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산고잚은이 · 1140862 · 22/07/11 16:51 · MS 2022

    세금낭비니까요

  • 이제이제이재명 · 832571 · 22/07/11 16:53 · MS 2018

    이제 노잼이에요

  • 부끄러운 줄 알아야지 · 1142528 · 22/07/11 16:54 · MS 2022 (수정됨)

    오늘 신검받고 ㅈㄴ 현타왔음
    강제징용되는 것도 슬프고
    거기서 사고날까봐 걱정도 되고
    군대간다고 조롱하는 놈들도 있고..

  • 포카칩난만한 · 1079640 · 22/07/11 16:55 · MS 2021

    1등시민이니까여

  • 온대저기압 · 1153593 · 22/07/11 17:31 · MS 2022

    세줄요약
    1. 과거 서양 남성은 징병이라는 의무로 국가로 부터 시민권을 얻었다
    2. 공화정의 성립과 사회 변혁으로 모든 사람들에게 시민권이 주어졌고, 여성에게도 주어쟜다
    3. 그 과정에서 여성은 징병이라는 의무를 안챙겼으니 시대의 흐름에 따라 결국 여성도 징병을 하게 될 것이다


    두 가지 측면이 있는데 하나는 여성을 국민으로 인정하지 않았던 과거의 잔재이고 또 다른 하나는 그 잔재를 치우고 싶어하지 않는 정치인들과 여성들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한중일에도 전통적으로 징병제가 있었지만 권리와 의무의 측면에서 접근하려면 아무래도 서양이 적절하죠
    서양에서는 징병제를 실시하면서 "너 군대 가서 개고생하면 대신 시민권과 자유권을 줄게" 이런 식의 권리-의무 관계를 형성했습니다

    시간이 지나 왕정이 무너지고 공화정이 들어서면서 모든 사람들이 시민권을 갖게 되었고 징병제가 같는 이점이 사라졌죠
    그럼에도 국가는 군사가 필요하니 민족주의 국가주의 등등의 애국심을 비롯한 프로파간다로 유지해왔습니다
    나라마다 차이는 있지만 프랑스는 공화국 시절에도 국민개병제로 엄청 징집했습니다

    또 다시 시간이 지나 여권 신장이 이루어져서 여성에게도 시민권, 투표권, 참정권 등등 성인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요구했고, 사회는 이에 응해 변화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과거 성인 남성들이 권리를 얻은 방식인 징병제는 청산되지 않았죠
    이에 따라 저는 여성 징병제가 인구 부족 측면에서나 권리-의무 측면에서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이루어 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