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레린psy [271723] · MS 2008 · 쪽지

2022-08-03 13:33:55
조회수 4,917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831931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티어니 · 750936 · 22/08/03 13:34 · MS 2017

    저는 정신과의사가 가장 멋있는 것 같습니다

  • 井中蛙 不知大海 · 1158469 · 22/08/03 13:34 · MS 2022

  • THE UNIVERSE · 985780 · 22/08/03 13:34 · MS 2020

    멋쪄

  • 슈뢰딩거 고양이 · 770527 · 22/08/03 13:37 · MS 2017

    직업병같은게 있다면 어떤게 있으신가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4:58 · MS 2008

    딱히 없는 것 같습니다. 사람 만나면 힘든 얘기부터 물어본다는 점?

  • 개똥벌레래요 · 1069334 · 22/08/03 13:37 · MS 2021

    종합심리검사 결과가 아스퍼거 증후군이랑 Unspecified depressive disorder로 나오던데 후자는 정확히 어떤 우울증을 말하는 건가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4:59 · MS 2008

    다른 어떤 우울 장애(주요 우울 장애, 조울증, 지속성 우울 장애)의 진단 기준에는 해당하지 않지만 환자가 우울 증상을 호소하고 있고 이 때문에 직업적, 기능적 장해를 일으키는 경우를 뜻합니다.

  • 개똥벌레래요 · 1069334 · 22/08/03 15:00 · MS 2021

    그러면 엄밀한 의미의 우울증은 아니라는 건가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04 · MS 2008

    보통 가장 핵심적인 우울증은 주요 우울 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이고, 엄밀한 의미의 우울증은 아니라고 볼 수 있습니다.

  • 공대뉴비 · 1148290 · 22/08/03 13:38 · MS 2022

    첫사랑 얘기해주세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00 · MS 2008

    소녀시대..?

  • 永野芽郁 · 1130260 · 22/08/03 13:40 · MS 2022

    1. 실제로 정신과는 엄청 인기과는 아니더라도 매니아층이 확고한 진료과인가요?

    2. 정신과 의사분들은 타 진료과에 비해 워라밸이 좋은 것 같으신가요?

    3. 대병과 개업 시에 찾아오는 환자분들의 종류나 정도가 얼마나 다른가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01 · MS 2008

    1. 넹. 마음을 공부하는 사람은 주관이 뚜렷하죠. 하고 싶어하는 사람은 많습니다.
    2. 좋은 편인 것 같습니다. 수술과에 비해서는. 그래도 수술과도 레지던트만 끝나면 그냥 직장인입니다.
    3. 큰 차이 없습니다. 다만, 경도의 스트레스성으로는 대병까지는 잘 안 옵니다.

  • 제주한라봉 · 964756 · 22/08/03 13:41 · MS 2020

    열심히 공부하는데도 성적이 잘 나오지않아요... 어디가 잘못된건지도 모르겠고 저 자신이 작게만 느껴져요 이 무기력한 상태를 이겨낼 자신도 없고 더이상 해도 안될것같아요 주변에서 조금만 노력하면 된다고 조금만 더 하라고 부추기는데 전부 희망고문같아요 수능진짜코앞인데 어떡해요 저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02 · MS 2008

    공부는 계단식이라는 표현을 잘 아실 거라 생각합니다. 제가 위로같은 걸 할 수는 없고, 다만 지금부터는 뭘 틀리는 지에 대해서 아주 집중적으로 파고들면 어떨까 싶습니다. 모르는 건 틀리지만, 아는 건 틀리지 않아야한다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 아기세 .◟(∗❛ᴗ❛∗)◞. · 1114216 · 22/08/03 13:44 · MS 2021

    제가 요즘 복통+설사+식욕저하가 있는데 이거 동네병원갔다가 ㄱㅊ아졌다가 다시 안좋아졌는데ㅜ어케해야ㅠ하나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02 · MS 2008

    다시 동네병원을 가야 하지 않을까요??

  • 내사랑강아지 · 1072376 · 22/08/03 13:44 · MS 2021

    쪽지로 물어봐도 될까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02 · MS 2008

    넹~!

  • 악질유저 · 1106864 · 22/08/03 13:49 · MS 2021

    보통 진료하다가 가장힘든부분이 있다면 어떤점일까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02 · MS 2008

    환자가 쉽게 안 나아질 때, 정신과 질환인 줄 알았는데 다른 질환(암, 신경과 질환)일 때 등등이에요.

