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419403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회 평가원화 자료에 많은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2회 평가원화 자료도...
-
그의 헤발슛에는 감동이 있었죠.
-
이미 보신분들 전체적으로 난이도 어떤가요?? 국어(언매) 수학(미적) 영어 위주로여...
-
최단기국어
-
이투스 4월 모고 국어 답지만 있는사람 ㅠㅠ 작지만 바나나우유라도 줄게.. 0
이투스 2022 고3 4월 국어 답지만 있는사람..해설 필요업서..9시반까지는...
-
미적분 너무헤비해 ㅇㅇ수학좆밥이보기엔그럼
-
굳이 팬갤에 와서 멜론 1위를 못했느니 뭐니.... 멜론 구조상 하루만에 1위하기...
-
님들 0
저 하루유튜브14시간 보는데 이것도 재능인건가 ㅅㅂ
-
일단 함수 f(x)의 그래프를 그려 봅시다. 함수 f(x)는 x=0에서는...
-
저만몰랐던거면 ㅈㅅ한데 왜 로피탈아닌지를 모르겠어서요
-
찾았다 ㅋㅋ 본인도 직접 한마디하고싶다 쪽지주세요
-
하아아아아아 0
ㅈㄴ 의미없다 밥챙겨먹기도 귀찮음.
-
답지를 두고왔어요 집에..
-
내일 개같이 헬스해야지
-
생2 그렇게 데이고 또하는게 맞아? 깝치지말고 화지할까
-
벌써퇴물이된건가 난이도 미쳣는디
-
이씨발련 항상오래걸리는건 기본에 오답률도높음 씨발
-
orbibro입니다 기러기 토마토 스위스 인도인 별똥별 orbibro
-
덮 기하 29,30보다 28번이 더 어려운거 실환가요 0
28땜에 29,30 제대로 보지도 못했는데 아주 킹받네요
-
어제 더프보고 내 실력이 이거밖에 안되는건가 엄청나게 자괴감 들었어요 그래서 오늘...
-
https://codeforces.com/blog/entry/106149 컴공과...
-
예전 나형땐 진심 올34도 100일만에 올1 죽어라하면 ㅆㄱㄴ이었는데 (주변에서 꽤...
-
작년 지리교육 빵이었는데 뭔가 재미있는 생각이 하나 듦 2
작년에 이 점수로 최저떨했었는데 학우 4합7만 됐으면 무조건 붙었을 것이고 등록했을...
-
은퇴한지 20개월 지났는데
-
수분감 삼각함수 28번 해설해주실 때 유일하게 훤칠하게 생겼다는 생각ㄱ이 들었음...
-
근데 유튜브로 스포당해서 거의 다 알고 봄...
-
왜캐허무함 시팔 밑찍5할걸 하
-
최근 바탕 모의 4개 결과: 2 1 1 1 난생 처음 이감 쳐봄 (on 4회차인가)...
-
ㅇㅈㅅ쌤 여론 보고 수업 들어갔으면 그 소리 하려다가도 핫! 하고 참으셨지 않았을까?
-
취미도 없어서
-
작년에 올라와서 이미 한 번 논란됐던 거 아님?............. 이정수...
-
물론 이대로 나올지는 미지수지만... 과연 가능할지 여쭙고 싶습니다
-
근데 너무 많은..
-
기숙학원 0
들어가면 부모님이랑 전화 못하나여?.. 뭐 날짜가 정해져있는건가여 며칠에 한 번 이런식으로..
-
내 전글을 보고 제발 대학 과보고 간다고 낮은 대학 가지말고 그냥 죽닥하고 높은대학...
-
블핑 콘서트 11
제가 잘못본거겠죠 껄껄
-
인하대 근황… 2
-
무보정은 잘떠야 2같고..
-
[수학2] 모의고사에 넣으려다 버리는 문항 (선착순 랜덤 덕코) 8
9월 대비 MC THE MATH에 넣으려다 버리는 문항.... 8월 27일에...
-
고1입니다 수능은 물화 칠 생각이고, 물리는 고3꺼 치면 2에서 1정도 나오고,...
-
어케 위치 확인해요..?
-
알려주실분 ㅠ ㅠ 네이버 카페 승인이 아직도 안 됐어요..
-
만약 본인이 현역 22213 문과로 경희대를 왔으면 반수한다 안한다
-
비킬러 문제 풀 때 조건 일일이 써놓고 대조하시면서 푸시나요 Ex) 2 3주기...
