 제가봐도 맞는거같아요.
오 맞아요!! 제가 묻고 싶었던 그런 내용이였어요!! 우문현답 감사합니다!!
제가 이빨건강에 안 좋을까봐 설탕 들어간 음료수 안 먹고 제로콜라나 탄산수만 먹는데요.. 당분 전혀 안 들어간 탄산과 당분 있는 탄산의 해로운 정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나요?ㅠㅠ
탄'산'이잖아요, 약한 산이라도 이에 좋은영향을 주지는 않습니다.
물론 당분이 없으니 당+탄산보다는 낫지만요
전문의 전공이 어케 되셔용
비밀입니다 ㅎㅎ
1. 요즘 치과의사 너무 많아져서 망하는 치과 많다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 페닥 월급이랑 개원의 월급은 평균 얼마정도 되나요?
3. 치대 공부량 어떤가요?
1. 의대든 치대든 한의대든 변호사든 이제 낙원은 없는거같네요, 다만 치과가 단일과로 많은수가 배출되니 그 속도가 조금 빠르긴 합니다. 옛날에는 능력없고, 환자 매니지먼트 안되는 의사들도 개원해서 성공했다면, 이제는 환자에게 공감못해주고 매니지먼트 잘 못하는 의사들은 도태되는 시기가 된거죠. 반대로말하면 능력있는사람들은 여전히 할만하긴 합니다
2. 모릅니다. 천차만별이에요
3. 공부량 목표에따라 달라요. 좋은과를 수련해야겠다 하고 열심히 하는사람은 매일 학교끝나면 도서관가서 밤새 복습하고 공부하고 실습하고 치열하게 살구요, 그냥 졸업이 목표다 하면 여유로울수 있습니다.
1. 허리 아픈게 디스크 올정돈가요? 아님 다들 과장인건지..
2. 치대가면 무조건 공보의로 빠질 수 있나요? 의대는 그렇지 않다고 들어서
3. 군기 있나요?
4. 전문의는 필수인가요? gp로 바로 가도 되죠?
1. 저는 치과의사이지 신경외과의사가 아니에요 ㅜ
2. 치대, 의대, 한의대 모두 학부만 마치고 군대가면 대부분 공보의로 가는거로 압니다.
3. 군기는 학교마다 다릅니다.
4. GP로 바로 나가셔도 됩니다.
1번 아마 치과진료 보는 중에 허리 굽히니까 아프신지 물어보는 거 같아요!
아! 보통 아파하면 허리보다는 목을아파하구요
자세만 신경쓰면 크게 문제있지는 않아요ㅎㅎ
한의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개인적으로는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윗 댓글을 참조하면 예를들어 전문의를 따고 지방 광역시급에서 페닥으로 근무시 3,4년차 즈음엔 세후 1200정도는 가져갈 수 있다고 하셨는데
평균값이 1200인가요? 또한 그이상 연차가 쌓일수록 임금상승이 어느까지 가능한지,,,케바케겠지만 병원장 입장에선 페닥들한테 매년 연봉을 인상시켜 줄 순 없을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전문의 따고 나오면 시작부터 1000-1200에서 시작입니다.
GP로 시작했을때 순조롭게 실력이 늘어간다는 전제하에 3-4년이면 1000-1200정도 가져갈수 있다는 얘기이구요.
GP로도 급여를 그 윗구간으로 받아가는사람들도 있습니다.
이제 그건 해당 병원에서 근무하면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해서 올려야죠.
욕심없으면 그냥 그정도에서 멈추고요..ㅎㅎ
근데 보통 QOL생각해서 1500이상 올라갈만큼 일해주지는 않는편입니다. 그런병원 찾기도 쉽지는 않구요
답변 감사합니다!! 전문의 과정별 페이격차도 차이가 있는편인가요?!?! Qol이 진짜 좋아보이는데 치대가고싶네요,,, 페이도 이렇게 쎈지 몰랐구욬ㅋㅋ ㅠㅠ 주변에 가족분이 아는 치과의사가 개원해서 망해서 자살했단 얘기를 어릴때 들어서 편견이 있었나봅니다,,,
전문의페이는 시작은 대체로 비슷하고 교정과만 조금 높긴 합니다.
구강외과의 경우 페이가 상승할만한 여지가 많고 능력과 환경에 따라 2-3천 가져갈수도 있습니다.
앗 선생님 그러고 인턴레지 수련기간중 페이와 업무강도는 어떤지 궁금합니다,,,의대 인턴레지와 비교했을때요,,!