  • 악질유저 · 1106864 · 22/08/03 15:37 · MS 2021

    후자인 케이스도 있군요.. 신기하네요

  • 마싰는민쵸스무디 · 1104378 · 22/08/03 14:45 · MS 2021

    앞으로 전망이 어떠리라 생각하시나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03 · MS 2008

    수익성이 더 나아지진 않을 것 같지만, 전망은 나빠지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돈의 측면 말씀하시는 거죠?)

  • 마싰는민쵸스무디 · 1104378 · 22/08/03 15:39 · MS 2021

    정신과로서 봉직이나 개원시 자리가 어떤가 해서요ㅠ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52 · MS 2008

    지금은 호황기지만, 그 어느 과든 호황기와 불황기의 파도가 있습니다.

  • 나의오렌지나무 · 1111742 · 22/08/03 15:07 · MS 2021

    렉사프로는 신의약이예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08 · MS 2008

    다행이네요 약이 잘 맞아서!

  • 부산의예 · 906502 · 22/08/03 15:08 · MS 2019

    1. 페이 다른 의사랑 차이 없나용?

    2. 정신과가면 기록 남는다는 말이 있던데
    다른과랑 똑같이 보험 기록만 남는 거 아닌가요?
    주변에 취업제한 받을까봐 무서워하던데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11 · MS 2008

    1. 페이 다른 의사랑 차이 많죠. 의사는 과에 따라 페이가 천차만별입니다.
    2. 정신과 가면 기록이 남고, 다른과랑 똑같이 보험 기록만 남습니다. 취업제한 같은 거 없어요.

  • moigtt · 992394 · 22/08/03 15:22 · MS 2020

    의료인은 정신과질환이나 치료? 있으면 불이익 있지않나요? 국시합격후에 정신과상담후 제출해야 보건부에서 면허증 주는걸로아는데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30 · MS 2008

    잘못 알고 계십니다. 정신과질환이나 치료 병력이 있다고 불이익이 있는 게 아니라, 매우 심각한 질환(일상생활 불가, 타인에게 피해를 줄 정도로 의사 결정이 떨어지는 경우)의 경우에만 의료인이 될 수 없습니다. 국시 합격 후에 정신과 상담 후 제출하는 건 아니에요. 그냥 간단한 문진표 작성하고 이상 없으면 면허증 줍니다. 만약 정신과질환이나 치료 병력이 있으면, 나라에서는 다니던 의사한테 가서 소견서 떼오라고 합니다. 소견서 그냥 떼달라고 하면 아무 문제 없이 떼줍니다. 불이익이 있을 만한 질환은 조현병 정도입니다. 조현병이 심하면 의료인을 하기에는 어렵죠.

  • moigtt · 992394 · 22/08/03 15:48 · MS 2020

    그럼 정신과 기록같은 부담 전혀없이 진료받으러 가도되겠군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52 · MS 2008

    물론이죠! 잘 다녀 오세요 !

  • 김원근 · 1156237 · 22/08/03 15:10 · MS 2022

  • moigtt · 992394 · 22/08/03 15:20 · MS 2020

    시험용 인데놀 처방은 그냥 아무 의원이나 가서 받으면되나요? 다르게 추천하는 방법 있을까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5:31 · MS 2008

    저 방법이 제일 쉬워 보이는데... 그냥 내과나 가정의학과 가서 달라고 하시면 됩니다.

  • 앤서니 · 1071199 · 22/08/03 16:03 · MS 2021

    딱 원하고 있었는데 감사합니다 ㅠㅠㅠ
    제가 요새 심장 자꾸 떨리고 기뻤다 슬펐다가 심하게 반복되는데 조울증 의심해봐야 할까요?
    게다가 ADHD도 심각한데 부작용 무서워서 약을 못 먹고 있어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16:15 · MS 2008

    말씀하신 문장 가지고는 잘 모르겠어요. ADHD라고 느끼는 이유도 궁금합니다. 양상은 조울증보다는 공황 증상 같아 보이긴 한데, 의사를 만나서 면담을 통해서 파악하는 게 제일 중요하긴 합니다.

  • 앤서니 · 1071199 · 22/08/03 16:24 · MS 2021

    실제 병원에서 검사 받았는데 맞다고 하셨어요…ㅠㅠ 메디키넷 생각하고 있는데 수면장애나 우울증 생긴다던지 그런 게 두려워서요… 또 재가 장이 안 좋은데 소화불량까지 심각해질 수도 있어서…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23:06 · MS 2008

    한 번 시도를 해보고 수면장애나 우울증이 생기는 지를 보는 게 중요합니다. 써보고 효과 없이 부작용만 심하다면 약을 끊으면 돌아오니까요.

