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님쌤~~~ 영어 질문이요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34089

2번 문제요~
학원에서 say 뒤에 목적어 없다고 하시던데... say 가 2형식으로 전치사 + 명사로 완벽한 문장 될수있지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34089
2번 문제요~
학원에서 say 뒤에 목적어 없다고 하시던데... say 가 2형식으로 전치사 + 명사로 완벽한 문장 될수있지않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맞습니다. ^^
이것이 바로 단순한 '완전', '불완전'만으로 관계사 문제를 푸는 것의 위험입니다.
그래서 제가
OMG 관계사편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이 바로
'선행사 대입'입니다.
관계대명사냐 관계부사냐 하는 문제는
이후의 절이 완전한가 불완전한가로 풀수 있습니다.
이때 완전한가 불완전한가의 기준은
'있어야 할 명사가 있는가'입니다.
그런데,
주어, 보어, 전치사의 목적어가 되는 명사는
없으면 바로 표가 나기 때문에
학생들이 잘 구별해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동사의 목적어 자리입니다.
선생님들이야
그저
'완전' '불완전'이라는 것을
쉽게 구별하겠지만
아직 실력이 완전하지 않은 학생들의 경우에는
짜증이 나는 것도 사실입니다.
거의 모든 동사는
목적어를 쓰는 타동사의 쓰임과
목적어를 쓰지 않는 자동사의 쓰임을 모두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것을 해결하는 가장 궁극적인 방법은
선행사 대입입니다.
이것은 관계사의 생성원리를 이용하는 것이지요.
I remember the day _________ we met for the first time.
이 문장을 보세요.
그저, 완전 불완전 만으로 문제를 구분한다면
meet 는 '만나다'라는 뜻이니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라는 생각에
불완전하다라는 결론에 도달하고
관계대명사를 쓰면 틀립니다.
여기서는 meet가 목적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사로 쓰였기 때문이죠.
이것을 구분해내는 방법은
바로 관계사의 선행사인 the day를
의심되는 목적어 자리에 넣어보는 것입니다.
넣어보면
'그날을 만났다'가 되면서
해석이 안 맞게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관계사란
원래 있던 것이 사라지며
빈 곳이 생기는 것이라는 건
지난 번 질문때 설명해드렸죠?
그래서 이렇게 선행사를 대입했는데
말이 되지 않으면 이것은
목적어 자리가 비어있지 않은 것
즉, 완전한 절로 보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면 관계부사가 들어가야 하겠죠.
질문하신 문장도 마찬가지입니다.
the only bad thing I can say about him
여기서 say의 목적어 자리가 의심되신다면
넣어보세요.
그러면
I can say the only bad thing about him
내가 그에 관해 유일한 나쁜 점을 이야기할 수 있다 로 해석이 말이 됩니다.
해서
관계대명사가 오는 것이고
이 자리의 관계대명사는 목적격이니
생략할 수 있어서
생략되어 있는 것입니다.
헉헉...
이해 되셨나요?
감사합니다~ 영어는 해도해도 계속 새로운게 생기는 느낌이에요... 기출문법 왠만하면 다 맞추는데... 이렇게 그냥 깊게 파고들면.... 새로운게 많은것같네요.. 수능이 고교과정의 문법수준이라서 그런가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