수련기간중 급여는 병원마다 다르고
업무강도는 과별로, 병원별로 다릅니다.
급여는 대체로 300-400사이에 제일 많이 몰려있을듯 하구요
업무강도는 교정과, 외과의 경우 좀 힘들고
보존과나 기타 다른과의 경우 좀 수월한 편입니다.
참고로 다른댓글에서도 얘기했지만, 하방보장은 의사 전문의가 더 좋은 것 같습니다.
내가 봐서 하방 경계에서 맴돌거 같다(사람대하는게 좀 어렵다, 센스가 좀 부족하다, 말을 잘 하는게 어렵다 등등..) 하면 기를쓰고 의대를 가시는게 좋은 선택이고
자신있다 하면 취향껏 의/치 골라서 가시면 좋을 것 같네요.
물론 의대가서 성적잘받으시면 그게 더 좋은건 맞습니다. (피부성형정형등등..)
원래 외과의가 꿈이었지만 긴 수련기간, 공부량, 내신경쟁 등의 이유로 성적나와도 그냥 치대가기로 마음먹었는데 나름 손재주가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면 괜찮은 생각인가요?
손재주가 있다고 생각하는 편이면 치대와서 적응하기 쉬울겁니다.
근데 외과의가 꿈인데 내신경쟁을 하셔야되나요? 기피과라서 미달로 알고있는데요
정확히는 정형이 꿈이었어서요...그것보다도 공부에 좀 지쳐서 의대꿈은 사라졌는데 치대가 외과의처럼 손으로 뭔갈 한다는점이 끌려서 올해 꼭 드가고싶네요,,
화이팅입니다!
페닥기준 주5일 9~6시로 일하시는게 일반적일까요?? 위에보니까 주3일만 하신다고 하셔서요
네 저는 파트로 일하고 있구요
계약하기에 따라 다릅니다.
주1만 일하고 조금벌고 싶으면 그래도 되구요
근데 보통은 주5에 9시나 10시 출근해서 6시나 7시퇴근입니다. 일주일에 한번정도 야간진료 8시나 9시까지 하구요.
보잘것없는 질문들 다 정성스레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ㅠ ㅠ 아 그리고 치대는 졸업하고 수도권에서 일하는게 쉽나요?? 의대는 지방의 나오면 수도권에서 일하기는 빡세다고 들어서요.
의대가 그래요? 아닐걸요..?
일단 치대는 지방치대냐 서울치대냐 하는건 1도 상관 없습니다.
물론 서울치대 나오면 약력에 서울대출신이라고 쓰기 좋으니 좋아는 해요 ㅋㅋ
지방의에서 인서울의로 반수하는사람들 심리가 그렇다고 들어서요.. 지방에서 쭉 공부하고 인턴 레지하는 이상 다시 서울로와서 일하기는 힘들다고... 페닥이든 개원이든 학교 위치는 상관없는건가요??
학교 이름 바꾸려고 다시하는거겠죠 설마요
치과는 상관없습니다.
일자리야 서울에서 원하면 어떻게든 잘 구해요
학교 생활을 서울에서 하려고 반수하는거지
고vs연
서울대요
교정과는 개원의도 기대수익이 타과보다 높나여??
아뇨. 교정과 전문의도 요즘 다른 일반진료배워서 gp로 개원합니다. 그냥 교정잘하는 gp인 개념이죠
좀더 정확히 말씀드리자면 자리 잘 잡은 교정전문의의 경우 일반GP보다 확실히 안정적으로 매출을 올릴 수 있어요.
그런데 1인원장 체제 하에서는 어떤 전공이던지 상한이 확실히 존재하기때문에
GP, 교정과 둘다 능력있는 원장이라는 전제하에서는 상방경계는 비슷하다고 봅니다.
턱 양쪽에서 그 손가락 마디 똑똑 소리나듯이 딱딱 소리나는데 그냥 냅둬도 되나요? 아프진 않아요
안아프면 지켜봐도 됩니다. 정복성 관절원판변위로 보입니다.
소리만 나고 통증이 없는 경우는 이상이 있다고 보지는 않아요
다만 소리가 안나게 할 수 있는 정도로만 입을 벌리면서 지내시고 되도록 크게 입벌리는 행위나 턱에서 소리가 일부러 나게 하는것들은 안하시는게 좋습니다.
한국치대 졸업하고 해외로 가는 경우도 있나요??
있죠. 많지는 않습니다.