  • 토카엔시스 · 1154076 · 22/08/03 16:31 · MS 2022

    잘 오다가 갑자기 안 오면 어케 생각하세요?
    콘서타 백날 먹어도 별 차이 없기도 하고 공부도 안 해서 걍 안 가는 중..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23:06 · MS 2008

    어떻게 지내는 지 궁금한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 토카엔시스 · 1154076 · 22/08/03 23:33 · MS 2022 (수정됨)

    답변 감사합니다

  • 정신과으사가 꿈 · 1079640 · 22/08/03 17:04 · MS 2021

    그저...goat

  • 교대생이되고싶다 · 979020 · 22/08/03 17:07 · MS 2020

    우울증 진단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따로 정밀 검사를 하나요? 아니면 의사선생님과 면담을 한뒤에 선생님이 주관적으로 판단하시는건가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23:06 · MS 2008

    의사와 면담을 한 뒤 판단합니다. 심리 평가를 시행하지만, 보조적인 진단 도구입니다. 딱히 뇌의 기능이나 구조를 보는 검사는 없습니다.

  • 알랭바디우 · 1150779 · 22/08/03 21:32 · MS 2022

    최근에 이상증세가 나타나서 검색을 해보니 공황발작이랑 조금 증세가 비슷한 것 같더라구요 근데 공황이라기엔 좀 오래 지속이 돼서 알쏭달쏭 하네요 혹시 공황발작이 1시간 이상 지속될 수도 있나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3 23:07 · MS 2008

    공황 발작이 1시간 이상 지속될 수도 있습니다~!

  • puha1031 · 640715 · 22/08/04 20:10 · MS 2016

    조현병약은 평생 먹어야하나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4 21:06 · MS 2008

    꼭 그렇지 않습니다. 잘 지내면 끊을 수 있죠.

  • 명 경 지 수 · 515146 · 22/08/04 23:34 · MS 2014

    귀벌레증후군을 오래 앓고 있어서 정신과 방문을 고려중입니다. 이런 케이스로 내방하는 환자들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제가 알아본 바로는 강박장애 중 침투사고의 일종인 것 같은데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5 01:32 · MS 2008

    저도 겪어 봤지만, 딱히 정신과 약물로 도움이 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집중과 긴장과 불안의 문제라면 항불안제 사용을 고려해볼 수 있지만, 음악 듣지 않기, 껌 씹기, 소리내서 읽기 등 다른 방법으로 극복을 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 명 경 지 수 · 515146 · 22/08/05 01:39 · MS 2014

    혹시 항불안제의 간략한 원리가 어떻게 될까요 제가 이 증상을 6년 째 앓고 있어서요.
    정신과 외에 웬만한 시도는 다 해봤는데 해결되지 않네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5 08:49 · MS 2008

    항불안제는 GABA라는 수용체에 작용을 하는데, 쉽게 말해서... 그 수용체가 이완을 담당하는 신경이라서, 이완을 더 잘 시켜주는 효과를 보이게 합니다.

  • 카우닝스타 · 1111210 · 22/08/05 04:18 · MS 2021

    저는 인턴 관련 질문인데요
    군필이고 30살에 본과 4학년 졸업후 31살에 인턴 시작하면 정형외과 지원시 나이로인한 불이익이 있는지 궁금해요ㅜ 인기과는 보통 남자 레지던트가 26~27 이라고해서.. 주변에서 나이좀 있으신 분이 정형외과 가신 케이스 보신적있을까요?? 성적이 좋다면 충분히 커버가 가능한 나이대인가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5 08:49 · MS 2008

    전혀 없습니다. 군필이면 오히려 더 좋아하죠. 나이좀 있는 사람이 정형외과 간 케이스를 본 적이 있는 게 아니라, 넘치고 넘칩니다.

  • 찰 리 브 라 운 · 897311 · 22/08/05 04:22 · MS 2019

    1.정신과 인기가 어느정도일까요 ..? 성적이 어느정도야 갈수 있나용
    2.eating disorder 환자를 실제로 보신적이 있는지 궁금해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5 08:50 · MS 2008

    중간 이상은 하는 것 같습니다. 좋은 병원에서는 2~30% 안에 들어야 겠지요
    eating disorder 환자는 흔해서 많이 봅니다.

  • 찰 리 브 라 운 · 897311 · 22/08/05 11:20 · MS 2019

    주로 AN인가요 BN인가요??

  • 에레린psy · 271723 · 22/08/05 12:26 · MS 2008

    BN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AN도 있긴 한데, 잘 병원에 안 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