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모 영어 37번, 38번 (현장감 있을 때 갈무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57048185
자 현장감 있을 때 빠른 갈무리 하자구요!
6모 37번
In economics, there is a principle known as the sunk cost fallacy. The idea is that when you are invested and have ownership in something, you overvalue that thing.
(A) Sometimes, the smartest thing a person can do is quit. Although this is true, it has also become a tired and played-out argument. Sunk cost doesn’t always have to be a bad thing.
(B) This leads people to continue on paths or pursuits that should clearly be abandoned. For example, people often remain in terrible relationships simply because they’ve invested a great deal of themselves into them. Or someone may continue pouring money into a business that is
clearly a bad idea in the market.
(C) Actually, you can leverage this human tendency to your benefit. Like someone invests a great deal of money in a personal trainer to ensure they follow through on their commitment, you, too, can invest a great deal up front to ensure you stay on the path you want to be on. [3점]
* leverage: 이용하다
① (A) - (C) - (B) ② (B) - (A) - (C)
③ (B) - (C) - (A) ④ (C) - (A) - (B)
⑤ (C) - (B) - (A)
자, 국어랑 똑같이 경제다!
키워드 경제학에서의 a 원리
the sunk cost fallacy. 뭐 매몰 비용 오류인가? 여튼 이거 키워드
당신이 투자 받거나 무언가에 소유권을 가지고 있으면 과대평가하는 것
오키 자주 봤던 것!
(A) 때때로, 가장 똑똑한 것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것 = 빠져나가는 것
약간 해결책 느낌나죠?
매몰비용오류가 좀 더 예시가 나와야 할 것 같은데...
일단 패쓰
(B) This leads people to continue on paths or pursuits that should clearly be abandoned.
딱 매몰비용오류 굿
매몰비용오류의 예시 딱 나와주고
그럼 문제발생 했으니 문제분석해결 패턴?
(A) 때때로, 가장 똑똑한 것 한 사람이 할 수 있는 것 = 빠져나가는 것
여기 딱 해결책이 있네요.
Although this is true, it has also become a tired and played-out argument. Sunk cost doesn’t always have to be a bad thing.
검산하려고 밑에 봤더니
매몰비용이 항상 나쁜 것은 아니라네요?
(C)에 좋은 내용 나오나?
Actually, you can leverage this human tendency to your benefit.
굿 이점으로 이용가능
순서 B - A - C 답 2번
38번
Also, it has become difficult for companies to develop new pesticides, even those that can have major beneficial effects and few negative effects.
Simply maintaining yields at current levels often requires new cultivars and management methods, since pests and diseases continue to evolve, and aspects of the chemical,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 can change over several decades. ( ① ) In the 1960s, many people considered pesticides to be mainly beneficial to mankind. ( ② ) Developing new, broadly effective, and persistent pesticides often was considered to be the best way to control pests on crop plants. ( ③ ) Since that time, it has become apparent that broadly effective pesticides can have harmful effects on beneficial insects, which can negate their effects in controlling pests, and that persistent pesticides can damage non-target organisms in the ecosystem, such as birds and people. ( ④ ) Very high costs are involved in following all of the procedures needed to gain government approval for new pesticides. ( ⑤ ) Consequently, more consideration is being given to other ways to manage pests, such as incorporating greater resistance to pests into cultivars by breeding and using other biological control methods.
* pesticide: 살충제 ** cultivar: 품종 *** breed: 개량하다
일단 발문에 Also, 나와 주면서~~ 무언가를 추가적인 느낌 가져가고
회사들이 새로운 살충제를 개발하기에 어렵다고 하네요! 많은 주요 이점들을 가지고 있고
거의 부정적인 효과는 없는데 말이죠.
일단 시작은
새로운 품종 그리고 관리 방식 --> 현재 수준의 산출량 유지
인과관계패턴
이유는 질병과 해충이 진화
그리고 화학적, 물리적, 환경적 변화가 수십년간 있어왔어요.
여기서 우리는 기대해야하죠? 작가의 선택
구체적 예시!!!!
( ① ) In the 1960s, many people considered pesticides to be mainly beneficial to mankind.
딱, 1960s 나와 주면서 구체적 예시로 시작하네요.
