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독해] 절대로 놓쳐서는 안될 독해를 위한 세 가지 기본 개념 (1) - 글쓴이의 의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181444
우리는 이미 작성된 글을 읽거나, 혹은 읽어야 합니다(시험?). 하지만, 누가 썼는지, 왜 썼는지 궁금해하지 않습니다. 그저 읽을 뿐이지요. 시험은 봐야 하지 않나요? - 물론, 지문을 가비얍게 무시하고 넘어가는 친구들도 많습니다만…
누가 썼는지에 관해서 궁금해하지 않더라도, 왜 썼는가에 관한 궁금증은 가져야 합니다. 독해 지문의 핵심 내용을 정리하는 비법이 바로 “왜 썼는가?”에 숨어 있기 때문입니다(문제 풀이의 가장 확실한 비법이기도 하구요. 정말이냐구요? 조금만 기다려보세요. 모든 것을 곧 아시게 됩니다).
아래 지문을 쓴 글쓴이의 목적은 무엇일까요?
Scientists have no special purchase on moral or ethical decisions; a climate scientist is no more qualified to comment on health care reform than a physicist is to judge the causes of bee colony collapse. The very features that create expertise in a specialized domain lead to ignorance in many others. In some cases lay people ― farmers, fishermen, patients, native peoples ― may have relevant experiences that scientists can learn from. Indeed, in recent years, scientists have begun to recognize this: the Arctic Climate Impact Assessment includes observations gathered from local native groups. So our trust needs to be limited, and focused. It needs to be very particular. Blind trust will get us into at least as much trouble as no trust at all. But without some degree of trust in our designated experts ― the men and women who have devoted their lives to sorting out tough questions about the natural world we live in ― we are paralyzed, in effect not knowing whether to make ready for the morning commute or not. [2022 학년도 수능 영어 21 번 지문]
찬찬히 읽어본 후에 글쓴이의 목적(author’s purpose)를 생각해보셨나요? 글쓴이가 제시한 디테일(details)를 따라 가보겠습니다.
[1st sentence] 과학자는 자신만의 전문 분야가 있다는 점을 예를 제시하면서 주장하고 있습니다.
[2nd sentence]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성은 다른 전문 분야에 대한 무지로 연결될 수 밖에 없다는 식으로 이전 문장에서 주장한 내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3rd sentence] 일상적인 분야의 전문가의 예를 들면서 과학자는 이들의 전문 지식과 경험으로부터 배워야 할 필요가 있다는 식으로 “과학자는 자신의 분야에 대해서만 전문가”라는 주장을 다시 한 번 설득하고 있습니다.
[4th sentence] ACIA의 예(해당 지역의 거주민들이 관찰한 내용이 평가 보고서에 포함 되었다는 내용. 해당 지역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전문가들은 해당 지역의 거주민일테니까요)를 통해서 과학자들이 자신의 분야에서만 전문가라는 사실을 최근 들어 인정하고 있다고까지 주장하고 있습니다.
[5th & 6th sentences] 따라서, (과학자들에 대한 기대와 신뢰는) 해당 과학자의 전문 분야로 국한해야 한다는 주장을 다시 한 번 펼치고 있습니다.
[7th sentence] 전문 분야에 국한해서 전문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문제가 생길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여기까지 일관되게 전문 분야에 국한해서 과학자를 포함한 전문가의 전문성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습니다.
[8th sentence] 만일, 전문 분야에 대한 전문성을 어느 정도 인정해주지 않아도 우리는 실생활에서 문제를 겪게 될 것이라고도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쓴 목적 - 글쓴이는 과학자가 모든 것에 대한 전문가라는 맹신도 문제이지만, 과학자/전문가의 전문 분야을 인정하지 않는 것도 우리의 삶을 불편하거나 괴로운 것으로 만들 수 있다는 주장을 하기 위해 이 글을 작성했습니다.
글쓴이의 목적을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하니 지문의 내용 정리가 쉽게 잘 된다는 느낌이 들지 않나요? 글쓴이의 목적을 찾기 위해서 글을 읽고, 목적을 중심으로 글의 내용을 정리해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글을 읽는 목적 자체가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하는데 있습니다. 모르셨다구요? 글을 통해서 글쓴이와 대화 한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글 읽기는 글쓴이의 생각을 들어보기 위한 것인데, 그렇게 표현된 생각이나 제시된 정보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 의도 파악이 우선 되어야 합니다.
[2] 독해 시험이 테스트 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글 읽기 능력도 글쓴이의 의도 파악은 물론, 의도를 충족 시키기 위해서 제시한 정보를 이해하고 정리해내는 수준을 테스트 하기 위함입니다. 의도를 파악하지 못했다면 특정 정보를 제시한 이유는 물론, 제시된 정보가 보여주려고 의도한 것이 무엇인지조차 파악하기 힘들 것입니다.
