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1] 7월 학평 11번 문제에 대한 소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485845
논란이 되는 문제입니다. 지구과학을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개인적으로도 출제자의 의도가 과연 무엇일지를
장시간 고민하게 만든 문제인데요.
(가), (나)의 현재 혹은 팔레오기 구분이야 늘상 우리가 배우는 대서양 심층 순환 단면을 떠올리면 충분히 맞출 수 있지만
문제는 ㄱ. 보기 때문입니다.
일단, 자료 해석으로 해결할 수 있는 선지인지의 여부를 떠나서 제가 판단한 출제자의 의도는 자료 해석으로 낸 것이 아닌, 그냥 팔레오기가 현재보다 기온이 높은 걸 알고 있는지, 혹은 추론할 수 있는지입니다.
그렇게 판단할 수 있는 근거는 두 가지가 있습니다.
일단 첫번째, 가장 단순한 이유인데요. 해설지에 그렇게 쓰여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자료에서 어떤 정보를 얻어내어 풀길 의도했다면, 해설지에 그 논리가 설명이 되어 있어야 하지만 해설지는 '그냥 팔레오기가 현재보다 평균 기온이 높음' 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자료 해석 유형의 문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뒷구르기를 하면서 봐도 그 자료가 논란의 여지없이 깔끔하게 묻는 바에 대한 결론이 나오는 자료여야합니다.
허나, 심층 수괴가 형성되는 위도대나 남극 중층수를 비교하면 (가) 시기가 침강이 약한 듯 보이지만, 남극 저층수를 비교하면 오히려 (가) 시기가 침강이 더 강한 듯 보이기 때문에 해석의 여지가 있는 이러한 자료를 두고 자료 해석 유형의 문제를 출제했다고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 선지의 의도는 자료와 별개로 팔레오기의 평균 기온을 알고 있거나 혹은 추론하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선지가 추론 가능한 논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중생대의 평균 기온이 현재보다 현저하게 높다는 사실을 교육과정에서 굉장히 중요하게 다루며, 팔레오기는 중생대와 현재의 사이, 그 중에서도 중생대 직후에 해당하는 시기이므로 당연히 평균 기온이 현재보다 높을 수 밖에 없다."
물론 우리는 교육과정에서 "제 4기"에는 여러번의 빙하기와 간빙기가 반복된다고 학습하기 때문에 제 4기를 해석함에 있어서는 이런 '평균의 논리'가 위험할 수 있지만, 팔레오기는 이런 이변이 일어난 시기가 아니므로, 평균의 논리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아마도 이것이 출제자의 의도와 가장 가깝다고 생각하며
그래서 ㄱ. 선지가 (가)에 해당하는 시기와 (나)에 해당하는 시기의 '평균 기온'을 묻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 그렇다면 팔레오기의 평균 기온이 현재보다 높았는지 어쨌는지를 떠나서
문제의 (가)와 (나)는 도대체 어떤 상황인걸까요?
해당 그림의 출처는 다음 문헌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유명한 문헌이 아니라서인지 찾는데 시간이 굉장히 걸렸습니다.
http://www.landscapesandcycles.net/antarctic-refrigeration-effect.html
(아래 그림은 시간순의 역순이니 유의 바랍니다.)
이 논문을 읽어보면 재밌는 사실을 알 수 있는데요.
1. 팔레오기 이전에는 남극 저층수나 북대서양 심층수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위 논문 그림의 맨 아래 그림이 남극 저층수가 형성되기 이전의 대서양 단면입니다.
WSDW는 남극 저층수나 북대서양 심층수 이전에 다른 이유로 존재하던 수괴입니다.
2. 팔레오기에 접어들며 대륙 분포가 바뀌며 남극 순환류가 생겼고, 이 남극 순환류가 남극으로의 열수송을 막게됩니다.
남극 순환류는 남극 대륙으로의 열 수송을 방해하여 남극 대륙의 기온을 낮추는 역할을 합니다.
해당 개념은 교과서에 직접 설명되어 있진 않지만, 이전 교육과정 EBS 연계 교재에서 출제된 바 있습니다.
여튼, 중생대 직후에는 원래 전 지구가 매우 온난했고 남극이나 북극에도 빙하가 거의 없었습니다.