양악수술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vs 의사 성형외과
어디가 더 낫다고 보나요?
양악만 놓고 본다면 당연히 치과입니다.
광대, 안면윤곽도 치과 구강외과에서 하긴 하지만 성형외과에서 우세한것처럼
양악은 성형외과에서도 하긴 하지만 치과가 확실히 우세하죠.
성형외과 혼자서는 양악 수술계획도 제대로 잡을수가 없어요
충치가 생기면 바로 치료해야 될까요?
빠를수록 저렴하고 간단하게 치료 가능합니다.
치대 커뮤니티에서는 개원해서 1500 쉽지 않다, 의대 비인기과가 치대 모든 과보다 나으니 의대가라고 하는데 의대 커뮤니티에서는 비인기과 암울하다 치대가 워라벨 좋다하니까 뭐가 맞는 말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글쓴이님은 수입과 워라벨 면에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의대로 옮기는건 크게 원치 않지만 나중에 치과가 과포화 됐을때 개원할 자신이 없어서 의대 가고 싶거든요
의대 비인기과보다는 나은거같은데요.. 개원해서 1500도 못가져가는건 능력, 센스 다 없는 원장님들이구요. 의대도 폐업하는분 많고 개원해서 잘 안되는분들 많아요.
의대갈때는 상위과를 보면서 가지만 치대에선 하위20%를 보면서 비교하면 당연히 더 안좋아보이죠. 치대로 개원해서 잘되는분들은 의사개원의 못지 않아요. 다만 그게 의대보다야 좀더 어려워서 문제지 ㅋㅋ
근데 제생각엔 언제 어려울것이냐 문제라고 보는데요
학교다닐때 어려움을 극복하고 좋은과를 가서 이후가 편할것이냐
학교다닐때 좀 편하고 졸업하고 어려움을 극복할것이냐 이 차이라고 봐요
저는 의대가서 좋은과 가는 어려움이 졸업하고 개원할때 겪는 어려움보다 어려울거라고 생각해서 치대왔고 잘 선택한거 같아요
전교1등만 하던 애들 100명 모아놓은데서 10-20등안에 들정도로 공부에 자신있으면 의대가서 좋은과 노려보시구요, 공부는 자신없는데 사업가적 마인드가 좋다 하시면 치대가 나은 선택일 수 있다고 봐요
원래 다른 꿈이 있었다가 몸 상태 때문에 바꾸게 됐는데 꼭 치대 가고싶네요 ㅎㅎㅎ
응원합니다!
정말 쓸데없는 질문이지만 환자 치료해주다가 환자가 재채기나 딸국질하면 환자 입 안 다치나요??
재채기나 딸꾹질하기전에 신호가 오거든요. 그때 얼른 기구를 뺍니다 ㅎㅎ
사랑니때문에 통증이 느껴집니다.
근데 통증이 느껴지는 근처 목구멍도 통증이 같이
느껴지는데 원래 그런건가요??
네 염증이 심하면 목까지도 파급될수도 있어요.
사랑니때문에 아픈게 맞다면 얼른 빼셔야겠는데요
그저께까진 하나도 안아팠는데 어제 저녁부터 부어오르더니.. 오늘은 좀 아프더라구요.. 치과들이 오늘은 다 휴무여서 내일 바로 가야겠네요..
제가 양치를 1,2일에 한번씩 하는데 2년째 충치가 안생깁니다 이런 경우엔 계속 양치 안해도 되나요??
별로 권장하고 싶은 양치빈도는 아니네요. 하루3번을 권장합니다.
충치는 둘째치고 입냄새가 엄청 날거같은데요
왼손잡이가 치대 들어가면 따라가기 많이 힘들까요?
오른손잡이보다는 확실히 더 노력이 필요합니다.
체어셋팅부터 오른손잡이 기준이거든요.
그렇지만 왼손잡이 동기들 많은데 다들 잘 지내요
예1인데 졸업이 눈에 안보여요.... 공보의까지 가면 30인걸요.. ㅠㅠ
각설하고
요즘은 전문의를 따서 전문성을 가지는게 추세
vs
그래도 가성비는 gp
아직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제가 손재주랑 몸으로 하는걸 잘하는편이라 gp 나가도 잘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조금이라도 어릴 때 돈벌고싶은 마음이 큰데
둘중 어떤걸 추천하시나요? 아무리 그래도 전문의가 그렇게 메리트 있으실 것 같나요?
