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수 언매러가 화작 풀어보고 다 맞은 후기 - 사고의 흐름 (35~37)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717229
전 글에서 썼다시피 작수에 화작을 선택했더라면 점수를 조금이라도 더 올릴 수 있었을까....? 하는 차원에서
작년 수능 화작을 풀어봤더니 21분 걸리고 (물론 작수 언매도 현장 20분 걸렸던...) 다 맞았더군요
뭐 결코 자랑은 아니지만, 한 분 정도는 사고의 흐름이 궁금하시지 않을까 싶어서 어떻게 풀었나 써보겠습니다!
물론 국어 허수니까 그냥 가벼운 마음으로만 읽어주시길.... 틀린 방법일 수도 있어요 ㅠㅠ
우선 지문부터 봐봅시당
이 친구가 뭘 하고 있나요? '음식디미방' 으로 밑밥을 깔고 '석류탕'과 '난면'을 소개하고 있네요!! 여기서 모든 세부
내용을 털지는 않고, 발표 주제와 1문단 마지막의 '순서'를 좀더 집중해서 기억해두고 다음 문단으로 넘어갔습니다.
그 다음에, 먼저 석류탕을 소개하고 있네요. 여기서 크게 눈에 띄었던 것은 청중한테 질문을 하는 과정과, 화면을
활용해서 질문을 하고 상호작용하는 과정입니다! 화작 기출문제들을 보면 항상 이러한 대목이 등장하고 대체로
문제화 또는 선지화되더라구요. 그래서 저는 화면과 석류탕을 중점으로 기억해두고, 석류탕 만드는 방법을 물어볼
것 같지는 않으니까 가볍게 읽고 난면으로 넘어갑니다!
난면에서도 마찬가지로 '화면'을 사용하고 있네요? 얘가 뭔가 문제화되기 좋으니 좀더 집중해서 읽고 넘어갑니다!
마지막 문단에 가서는 '음식디미방' 중의 두 음식을 소개했다고 하고, 두 요리가 어육류임을 언급하고 마무리를 짓
네요. 즉, 글의 거시적인 구성을 크게 보자면, '발표 주제 소개 (음식디미방) - 소재에 대한 소개 및 정의 - 두 가지의
예시를 정해서 각각 순서대로 소개하기 - 마무리하기' 구성을 띠고 있네요 ㅎㅎ
저는 35번 선지를 이렇게 판단했습니다.
1번 .... 중간중간 요약...? 일단 아리까리하니까 다른 확실한 것부터 조지자!
2번 .... 두 음식에 대해 >> '대해'가 틀렸네요! 두 음식을 소개하고 다른 음식을 소개하는 것을 권하고 마무리하는군요
상식적으로 두 음식에 대해 소개할 것이었으면 초점을 음식디미방이 아니라 음식 자체에 두었을 테니까요!!
3번 ... 조리법을 활용하여 >> 음식디미방과, 대표적인 예시 두 가지 음식을 소개하는 것이 글의 주요 내용입니다!
따라서 활용하여 다른 음식을 만든다는 내용은 주제에도 어긋나면서 동시에 글에도 없죠 ㅎㅎ
4번 ... 발표자 자신의 경험과 관련하여 발표 주제의 선정 동기를 밝히고 있다 >> 얘가 정답인데요
일단 발표 주제가 '음식 디미방'이고 이를 소개하는 글이죠? 그러면 소개하는 단락의 앞 부분을 봐봅시다. 17세기의
우리 음식 중 흥미로운 음식을 발견했다고 하네요 ㅎㅎ
경험과 관해서 선정 동기를 밝힌 것 맞네요!
5번 ... 역사적 가치 >> 책이랑 아예 무관한 내용입니다!
35번을 푼 방식은, 글의 큰 구조 / 주제 / 발표 방식 을 염두해두고 어긋나는 것부터 지운뒤, 남은 것들의 세부 사항을
체크하는 그런 방법입니다!!
36번은 문제 발문의 '발표 전략'에 초점을 두었습니다. 우리가 수업시간에 발표할 때에도 무지성으로 발표하진 않고,
대충 이 단락은 이렇게 도입하고 이렇게 소개하고 진행해야지~ 하는 정도의 생각은 하잖아요? 제가 이 학생이 되어
발표를 한다고 마인드콘트롤을 해본 다음, ㄱ~ㅁ의 틀을 속독한 후, 글에서 중요할 것 같다고 생각한 부분을 연결
지어 판단하는 방식으로 풀었습니다!