-
국어 79 화작 35,38,40 독서 1,6,12,17 문학 19 틀 화작 너무...
-
‘우영우 찐팬’ 인증한 홍준표, 박원순 미화 논란에 밝힌 입장은? 6
홍준표 대구시장이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이하 우영우)가 박원순 전...
-
수학 이런거 풀어야됨? 20
진짜 존나 풀기 싫게 생김
-
확통이랑 기하 0
둘 중에 뭐가 더 공부량 많은지 궁금합니다.. 둘 다 노베이스고 내년 수능...
실생활이라는게 완전 일상 즉 게임하기 마트 가기 외출하기 밥 먹기 이런건가요?
이런 거라면 수능의 그 어떤 과목도 필요 없는 거 아닌가요
수능 수학은 논리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학문이죠
논리적 사고력이 높으면 합리적 선택을 할 수 있겠죠 논리적 사고력이 떨어지는 애들보다 멍청하고 덜떨어진 짓을 덜하겠죠 논리적 사고력은 노력으로 키울 수 있으니 수능 수학을 공부하는거겠죠 대학들이 수학비율을 높게 잡는 이유가 수학 못하면 빡통대가리라는걸 다들 알고 있어서겠죠 그럼 대학 수업이랑 책 내용을 따라가기 벅차겠죠 학창시절 우리 주변에 수학 물리 잘하는애가 국어영어사회같은거 잘하는애보다 똑똑하단거 한번쯤 느껴봤으면 알거임 ㅇㅇ 결국은 사고력을 키우기 위한 수단이다 수능수학은
왜 수능수학이 실생활에 필요해야 할까요? 말그대로 대학수학능력 시험인데
이거 여기서 애들 말 듣지말고 학습전이라는 주제로 찾아보세요 인터넷에 그럼 될듯
애초에 실생활에서 유용하게 쓰려는 이유 때문에 수능 과목을 공부하는 것이 아니에요
애초에 수능의 목적이 그게 아니에요 대학에서 하는 공부를 따라올 수 있느냐 이걸 평가하는게 목적이지 이사람이 실싱활에서 얼마나 현명하게 살아갈 수 있는가 이걸 평가하는 시험이 아님
그냥 애초에 질문 자체가 성립할수가 없음.
아이돌들은 춤을 추고 팬들을 응대하기 위해 무조건 축구를 해야한다! 축구는 아이돌들에게 있어 필수적이다!
이런 주장을 굳이 반박하거나 할 이유가 있을까요
이것이 실생활의 범주에 포함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상당수의 이과 계열에서 무언가를 만들고자 하면 수학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온도제어장치 등에서 미적분을 사용하는 PID제어라던가, 연구를 한다고 하면 그 결과인 통계를 해석할 때 사용하는 카이제곱 검정이라던가, 전자파 신호를 분석할 때 사용하는 푸리에 급수라던가, 그 외 계산화학 등 온갖 과학 및 공학들이 복잡한 수학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그 복잡한 수학을 가르치기 위한 기반이 얼마나 쌓여있는지 검사하는 수단으로써 수능수학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학마다 1학년에 배우는 수학의 내용이 다른데, 수능 수준(혹은 그 이하)의 수학을 가르치는 곳도 많지만 서울대에서는 보충반이 아니면 수능 수준 이상의 내용을 가르치는 걸 참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실생활이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에 다를 수 있지만, 이과 계열에서 무언가를 만드는 사람들은 그 작업이 곧 실생활일 것이고, 대학은 그 무언가를 만드는 지식인들을 양성할 수 있는 기관이므로 수능 수학이 어느 정도 의미를 갖는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문과 계열에 대해서는 제가 잘 모르겠네요.
수능 수학 공부는 굳이 말하자면 일상생활을 충분히 영위하기 위한 필요조건일 뿐이죠. 이거 다 까먹고도 사람들은 잘 지냅니다. 그런데 이런 식으로 말한다고 수능 수학에 필요가 없다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스마트폰이 있어야만 일상생활이 가능하지는 않지만 있으면 좋은 것과 마찬가지라는 논변이 가능하다 생각합니다. 수능 수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 해결력"입니다. 매일 문제 상황을 마주하는(문제를 인식할 수 있다면요) 일상생활에서는 당연히 필요한 능력이겠지요. 수학 교과개념을 활용해서 수능 문제를 푸는 것에서 여러 다른 생각들을 통해 생활 속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확장이 일어날 수 있으리라 봅니다. 수학은 수(數)가 아니라 생각하는 능력이 본질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