아 만약 전문의를 한다면
외과나 보철과 생각중입니다
감사합니다 선배님!
외과 보철과 둘다 좋은과고 수련할 가치 있다고 봅니다. 굳이하나만 꼽으라면 외과?
근데 수련은 제가 해라마라 말씀드리기가 어렵네요... 수련받는분위기인것도 맞지만 60%넘는 졸업생들이 gp로 나가는것도 사실이니깐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선배님!!
외과쪽으로 생각하면서 고민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경치 메리트 있나요?
경치 좋네요
지방대치대나와도 서울에서 개원가능한가요??
뭔가 주위치과들보면 다 서울대 연세대밖에없는것 같아서요
가능합니다.
덤벙거릴 때가 많고
판단력은 좋은편이긴 한데 긴장하면 판단미스 자주 남+ 판단이 느림
+말빨 ㅎㅌㅊ
이러면 치대랑 적성이 좀 안맞나여
그정도면 치과의사뿐만아니라 어떤일을해도 안맞을것같은데요

어얽...그렇긴 하네요손재주만 없고 말솜씨나 이런 거는 괜찮은 편인데 손재주가 진짜 없어도 괜찮을까요?
손재주 없기 vs 사람 대하는거 못하기
둘중에 하나 선택해야만 한다면 저는 손재주 없기를 선택할거에요
손재주는 처음엔 어렵지만 시간이 가면 어쨌든 익숙해지고 어느정도 퀄리티를 내게 됩니다. 다만 그때까지 본인이 좀 더 고생해야하고 노력을 해야 할 뿐이죠. 극복불가능한건 아니에요
안녕하세여 제가 돌출입이 좀 있는데 돌출입 교정이나 수술도 일반 치과의사님께 받아도 되는 걸까요? 아니면 교정전문의사님께 받아야할까여?
돌출입이 뼈가 튀어나온것이냐, 치아배열문제냐에 따라서 얘기가 좀 달라지구요
아마 얘기하시는 돌출입은 치아문제일 가능성이 높은데 교정전문의랑 얘기를 해보시면 좋을거같네요. 골격성인경우에는 일반 치과의사들은 손 못대요~
1. 개원해서도 주4일정도만 일할 수 있나요?
2. 육체노동 강도가 어느수준인가요?
3. 목통증, 허리통증 직업병으로 달고사나요?
4. 나이들면 시력저하, 손떨림 등으로 오래 못한다는데 사실인가요?
5. 한의사에 부정적인 이유가 궁금해요.
6. 치과의사의 최하방이 무엇인지 궁금해요. (ex 의사라면 요양병원)
1. 해도 됩니다. 근데 쉽지 않을걸요. 식당열어놓고 주4일만 일하는거랑 같다고 보면 됩니다
2. 이걸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요? 확실한건 치료나 수술을 직접 해야한다는 점입니다.
3. 아뇨
4. 아뇨
5. 노코멘트입니다. 제가 얘기하면 또 한의사분들 몰려와서 난리날거에요
6. 저도 궁금하네요. 근데 제 주변에서 손나쁘고 사람못대하고 유급하고 이랬던사람은 대학병원에 남아서 펠로우하고있긴한데.. 또다른 분은 진짜 노답인데 로컬에서 페이 하고 있습니다. 전문의 땄고 당연히 1000이상은 가져가는데 저런사람도 저만큼은 받으니까 이게 하방이라고 해야 될까요..?
파이애플이나 키위 등 신음식을 먹고 양치하면 이가 시린데 이거 이상한건가요? 조금 지나면 괜찮아지긴 해요...
직접 보지않으면 적어주신 내용만으로 완벽한 진단은 어려울거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이만잘닦으면 더이상안커지는 충치도 있나요
네 있습니다
피 무서워하면 역시 치대는 안되겠죠…?
아뇨 다들 적응해요.
피보는거 무서워서 그만뒀다는 사람은 치과대학 역사상 선후배 통틀어서 한명도 못봤어요
저는 주사맞는것도 무서워하는데 의대 목표중이거든요. 혹시 주변에 치료하는거 무서워 하는 사람이나 극복하신분 있나용
제가 주사맞는거 피뽑는거 정말 너무너무 무서워합니다.
근데 내가 맞는거랑 남한테 놓는거랑은 180도 달라요 ㅋㅋ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식사 후 바로 양치 한뒤 커피를 마시는 습관이 있는데 커피 다 마시고 양치하는게 좋나요? 아니면 상관없나요?
