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피셜, 한국의 국제경쟁력 = 아시아 8위 ?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745350
스위스에서 평가한 아시아 국가의 국제경쟁력 Top 10
1 싱가포르
2 홍콩
3 대만
4 아랍에미리트
5 중공
6 카타르
7 사우디아라비아
8 한국
9 바레인
10 말레이시아
출처 >>> https://youtu.be/JvnD3ErjjQE
원래 아시아 금융의 중심지였던 홍콩이 중공 치하에
들어가면서 싱가포르가 새로운 금융 허브로 자리잡은
듯 하네요. 그리고 여기에 일본이 없는 것을 보면 아
마도 일본은 유럽으로 분류하는 듯 ?
위 링크 채널의 '영국에서 예측한 2036년 세계 경제
Top 15 ( >>> https://youtu.be/du07JHKIIkM )'
영상을 보면 한국은 12위 (현재 10위 -> 미래 12위),
인도네시아가 8위 (현재 16위 -> 미래 8위) 로 예상
되고 있어서 전망이 좋진 않네요.
10위나 12위나 그게 그거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한국이 점점 더 성장 동력을 잃고 후발 주자인 인도
네시아가 한국을 추월하게 될거라는 사실이 한국인
입장에서 안타깝네요. 뭔가 변화가 있길 기대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일 사람 많을까요? 아님 목요일에 갈까여 하루종일 갈 거예요 눈치게임ㅠ
일본은 11위라서 안 나오는 겁니다.
참고로 2036년 기준 일본은 5위임
ㅈㄴ 잘못된거같은데 사우디가 뭔 7위임
감 다 뒤졌네ㅋㅋㅋ사우디 국가산업 ㅈ도 없고 오일머니로 돈만지고 복지 펑펑해서 국민들 ㅈㄴ 게으르고 무직자 많고 힘든거 안할려해서 외국인 노동자가 하느라 국부유출 ㅈㄴ되고 심각하던데 왜 7위냐
그만큼 석유 장사가 진짜 남는 장사인 것 같네요. 오일 원툴 !
미국 셰일가스 개발하면서 사우디 버린거 모름? 원래 버렸다가 요즘에 잠깐 미국이 사우디 ㄸㄱ빨아주고 있고 점점 OPEC의 중요도가 떨어지는 중인데 심지어 친환경 에너지로 가면서 석유는 버려지는데 사우디가 7위가 납득이 안되는데
위 영상 보시면 관련 출처 링크 같은 것들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일반적으로 이런건 기준을 어떻게 잡느냐에 따라서 순위 변동이 어느 정도 있을 수 있으나, 크게 보면 대체로 맞을겁니다.
보고왔는데도 이해가 안되는데요 제가 말한게 크게 본거 아닌가요? 어떻게 봐야 크게 보는건가요?
한국이 점점 더 성장 동력을 잃고 후발 주자인 인도네시아가 한국을 추월하게 될거라는 사실이 한국인 입장에서 안타깝네요.
<<<사실이 아니라 추측이죠.
미래는 어떻게 될지 아무도 모릅니다.
저 프사에 저런 워딩은 뭐 과학 아님?
그렇게 생각하시려면 그렇게 생각하시구요.
물론 그렇죠. 그래서 '뭔가 변화가 있길 기대합니다' 라고 했습니다.
인구때문인가? 아무리 그래도 대만다음은 될꺼 같은데
미래라 그런지 대략적인 기준인가보네욤
일본이 없다는 시점에서 말이 안 되는데
일본을 유럽으로 분류하는것도 에바고
그런데 실제로 서구 쪽에서는 일본을 유럽과 비슷하게 취급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저거 영상 보니 일본을 11위로 평가하는거 보면
그냥 무시해도 될거 같아요
아직까지 세계 3위의 대국을 아시아 내에서도 11위로 표현하는거 자체가...
저 역시 저 영상처럼 안 되었으면 하는데 한국의 성장 동력이 점점 약화되는 것은 사실이고, 일부 분들의 반응처럼 인도네시아가 한국을 추월하게 될거라는 예상에 단순히 발끈할 것이 아니라 그와 같은 미래가 오지 않도록 우리 모두 변화의 노력이 필요하지 않나 싶어요.
인도네시아 발전가능성 높죠.....
아무튼 인구가 중요하긴 한듯
대뜸 지랑 의견 안맞는다고 연예인 프사 달고 와서 시비가는 인간 수준 진짜ㅋㅋㅋ
커뮤하는 애들 수준이 그렇죠 뭐 이해해주세요
저거 영상 만든 사람 인도네시아인인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