1번 ... 목적이 정보 전달이라네요, 음식 디미방과 두 음식을 소개했었ㄱ, 선지도 그와 관한 것을 물어보고 있네요!
2번 ... 제가 아까 화면이 중요할 것 같다고 말했죠? 우리가 ppt로 음식 발표하는 장면을 상상해보세요. 음식을 소개할
때 말로만 설명하는 것보단 사진을 첨부하는게 이해에 쉽죠! 발표자도 두 음식에 대해 그런 전략을 사용했고 실제로
그와 관한 내용을 선지로 물어보고 있네요.
3번 ... 책을 잘 알지 못할 것이라 했으니, 이 책 아냐고 물어보고 추가 설명을 하겠죠? 얼핏 맞는 내용이 있는 것 같
았네요 ㅎㅎ 돌아가서 확인해보니까 실제로도 그렇게 하고 있구요!
4번 ... 3번과 비슷한 맥락인데, 음식디미방이나 과거의 음식들에 해박한 친구들이 많지는 않겠죠? 그런 친구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발표자는 석류탕을 발표할 때는 석류 이야기를, 난면을 설명할 때는 한자어 하나씩 설명하고 있
네요 ㅎㅎ
5번 ... '순서나 분량'이 해석의 틀이죠? 그러면 아까 글에서 체크한 순서를 기억해봅시다. 석류탕을 먼저 소개하고
난면을 소개하겠다고 하고, 실제로도 그렇게 했네요! 그런데 '도입부에서 안내한 발표 순서를 바꾸어' 라는 선지는
아니지 않나요? 그냥 소개한 순서대로 진행했는데!!
37번은 문제 발문의 '듣기 방식'에 집중하였습니다. 화작에서 자주 나오는 '듣기 방식'은 보통, 발표를 듣고 새로운
정보를 알게 되었다던가, 뭐 성찰을 하게 됐다던가,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이랑 합쳐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었다던가
하는 것들이 있죠!
학생1은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꿩고기가 구하기 쉬웠을 것이라는 추측을 하고 있네요!
학생2는 내가 아는 만두 만드는 방법이라는 기존의 배경지식과 발표로 새로이 알게 된 지식을 비교하고 있네요!
학생3은 학생1과 마찬가지로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고기를 핵심적인 재료로 간주해서 분류한 것 같다는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학생1과 학생3은 발표 내용을 바탕으로 '추측'을 하며 듣고 있네요?
37번에 4번 선지를 보시면 '모두 발표 내용과 관련하여 발표자가 언급하지 않은 내용을 추론'하며 듣고 있다고
바로 나와있네요! 이렇게 세 학생의 수용 태도를 점검하고 비교 / 대조하여 먼저 정답을 걸러낼 수도 있습니다!
그럼 이제 오답이 왜 틀렸는지 체크해보죠!
1번 ... 학생1이 내용이 정확한지 평가했나요? 아니요 추측만 했죠! 그러니 틀렸구...
2번 ... 학생2는 학생1과 달리 자신이 알고 있는 조리법과 비교하여 >> 여기까지는 맞네요!
그런데 제시된 정보를 '사실과 의견'으로 구분했나요? 그러한 대목은 나타나 있지 않네요!
3번 ... 학생2가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무언가를 만든 것은 맞지만, '예측'은 아닙니다! 그냥 발표 듣고 나서
자기가 알던 내용이랑 비교를 한 것이죠!
5번 ... 학생3이 사전 경험을 바탕으로 들었나요? 게다가 효용성을 점검한다는 대목도 나타나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사고의 흐름으로 화작을 풀었습니다! 생각보다 쓰는게 손이 아프네요.... ㅋㅋㅋㅋ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수학나형 백분위 92 3등급 이거 뭐임 백분위 92가 3등급인 시절이 수능 역사상 있었음?? 뭐지
-
이감 중요도 몇회차에 들어있어요??
-
언젠간 되긴 할텐데
-
작년에 사놨는데 그냥 써도 되려나..