그런데 팔레오기에 남극 순환류가 형성됨에 따라 남극 대륙의 기온이 무척 낮아졌고 이로 인해 남극 대륙 주변의 해수가 냉각되고 결빙되며 밀도가 커져 가라앉은 것이 오늘날의 남극 저층수가 됩니다.
그리고 그때의 모습이 (가) 그림의 상황입니다.
놀랍게도, (가) 그림에서 오늘날 북대서양 심층수 자리에 있는 그 수괴는 북대서양 심층수가 아닙니다!
3. 남극 저층수는 바다 밑바닥을 지배하며 심층 해수를 전반적으로 냉각시키고, 냉각된 심층 해수는 용승으로 인해 다양한 위도에서 표층으로 퍼올려지며 전지구적으로 기온을 낮추는데 기여합니다.
(가) 그림을 보면 알 수 있다시피, 당시에는 남극 저층수가 북반구 고위도 까지 넓게 퍼졌고 심층 해수를 냉각시키는데 기여합니다. 그리고 그렇게 냉각된 해수는 용승으로 인해 표층으로 퍼올려집니다. 용승한 심층 해수는 그 주변 기온을 낮추는데 기여합니다.
이는 남극 대륙의 냉각 효과로 인해 차가워진 바닷물이 그 '냉기'를 전 지구적으로 분배하게 되었다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무엇을 알 수 있느냐면 팔레오기에 기온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낮아지는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심층 순환 분포 변화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팔레오기의 기온과 심층 순환을 아무 근거없이 무지성으로 연결지은 것은 아니었네요.
4. 위와 같은 이유로 전 지구적으로 기온은 낮아졌고 그러다보면 비로소 북극해 인근도 빙하가 형성될 수 있을 정도로 냉각됩니다.
그리고, 그렇다면 북극해 인근에서도 이제 심층 수괴가 형성될 수 있게 되겠죠?
그리하여 형성된 것이 바로 북대서양 심층수입니다.
북대서양 심층수의 흐름이 새로 생겨남으로 인해 남극 저층수는 밀려나서 그 영역이 축소됩니다.
그리고 (나)와 같은 분포, 즉 오늘날과 같은 분포를 이루게 되지요.
그리고 현재와 같은 분포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심층의 해수들은 지속적으로 냉각되었고, 그로 인해 표층수의 영역이 좁아졌다고 합니다.
(표층의 따뜻한 물과 심층의 차가운 물의 경계인 수온 약층이 얕아졌다고 표현합니다.)
따라서, 표층수의 넓이를 통해 자료 해석으로 문제를 해결하셨다면 결과적으로는 옳은 자료 해석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앞서 말했듯 출제자의 의도가 그것은 아니었다고 생각됩니다.
교육과정 외로 시험에 직접 나올 내용은 아니지만 (가)와 (나) 그림을 온전하게 이해하고 싶은 학생들이 있다면 도움이 되었길 바라겠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9모기준 공통 객관식은 10번까지 다맞고 15찍맞 주관식은 202122빼고 다맞음...
-
확통 0
확통 뉴런안하고 수분감 시발점만 해도 다 맞을수 있나요
-
생2 지1 할 생각인데 괜찮을까요? 생2 하기에는 자료도 별로 없고 현역이 하기...
-
현역때 1이었는데 원래 역덕이 아니라 다 까먹었네요 9모 동사 2틀(중도,...
-
이번 9모 2
사설식이 정말 많네 초지엽에 특정 포인트 저격, 말 돌리기 등등... 9모랑 수능...
-
100991100100이라고해줬으니까 믿는다
-
씁 내가 이실력은아닌거같은데 일주일전에 친 이투스8월은 무보정1이었는데뭐지시발 ㅇ?
-
9모때 한 실수는 또 안할거 아니야 에이 설마
-
기운엄ㅅ어 2
으에ㅔ
-
확통 뉴런 1
확통 시발점+수분감만 하고 뉴런 안해도 다 맞을수 있나요?
