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PPL 칼럼 52호] 주제문을 어떻게 찾아야 하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8018163
다음 문제를 풀어보세요.
Q.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Scientists use paradigms rather than believing them. The use of a paradigm in research typically addresses related problems by employing shared concepts, symbolic __EXPRESSION__s, experimental and mathematical tools and procedures, and even some of the same theoretical statements. Scientists need only understand how to use these various elements in ways that others would accept. These elements of shared practice thus need not presuppose any comparable unity in scientists’ beliefs about what they are doing when they use them. Indeed, one role of a paradigm is to enable scientists to work successfully without having to provide a detailed account of what they are doing or what they believe about it. Thomas Kuhn noted that scientists “can agree in their identification of a paradigm without agreeing on, or even attempting to produce, a full interpretation or rationalization of it. Lack of a standard interpretation or of an agreed reduction to rules will not prevent a paradigm from guiding research.”
① difficulty in drawing novel theories from existing paradigms
② significant influence of personal beliefs in scientific fields
③ key factors that promote the rise of innovative paradigms
④ roles of a paradigm in grouping like-minded researchers
⑤ functional aspects of a paradigm in scientific research
Direction: 지문 내용을 한 두 문장으로 짧게 요약해보고, 지문의 핵심이 재진술된 선지를 찾아 표시해보세요.
↪ 한줄 요약
↪ 한줄 요약 예시
과학자는 사용하는 패러다임에 대해 동의한 공통의 설명이나 믿음이 필요없다. 그러나 패러다임을 이용해서 연구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패러다임을 믿고 있다기 보단 사용한다고 말할 수 있다.
① difficulty in drawing novel theories from existing paradigms
② significant influence of personal beliefs in scientific fields
③ key factors that promote the rise of innovative paradigms
④ roles of a paradigm in grouping like-minded researchers
⑤ functional aspects of a paradigm in scientific research
↪ 재진술로 정답찾기
use의 측면을 functional aspects라는 말로 반복했습니다. ②번은 주제문 속 ‘rather than believing’과 반대입니다. 따라서 답은 ⑤번입니다.
이번 지문에서 배울 수 있었던 점을 상기해 볼까요?
1. 주제문을 어떻게 찾아야 하나요?
2. 재진술을 통해 소재가 대립 되는 경우엔 어떻게 사고해야 할까요?
1. 주제문을 어떻게 찾아야 하나요?
주제문은 상대적입니다. 주제문이 없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소재가 있고, 글의 주제는 분명히 있습니다. 한 단락의 주제를 포함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General한 문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글의 전개방식은 General to Specific 일 수도 있고, Specific to General 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게, 한 문장을 읽고 그 다음 문장의 첫 부분만 읽으면 그 관계를 알 수 있습니다.
Scientists use paradigms rather than believing them. The use of a paradigm ...
첫문장과 그 다음 문장의 첫 부분을 다시 가져왔습니다. ‘use’와 ‘believing’을 ‘rather than’을 이용해서 대립시키고 있습니다. 이 다음에 the use of ~ 라고 쓰면서 ‘use’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나올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모든 지문이 use와 believing의 대립이고, use에 초점이 맞춰져있음을 알고, 이 문장을 곧바로 주제문일 것이라 합리적으로 의심해 볼 수 있을 겁니다.
2. 재진술을 통해 소재가 대립 되는 경우엔 어떻게 사고해야 할까요?
: beliefs about what they are doing
: a detailed account of what they are doing or what they believe about it
: agreeing on or attempting to produce a full interpretation or rationalizing of it
: standard interpretation, agreed reduction to rules
위는 use와 대립되는 내용입니다. 사실 use의 반댓말은 discard처럼 사용하지않다, ‘버리다’ 라는 뜻의 단어일 겁니다. 문맥적 반의어는 어휘적 반의어와는 다르다는 점을 이해해야하고, 재진술되어 문맥적으로 동일한 말이라면 모두 ‘use’와 반대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또 위에 열거된 모든 말이 문맥적으론 ‘use’와 대립되는 것이라고 이해하면서 ‘use’한다는 것이 구체적으로 어떤 뜻인지를 음미할 수도 있습니다.