[3] 문제 풀이의 핵심 근거이기 때문입니다. 의도 중심으로 글에 제시된 정보(supporting details)를 정리해보세요. 그렇게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선택지를 지워 보세요. 아주 쉽게 문제가 풀리는 마법을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3] 번 내용이 쉽게 믿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확인해볼까요? 위 지문에 연결된 문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21. 밑줄 친 whether to make ready for the morning commute or not이 다음 글에서 의미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3 점]
(1) questionable fact that have been popularized non-experts
(2) readily applicable information offered by specialized experts
(3) common knowledge that hardly influences crucial decisions
(4) practical information produced by both specialists and lay people
(5) biased knowledge that is widespread in the local community
전문가의 전문성도 한정해서 인정해야 하지만, 전문가의 전문성을 인정하지 않아도 일상 생활에서 불편함을 겪게 된다는 주장을 하는 글입니다. 이 관점에서 선택지를 지워보세요. 쉽게 답을 찾을 수 있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 계정 아깝고 나는 재릅하기 거의 불가능하다는 점도 있지만 애초에 이제 옛날만큼...
-
미적분 ㅈ같넹 0
계산 자꾸 중간에 실수해대니까 갑자기 이상한 식 자꾸 튀어나옴
-
의예과 건물을 맴도는 사람이 되.. (스토커아님)
-
뉴분감 곧 끝나서 뉴런 2회독 + 수분감 옛날기출 + 시냅스 푸려는데 쉬4~중간4점...
-
걍 도쿄가야겠다 2
ㅋㅋ
-
그리워하면 8
언젠가 만나게 되는 어느 영화와 같은 일들이 이뤄져 가기를
-
2024 9월에 이미 브라질 남북반구 걸친게 나오긴 했었는데 올해 6월에 케냐 적도...
-
이거 담배 이름 뭔가요?
-
ㅊㅊ
-
시간을 되돌려서 정규반 들어간다는 가정하에 1.한달만 받는건가요 아님 1년 내내...
-
다들 어디 가고 싶은지 궁금
-
난 분명 어제 1월 1일 됐다고 술 처마시러 나간 거 같은데 8
왜 벌써 8월인 거시야
-
다 사라짐
-
시발 8월이구나 0
좆같다 좆같아 1월이 엊그제 같은데
-
마음이너무아프다
-
뭔가 뿌듯해 5
그게 영어일지라도
-
특히 귀납적 정의... 이게 수학이야 IQ 테스트야...
-
무제 vs 이감 0
지금 이매진 하고 있는데 양이 좀 부족해서 하나 더 하려하는데 강민철 쌤 무제랑...
-
보통 연구자들은 자기 논문 가지고 나중에 엮어서 책 쓰는데 논문은 어지간해선 공짜로...
-
시발 나도고2인데 난수열미분적분 극한시발걍다 어려워!!!!!!
-
키 몇살까지 큼 1
한국나이 21인데 2센치 더 못크려나 2센치만 더크면 70후반이라 만족할텐데
-
개추눌러라 ㅋㅋㅋㅋㅋㅋㅋ
-
수시 다 떨어지면 경찰대라도 가는 게 낫나?? 의대목표라 반수든 재수든 하겠지만...
-
사진넣고싶은데
-
빨간색과 형광펜은 중심문장과 키워드 숫자는 사고과정 선지판단은 특히 빈칸일수록 미리...
-
다 하나의 해석인거
-
뭐죠
-
회계에서 복식부기법 대충 그거 응용해서 개쩌는 풀이법을 알아냄 ㄹㅇ 이걸로...
-
방구 4
뿡
-
드릴7이 왔거든요 ㅎㅎ
-
떨어진채로 너무 더워서 익엇대요..
-
거의 2년동안 현우진 바라기로 살아왔어서 현우진이 모든것의 기본인줄 알았는데 커넥션...
-
섞을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순삽에서만 abps 안쓰면 되겠죠
-
44점이면 몇인가요
-
이 없는이유???
-
근데 쌤이 직접 답변해줬으면 좋겠다
-
난 너구리도 순한맛 먹음.
-
소신) 진순은 10
먹을게 아니라고 생각해요...
-
사탐도 지금보다 쉬웠고 기출로도 쌉가능 지금은 x 국어도 훨씬 난이도 쉽고 수학은...
-
걍 외대 어문 남아서 탈조선 해야하나..