-
그래서가고싶다
-
기하가 미적보다 표점 높을수도 있을듯
-
이륙글의 40분컷은 30문제를 염두해두고 한말이었는데 9
저는 30문제 다푸는데 27분정도 걸렸긴 했습니다 근데 어.. 여론이 좀 다르네요
-
도망치고싶다
-
문학 대체 뭐임 0
24수능급인데.. 내가 연계 공부 아예 안 해서 어려운 거임?
-
글 못읽는애들 아웃시키는게 꿀잼이노 정법화되가네
-
수1도형, 수열 너프 씨게 들간 시점에서 수1으로 변별하는데는 한계가 잇기때문에...
-
불편해죽겠네
-
조언좀 1
가장 높은 최저 목표가 3합 6 지구 그냥 때려치는 게 나을까요?? 절대적인...
-
원점수 등급 3
메가 스터디에서 채점햇을때 등급은 4인대 원점수는 3컷에 걸치는데 뭐로 보는겅가요 잘 몰르겟어요 ㅠ
-
집가야겠다 2
오공끝~!!
-
9모 3
언매 5 38 에이씨 나쁜놈 물2 화2는 1컷 50 47일 줄 알았는데
-
최악이다 0
아 진짜 실모보는거 촤근에 점수가 다 좋게나와서 9평도 이정도는 받아야지 하는...
-
원광치 지역인재 종합 3합6 원광한 지역인재 교과 3합5 조선치 지역인재 교과...
-
국숭세단까진 가는데 건동홍부터 빨간 불 뜨네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
제가 처음에는 독서를 못했어서 독서를 잘하게되면 문학 점수는 따라온다 생각하고...
-
과기대 가능 가천대 가능 인천대 안정 이렇게 뜨는데;;
-
jun or not!!!!!!!
-
포스텍 일반전형2 / 최저: 2합4(수학 필수) / 면접: 생기부연세대 진리자유학부...
-
생윤 근데 2
10번이랑 13번 (미랑 니부어)은 맞췄는데도 모르겠음 역호머하면 4뜰듯
-
진짜ㅈ댓습니다 0
화작 84 확통 70 영어 89 (ㅗ) 사문 34 세지 11 현역이고...
-
이번 수능까지 딱 71일 남았습니다. 이 짧은 기간 동안, 여러분은 단순히 모의고사...
-
35679모 국어 11121 영어 33233 인데… 영어가 해석이 하나도 안돼요ㅜㅜ...
-
여태까진 3~4는 나오길래 안심했는데 좀 어려워지니 바로 15점... 강의 긴거...
-
수학15번 극값 2, 6에서 가진다길래 이악물고 2, 6 "에서만" 가지도록 그래프...
-
메가패스는 들을 수 있어요 이만복 좀 빡세긴해도 1.0배속으로 듣고 암기하라하면 할...
-
-2-(-3)을 -3이라 생각해서 k값으로 -1을 빼버렸음
-
국수 둘다 어려웠긴 해도 극단적으로 어렵지도 않고 비스무리하게 아려웠던 것 같은데...
-
순간 당황해서 알빠노 WLOG 로 대충 함수 잡았는데
-
계속그렇게45등급줘봐더프십련들아
-
9모 한국사 0
무난하게 3분 컷 내고 50을 받기는 했습니다만 유형 자체는 기존의 한국사 유형과는...
-
오늘공부다했다 4
시험 D-1..
-
대충 국어 2개 수학 1개 틀 + 과탐 원원 선택으로 다맞으면 갈 수 있나...?...
-
17 19 정답률이 그렇게 낮은데? 어떻게 44가 아니라 45일수가있음 거의 모든...
-
문학에서 썰린거 위로 받고싶네요
-
인강 사이트 대통합인데 지금 오답률 보면 정말 그럴만하겠다는 생각임
-
왜 자꾸 오류 뜨는거지 진짜로 하라는대로 생기부 발급 받아서 번호 입력했는데 왜 계속 안되는거지
-
이번 9평 물1 이거하나틀렸는데 회로만나오면 죽을거같음 이거 해설좀해주실 고수분없나
-
한지세지 0
한지 45 세지 42인데 1,2턱걸이 가능?
이런 자료 찾는 맛에 지구과학하는거 같습니다 좋은 글과 자료 감사합니다!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안성진t풀커리로 지구과학 1등급 만들겠습니다
항상 느끼는거지만 인사이트가 진짜 좋으신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