칼럼 제작 |Team PPL 영어팀
제작 일자 |2022.08.08
Team PPL Insatagram |@ppl_premium
*문의 : 오르비 혹은 인스타그램 DM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러합니다...
-
여백에 회음후 열전 만년필로 필사했음 불려가는거 아니겠지 ㅋㅋ..
-
럭키 77 0
https://orbi.kr/00072740989/ 좋아요 77 캬 좀 더 글을...
-
어디갈까요 성적 최우선 다녀보신분들 장단점도 기술해주심 갬사하겠습니다..!
-
친척형이 준 국어의기술책인데, 친척형은 오래전에 수능봤어요 전 언어와매체 선택자인데...
-
아오오오오오오오 5
오니
-
모교 6모정원 60명이면 모집개시당일 마감일까요?? 0
그렇겠죠...?? 학교 특성상 학교응시n수생 60명 훨씬 넘을 것 같은데...
-
지금 페이스면 6모전에 딱 개념기출 1회독 할꺼같은데 속도 올릴까요?
-
현역 공부 효율 2
3모보고 멘탈 나간 이후로 공부가 잘 안되고,,, 원래 이정도로 수학이 안풀리진...
-
같은 문제라도 풀이가 ㄹㅇ 눈에 띄게 좋아졋군 상당히 좋군
-
난이도 어떤거같나요? 전반적으로 드릴345보단 쉬운거같은데
-
둗옹
-
독서 고1 기출 3
손실 보상 청구권, 실어증 얘네 풀어 보셨나요 하... 정보도 많고 용어도...
-
요즘 독감이 유행이래요
-
운문은 나름 치고 현대소설까지는 어떻게 어떻게 하는데 고전소설을 진짜 못 해 먹겠음...
-
사문 개념강의 다들었는데 다음 커리인 임팩트를 하는게 좋을까요 아니면 그냥 기출푸는게 좋을까요?
-
열 바로 내림 근데 열은 내려도 아직 힘드네
-
재수로 약대에 들어간 사람입니다. 현재 2학년인데 약대를 다닐수록 한번더...
-
깨달은거 3
학교서 눈마주치면 어색하게 지나쳐야되는 사람들이 꽤 잇다는거 학교생활하지도 않았는데...
-
뭐지진짜
-
생1이 탐구 17개 과목중에 3등급 맞기 제일 쉬움 그 이상은 근데 존나 어려움...
-
평상시에 속으로 혼잣말 많이하고 뭐 생각할때도 속으로 혼잣말 많이하고 공부할때도...
-
시모노세키 끝 11
이제 히로시마로
-
0.999...는 1이 아니다 141
0.999... = lim(x->inf),(1-1/10^x)...
-
대 재 호
-
ㅈ됨...
-
부엉이 갔냐? 3
굿다이노
-
2025학년도 단국대(천안) 입시결과(수시, 정시_의예, 치의예, 약학) 0
2025학년도 단국대(천안) 입시결과(수시, .. : 네이버블로그
-
지수법칙 외우라고 하는게 맞는거죠?
-
0이상 1이하의 선분에 존재하는 실수들은 선분을 이루는 점이라고 할수있음 그런데....
-
ㅠㅠ
-
또 줄었는데
-
0이상 1이하의 실수는 무한히 많음 0이상 1이하의 "선분"은 무한히 많은 점들로...
-
신촌 숨겨진맛집 11
?
-
짐 뺐네.. 정들었었는데 ㅜㅜ
-
3교시 수행 점심시간 축구
-
내가 제안서 초고까지 작성했는데ㅡㅡ 편안해지셨음 좋겠네요
-
그나마 사람글씨같다
-
독감 입갤 2
B형 독감이랍니다
-
영어노베 2
고삼이고 사등급 노베인데 대성 션티 커리 따라가고 있는데 단어를 너무 모르는 거...
-
헐...
-
이거 뭐냐 0
-
팔로우 박으세요 2
맞팔은 안해드립니다
-
확통작수6 아이디어 하고 있는데 제 수준에 기생집 4점 병행 하는게 맞ㄴㅏ요?...
-
꼴 9
-
오르비 굿나잇 3

오홍 이해가 되네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