음.. 상관없을거같은데요
주변에 원광치대 나오신분 보셨나요
네
나이있어서 수련 못한다면 의대보다 치대가 더 나을까요?
나이있어도 수련 하려면 해요 ㅎㅎ
어디가서 치과의사라고 하면 어떻게 보나요? 돈 많이벌지않냐 <- 이런 인식 있지않나요.. ㅋㅋ
부정적인것보다 좋게봐주는게 더 많은거같아요
전문직의 장점중 하나입니다.
선생님 안녕하세요 오늘 오전에 충치 온레이로 치료했는데 임시로 덮어놓은 상태입니다 담배펴도 괜찮을까요..?
네 100개 피세요ㅎㅎ
치대왔다가 카데바나 수술실습하다가 적성안맞아서 타 과로 가거나 자퇴한분들 있나요?
전혀없습니다.
카데바실습도 첫날에만 괜히 긴장되는거지
둘째날부터는 별로 무섭지도 않아요 ㅎㅎ
혹시 결혼이나 연애는 의사들은 어떻게 하나요? 옛날부터 궁금했습니다 ㅎㅎ
똑같은 사람입니다..ㅋㅋ 소개팅하고 미팅하고 선보고 결정사가고 다 똑같아요
치과 중에서 특히 외과적인 수술이 두려우면 치대에서 버티기 힘들까요?
아뇨 전혀요.
정말 생각보다 금방 익숙해집니다.
1.스플린트가 이갈이 방지에도 도움이 되나요 ?
2.치아교정으로 얼굴형 변화, 등등 심미적인 효과를 기대할수있는 것은 청소년기까지 일까요 ?
3.요즘 나오는 구강호흡테이프, 치열에 영향을 주지는 않나요 ?
1. 이갈이 자체를 막아주는 치료는 전세계 어디에도 없습니다.
스플린트는 이갈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막아줍니다.
2. 아니오
3. 비강확장을 해줘서 구호흡을 비호흡으로 바꿔주는데 도움을주는 테이프인가보네요
의도대로 작동이 잘 된다면 도움이 된다고 봅니다.
다만 구호흡의 원인이 여러개가 있어서 테이프만으로 효과를 본다고 단언할 수는 없겠네요. 증례에 따라 다를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수험생 커뮤니티에서 이렇게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1. 시력이 안좋은 편이어도 치과의사로서의 삶에 문제가 없는 편인가요? (고도근시 정도)
2. 주변 치과의사 선생님들중에 라식라섹 등 시력교정술 하신 분들 많으신가요?
3. 치대 졸업하려면 진짜 케이스 채우려고 주변인들 모셔와서 발치하고,,그러나요?
4. 혹시 여성이라면 치대 수련시에 체력이나 과 선택 등의 면에서 힘든 점이 더 많을까요?
1. 제가 고도근시입니다.
2. 제가 라식을 했습니다.
3. 주변인 모셔와서 치료 했습니다. 근데 그게 크게 문제가 되거나 스트레스는 아닙니다.
4. 저희는 동기중에 여자가 15명이었는데 1등부터 10등내에 여자가 8명이었습니다.
제가 하루에 제로칼로리 탄산음료수를 거의 3-4캔씩 먹는데 이에 많이 안좋을까요?
안먹는것보다 확실히 안좋은 영향이 있습니다.
1.개원했을 때 전문의 유뮤가 수입에 큰 차이를 주나요?
2.선생님은 지금 주3일 1000이상 벌고있다고 하셨는데
전문의 안하고 페닥하면 동일 노동강도라고 가정했을 때 보통 얼마정도 벌죵
1. 아니오
2. 전문의 유무보다 어디까지 내가 능력이 되느냐에 따라서 연봉이 결정된다고 보면 됩니다.
구강성교를 하면 치아 건강에 악영향이 있을까요?
구강건강에 악영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구강성교를 많이하는사람들은 여러 병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가 많이 있습니다.
Oral sex and human papilloma virus-related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ncer: a review of the literature
Oral sex and HIV transmission AIDS. 1999 Apr 16;13(6):737-8
HIV transmission among men who have sex with men through oral sex 2004 Aug;80(4):324. doi: 10.1136/sti.2004.009217.
이번에 치대 입학 예정입니다!
제가 목이랑 어깨 허리 다 원래 안 좋아서 걱정입니다..
건강관리는 어떻게 하세요??
치대도 과선택시 의대처럼 교정,보철,구강외과. 등을 성적으로 선택하게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