-
ㄹ
-
왜 지금 컵라면 먹냐고 따지는 동생(13세)에게 응 난 성인이야~ 그래도돼 잠이나...
-
논문까지 긁어온다? 그때부터는 의미없는 사후적 논쟁 대결 다 맞아 보임
-
집에서 챌린지 하나 보고 연습하겠다고 거울모드로 0.4배속 보면서 하는데 존나...
-
생명 유전 4
지금 고2인데 대성 김태영쌤 비유전은 ㄱㅊ앗는데 유전을 좀 어렵게 하시더라구요…...
-
퇴근 8분전.. 2
멈춰버린 시간
-
논쟁 4
두 사람이 서로 논쟁을 하다가, "아니, 이 양반아. 이것도 모르나? 이 양반아."...
이 문장이 왜 여기있는지 글쓴이의 의도를 파악하는것이 왜 중요한지 다시한번 깨닫게 해주는 글이었네요
좋은 칼럼 감사합니다
내 주신 문제 선지 다시 읽어봤는데 단어 모르면 꽝이네요 감사랍니다
안녕하세요? 독해학교의 Eddie입니다.
그렇죠? 어휘력은 어학의 기본이니까요. 그러나, 단어 많이 알면 영어 잘하냐? 그래서 모든 영어 문제를 해결해주냐?에 대한 답도 분명하게 "아니다!"입니다. 한정된 시간 내에 최대한 효과적으로 점수를 모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에 집중하는 것이 좋을 텐데요. 그런 관점에서 어휘력 부족에 접근하면 좋은 아이디어가 많이 생각날거예요. 한 가지 tip을 드리자면, 항상 최소한의 단어 셋을 암기하려고 노력하세요. 그래야 암기 지속 시간도 오래 갈 것이고, 암기해야 할 단어를 선별하는 "눈"도 얻게 될테니까요. 그렇게 절약된 시간을 다른 부분에 투자해보세요.
안녕하세요 코로나 걸렀더니 머리가 빠가가 됐나보네요
최소한의 단어 셋이 무엇인가요?
한번에 단어 3개 인가요?
부족한 저를 위해 좀더 설명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독해학교 Eddie입니다.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습니다만, 이런 방법을 권합니다.
1. 일단 암기 대상이 되는 단어 리스트를 먼저 결정하세요. 예를 들어서 수능 기출 단어나 빈출 단어 등등 여러 가지를 구해서 비교해보세요. 단, 실제 수능에서 그 뜻을 알려주는 단어는 암기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이 좋겠죠?
2. 하루에 암기할 단어 수를 결정하는데, 10 개 정도가 좋습니다(인간은 암기와 망각에 적당히 특화 되어 있답니다. 이전의 나쁜 기억을 절대로 잊지 못하게 설계 되어 있는 동물이라면 남은 삶을 살아가기 힘들 거예요. 게다가 단어처럼 조각난 정보는 더더욱 암기하기 힘들답니다. 뇌새김 단어 등등이 노리는 것이 바로 anchor 하나, 즉 암기를 도와줄 연결 정보 하나를 더 제공하는 것에 착안한 것이지요. 효과는? 글쎄요?
3. 매일 아침에 그날 암기할 단어 10 개를 A4 용지나 기타 종이에 적으세요. 적으면서 한 번 암기한 셈입니다.
4. 틈나는대로 10 개의 단어를 보지 말고, 종이에 적으세요. 정해드릴까요? 오전에 두 번, 오후에 두 번, 저녁에 두 번 적으세요. 떠올리는 연습입니다. 단어 암기할 때 뇌에 집어 넣는 것에 집중하는데, 뇌과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암기의 duration은 반복 횟수에 비례한답니다.
5. 잠자리에 들기 전에 그 날 외워야 할 단어 10 개에 대한 시험을 보세요. 단어와 그 의미가 시험 대상입니다. 만일, 떠오르지 않는 단어가 있다면 암기 되지 않은 단어이므로, 포스트잇에 적어 두세요. 주말에 다시 마찬 가지 방법으로 반복합니다.
6.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새로운 단어 10 개씩을 매일 진행합니다. 일요일에는 포스트잇에 있는 단어를 대상으로, 마찬 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암기합니다.
7. 자신이 붙으면 단어 개수를 늘려도 좋습니다. 하지만, 암기 했다는 경험 보다는 실제로 머리 속에 남아 있는 단어가 더 중요하다는 대원칙을 잊지는 마세요.
8. 동사를 외울 때 수식어를 제외한 예문 하나도 함께 암기해두세요. 동사의 usage를 함께 알아두는 것은 동사의 뜻을 제대로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되지만, 해석이나 문장 구조 파악에도 도움이 된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너무 나도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