-
내가 글쓴거보면 0
글쓰기가 아니라 글싸기인듯
-
그래도적당히했네 2
에휴이
-
비문학 연습용으로 10
리트나 경찰대 풀어보는거 도움되나여?
-
ㅠㅠ
-
빵수
-
진짜로 미확 만표가 1점 차이난다고? 내가 이 1점을 위해서~~~?
-
다음주 금요일부터 해야할듯...수12확통인데 강의수도 엄청 많던데 할수있을까요..
-
뭔가 사문처럼 그 개념은 @@이다. 딱 이렇게 정의 내려지는게 아니라 이 사상가...
-
맛저하세요 11
초록이는 맥주
-
피곤해서 1시간 반동안 쳐잤네 엄 간게 어디야 한잔해~ 그래도 남은 한시간 반동안...
-
5월 모고 성적 언매 100 1 미적 70 2 영어 70 3 물2 20 4 생2 20 4 보여준다
-
4규 정답률 75정도 이해원 7개 중 1,2개 틀림 드릴 잠깐 봤는데 어려워보이던데...
-
사실 사교육만 없어져도 대한민국의 사회문제 대부분이 해결될 가능성이 큼 10
일단 대한민국의 사회문제라고 하면 1.저출산,고령화 2.사교육 3.높은 학구열&...
-
도저히 영어는 못하겠다 하기싫어
-
여중생같은데 번따해도 되나? 일단 챗지피티한테 물어봤는데 법적으로는 상관없다는데 ㅇㅇ
-
선동 3
앉은서
-
이건 무슨병임? 의대가면 배우냐?
-
큐브 0
어려운 문제 줘놓고 20분 제한은 마치 싸이버불링 당하는 기분임
-
독재 하 2
존잘남 옴 큰일났다
-
수학 엔제들 회독하시나요 아니면 한번풀고 오답만 정리하시나요??? 18
가격이 너무 비싸네요 어떻게 하시나요???
-
심천지분들 6
애필로그 끝까지 다 사실건가요..? ㅎㅎ..4시킬까 말까 ㅔ고민중
-
민주당 집권하고나면 여자랑 원나잇 하는거 조심하셈 이번 동덕사건만 봐도 성범죄...
-
머구러셀 문이과통합 34등 ㅁㅌㅊ?
-
어떤 책으로 하는게 좋을까요? 1ㄷ1 과외중인데 선생님이 책 정해오라고 하시네요...
-
만약에 내 이상형 앞에있으면
-
180석쳐먹어ㅛ던거 생각하면 절대아닌가
-
ㅇㅇ
-
개념완성 강의 필기 차이 많이 나나요 ??
-
공부좀해볼가 12
실력발휘좀 해볼가 안할레
-
나도 실모풀래!
-
11일차 0
화작을 하기로 했어요
-
냐옹
-
잘하게된 강사 누구잇나요???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화학 타임어택 2
화학 3페이지까지 몇분안에 끊는게 정배임?
-
20250522 2
중요한 건 꺾이지 않는 마음이다
-
지듣노 2
:]
-
아님 예쁜사람들만 클럽가서그런거임? 코박죽할때마다 표점 5점씩 올라가도 할듯
-
폰캠ㅈㅅ 풀때 이상해서 넘어갔는데 암만 풀어봐도 AB 길이가 4가 넘어서 성립을...
-
심찬우 기테마 3
1.0 이랑 2.0 난이도 차이 있나요? 뭘 더 추천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개념은 잘 쌓이고 있는데 그 이상으로 나가는게 많이 힘들어서 개념 공부에 더해서...
-
강철중 어떤가요 0
번장에서 돈주고 사려는데 퀄 ㄱㅊ나여 아님 시중 엔제 다른게낫나요
-
과외 끝 2
이제 술마시러 가보까?????
올해 화작치시나여

올해 수능 안 봅니다 하하...
몬가 독서처럼 뒷문장을 예측하시며 푸시는군요 경중을 따지며 보기도 하고... 도움은 될것 같아요 어려워진 화작에서는 시간을 오래 공들여 쓰는 독해가 필요할지도
아마도 작수 화작이 어려운 이유가 독서랑 비슷해서 그런 것 같은데, 절대적인 방법은 아닙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ㅎㅎPtsd온다.. 화작 처음 틀려본
전 대신에 작수 언매를 3개 틀렸어서... 공감합니다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