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날개달린돼지 · 972243 · 22/07/25 10:11 · MS 2020

    첫문장 - attention이 제한되는 방식은 selective motivation과 관련이 있다

    7째줄 후반부터 - self-concept의 보호, 보전이 주요한 motivation이다

    >> attention의 제한은 self-concept와 관련이 있다

    보기 3번 - (보기)selective use of attention = (지문)a way in which attention is limited, for = 관련있음, (보기)fostering positive self-concept = (지문)self-concept 보호, 보전

  • loverain · 1136241 · 22/07/25 10:14 · MS 2022

    attention이 제한되는 방식이 1번의 self regulation 이 아니라고 할수 잇는 근거가 잇을까요?
    저도 3번인거 같긴 한데 1번이 틀리다고 말하기가 좀 그래요..

  • 날개달린돼지 · 972243 · 22/07/25 10:26 · MS 2020

    self regulation이라는 말이 좀 뜻이 포괄적이어서 애매하네요
    그래도 후반부에 in general 부터 사람들이 attention을 어디에는 낮은 우선순위를 두고 어디에는 대부분의 attention을 쓰고 하는게 선택적인 사용하고 제일 잘 맞는다고 생각해요

  • 날개달린돼지 · 972243 · 22/07/25 10:31 · MS 2020

    그나마 1번이 틀렸다는 근거를 찾자면 role of self-regulation이 직접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는거가 있겠네요?
    self-regulation이 "어떻게" self-concept를 보존하는 역할을 하는지요
    (이건 저도 확실하지 않네요 이미 3번을 답으로 확정하고 보는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