닥마 [994443] · MS 2020 (수정됨) · 쪽지

2022-08-03 04:04:29
조회수 20,424

[지구과학1] 엘니뇨-라니냐, 나올거 다 나왔을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829986

엘니뇨-라니냐 발생시 적도 인근 태평양 해역에서의 여러 편차 자료들.


수능 지구과학1을 준비하는 학생들이라면 이미 모두 공부했을겁니다.


그동안 나온 자료는


1. 무역풍 세기 편차

2. 워커 순환 세기 편차

3. 표층 해류 세기 편차

4. 동-서태평양 각각의 해수면 높이 편차 

5. 동-서태평양 각각의 해수면 온도 편차

6. 동-서태평양 각각의 따뜻한 해수층 두께(=혼합층 두께) 편차

7. 동-서태평양 각각의 수온약층이 나타나는 깊이 편차

8. 동-서태평양 각각의 구름의 양(=강수량) 편차

9 동-서태평양 각각의 강수량에 의한 표층 염분 편차

10.동-서태평양 각각의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 복사 E 편차

11. 동-서태평양 각각의 기상위성으로의 적외선 방출량(OLR) 편차

12. 동태평양에서 용승의 세기 편차

13. 동태평양에서의 영양염류량 편차

14. 동태평양에서의 용존 산소량 편차

15. 동태평양에서의 엽록소 농도 편차 


정도입니다. 이제 진짜 나올거 다 나온거 같지 않나요?

그러나.. 아직도 나올것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구글에서 'el nino anomaly'(=엘니뇨 편차) 를 검색하면 흥미로운 자료를 많이 찾을 수 있는데요.

(대부분은 영문 자료입니다만.. 요즘은 구글이 번역도 다 해주잖아요 ㅎㅎ)


개인적으로 향후 출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자료를 뽑아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대기 중 습도(혹은 수증기량) 편차 (Humidity) 

=직관적으로 느껴지시죠? 따뜻한 바닷물이 몰려있는 곳은 따뜻한 해수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대기 중으로 활발하게 공급되기에, 대기 중 습도가 높습니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따뜻한 바닷물이 몰려있는 위치가 평상시보다 상대적으로 동쪽으로 이동하니, 습도가 높은 영역도 상대적으로 동쪽으로 이동합니다. 이에 따라 동태평양에서는 대기 중 습도 편차가 (+), 서태평양에서는 대기 중 습도 편차가 (-)가 될 것입니다. 


2. 대기에서 지표로 방출 되는 복사 에너지(downward long wave radiation)

= 한겨울, 야간에 구름이 껴있으면 구름이 없을 때보다 상대적으로 따뜻하게 느껴졌던 경험이 한번쯤 있지 않나요? 구름은 지표쪽으로 복사 에너지를 방출할 수 있으며, 지구 열수지 단원에서 배우는 '대기에서 지표로 방출되는 복사에너지(대기의 재복사)' 중의 일부를 차지합니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구름대의 위치가 평상시보다 상대적으로 동쪽으로 이동하죠? 이에 따라 엘니뇨 시기에 대기에서 지표로 재방출 되는 복사 에너지 편차가 동태평양에서는 (+), 서태평양에서는 편차가 (-)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다르게 설명하면, 엘니뇨 시기에 따뜻한 해수의 영역이 평상시보다 상대적으로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동태평양 쪽에서 대기 중 수증기가 평상시보다 증가하게 되고,  수증기는 대표적인 온실 기체 중 하나이기 때문에 동태평양 쪽에서 수증기로 인한  온실 효과가 증가하여 대기의 재복사가 증가한다고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3. 대류권 오존 농도 편차(→ 출제 확률 낮음.)

=성층권에는 오존 농도가 높은 영역인 오존층이 존재합니다. 하지만 성층권에만 오존이 있는 것은 아니고, 대류권에도 성층권보다는 훨씬 적지만 오존이 존재하는데요. 오존층이 성층권에 존재한다는걸 생각하면, 대류권에서는 상층으로 갈수록 오존 농도가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상승 기류가 발생하면 대류권 하층에 있는, 오존 농도가 낮은 공기가 상층까지 수송되기 때문에 상승 기류가 활발한 영역은 대류권 내 오존 농도가 좀 낮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그런데 엘니뇨가 발생하면 상승 기류가 활발한 영역이 평소보다 동태평양쪽으로 이동하게 되니, 대류권 오존 농도 편차가 동태평양 쪽에서는 (-), 서태평양 쪽에서는 (+)가 나타나게 됩니다.


다만, 오존 분포에 대한 배경 지식이 필요하기 떄문에 이 부분은 출제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합니다.

자료에서 어떤 설명을 해준 뒤 추론하게끔은 출제할 수도 있겠지요.



일단은 여기에서 글을 줄이도록 하겠습니다. 

추후 또 엘니뇨-라니냐에 관한 흥미로운 자료를 발견시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