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문법 질문 중세국어 높임표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230059
중세국어 현대어 풀이에서 모시다 드리다 뵙다 여쭈다 잡수시다 등 높임을 나타내는 어휘가 쓰였어도
중세국어에서는 오직 선어말어미로만 높임을 해주기에 어휘적 수단으로써의 높임은 중세국어에서는 절대 불가능한게 맞는건가요?
이번 언매 37번보고 많이 쫄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230059
중세국어 현대어 풀이에서 모시다 드리다 뵙다 여쭈다 잡수시다 등 높임을 나타내는 어휘가 쓰였어도
중세국어에서는 오직 선어말어미로만 높임을 해주기에 어휘적 수단으로써의 높임은 중세국어에서는 절대 불가능한게 맞는건가요?
이번 언매 37번보고 많이 쫄려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언어엔 절대란 없어요
중세국어 교과서 보니까 오로지 선어말어미로만 높임법이 실현되어있다고 적혀있길래요
현대와의 차이점 부분에서요
상대높임에선 종결어미로 높일수도 있지 않나요?
예시를 보면 아시겠지만 종결어미로 높임이 쓰였을땐 선어말어미 -이-가 거진쓰이지않았나요
그리고 대놓고 하쇼셔 ㅎ,라 라고 쓰인것 빼고는 변형된 형태에서는 선어말 어미가 전부 쓰였고요 종결어미로만 쓰인건 높임의 등급별 표현에서 가장 쉬운형태에서만 쓰여서 너무 대놓고 티가나고요 그래서 나온적이 거진없지만요
어처피 중세국어면 보기 나오니까 보기 보고 하시는게..
여태까지 문법 ㅈ밥~거리면서 하다가 개같이망하고 지금 노이로제 걸렸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