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황형님들 곱함수 미분가능서 인수..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787359
X=a서 미분 불가인 함수에 다른 함수를 곱해서 미분가능으로 만들려면 x-a 인수를 2개 이상가지면 되는거맞나요?? 2개 이상가질때 미분하면 도함수도 a에서 0이기 때문도 맞나요..??? ㅇ ㄴ 으로만 대답해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787359
X=a서 미분 불가인 함수에 다른 함수를 곱해서 미분가능으로 만들려면 x-a 인수를 2개 이상가지면 되는거맞나요?? 2개 이상가질때 미분하면 도함수도 a에서 0이기 때문도 맞나요..??? ㅇ ㄴ 으로만 대답해주셔도 감사하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네
ㄴ
아니면 혹시 뭔가요 ㅠ
하나만가져도됨요
x=a에서 불연속인 함수에 어떤함수 곱해서 미분가능하게 할때 (x-a)가 이차 이상이여야 하는거고..
결과적으로 두개를 곱했을때 총 인수가 2개 이상이면 된다는거죠????
직접 해보시는게 빠를텐데
Ix-aI 라는 함수랑 실수전체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f(x)랑 곱해서 실수전체에서 미분가능하려면 f(a)값이 어떻게 되어야하는지 관찰해보셈
절댓값으로 그래프 그려가며 연속 불연속 다 확인해보니 이해했어요 감사합니다
불연속일때와 연속일 때가 달라요~
봐야알수잇음 갯수만 따질순없고
덜흉악 흉악 개흉악
극한값이 존재하지 않는 불연속이면 2개, 극한값이 존재하지만 함숫값과 극한값이 다른 불연속이면 1개, 연속이면 1개.
그래프 관점도 좋지만, 정직하게 식으로 곱함수의 미분법 한 다음에 a대입에서 원리를 파악하는 것도 좋은 방법.
미분계수정의 쓰는게 제일 낫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