( ② ) Developing new, broadly effective, and persistent pesticides often was considered to be the best way to control pests on crop plants.
way to 부정사 기억하시죠? 무조건 해결책!
살충제가 최고의 해결책이라네요!
논지의 흐름이 바뀌지 않았어요.
( ③ ) Since that time, it has become apparent that broadly effective pesticides can have harmful effects on beneficial insects, which can negate their effects in controlling pests, and that persistent pesticides can damage non-target organisms in the ecosystem, such as birds and people.
논지 변환점이네요 여기가!
솔직히 2번 뒤의 글과 3번 뒤의 글이 스무스하게 이어진다? 저는 세모 정도 치고 갔습니다. 뭐 that time 때문에 가능하지만 약간 찝찝했네요.
다행히 발문에서 Also를 주어서 무언가 최소한 1개의 부정적 개념이 나오고 또 나오는 걸 기대하고 있어서 지나갔지
아니면 찝찝했습니다. 저는요! 저는 말이에요!
( ④ ) Very high costs are involved in following all of the procedures needed to gain government approval for new pesticides.
자 4번 뒤의 문장을 보면 갑자기 아주 높은 비용들이 나오지요? 처음 등장하는 개념이지요? 무언가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려구요!
그럼 발문의 회사들이 새로운 살충제를 개발하기 어려운 이유가 부드럽게 될 수 있겠죠?
네 저는 그래서 4번에 답을 넣었습니다.
6모 치시느라 수고많으셨습니다! 남은 수험생활도 화이팅!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와 젖탱이봐라 침고이네 17
하 진짜 ㅈㄴ 피곤하네 다들 오늘 하루 고생하셨어요
-
강하영 29번 풀이법 이거 왜 작년 평가원부터 안 먹힘? 제가 작수 참전 안 해서...
-
나도씨발그냥확통할걸 왜깝쳤지 아씨발진짜
-
저능해지는거같은데 기분탓임?
-
수학과 4
모든 과 다 되고 수학과 안 되면 대학 낮추기
-
수열시러
-
제가 모의고사 풀 때 문학이랑 화작에 65분 정도 쓰는데 화작,문학 합해서 3-4개...
-
머임 현우진 12
올해 킬캠 해강으로 첨 듣는데 상당히 빠져드네..
-
최저용으로 수학 할 생각없었는데 어쩌다 보니 하게됬습니다 3등급이 목표입니다...
-
이 개 지리는 가성비를 이해 못한단 말인가 아쉽구나
-
더프 다들 화이팅입니다 오노추 너에게 - 성시경
-
결국은 물을 많이 부어봐야 알 수 있음 생각보다 공부하는거에 비해서 항아리에 물이...
-
알림창이랑 설정창 왔다갔다하기 개빡셈
-
그러니 목동러들은 눈물을 그치도록
-
없으려나 연세대같은곳은 거의 만점이던데
-
3합6 최저를 맞추려면 국어, 수학 둘 중 하나를 4등급 맞아야 하는데 머가 더...
-
어이가 없네 2
어삼은 있네
-
목동도 쫌 와봐라ㅠ
-
개재밌다 ㄹㅇ
-
후기좀
-
엠스킬 0
불후의 개념 완강 햇는데 기출이랑 병행 하는게 좋나요 엠스킬 먼저 하는게 좋나요
-
정시 수시 고민 0
외곤데 수시로 3.극초 나와서 설대 종교학과 쓸거 같은데 설대 자전이 너무 가고...
-
기하인강 둘 중에서 하나 들으려는데 뭐가 더 괜찮나요
-
요즘 현우진이랑 옛날 현우진 너무 다르네 ..ㅋㅋ 요즘엔 그냥 로봇같은데 옛날엔...
-
진짜 에펨이랑 디시나 유튜브 축구 쇼츠 같은거 1년동안 들어가면 안 될듯 가뜩이나...
-
재미도 없는데 깨작깨작 할말은 다하고 수업도 졸라 느긋하게 나가다가 오버하는건 좀...
-
감귤 먹는 시골쥐의 우당탕탕 육지 여행기 1(부산) 28
***사진 많아요. 데이터 & 스압 주의*** 다음편...
-
26학년도 6평대비 사피엔스 모의고사 풀이(해설용) 10
30분 재서 시험본 건 따로 있는데 그건 부끄러워서 못 올릴 듯.. 문제시 삭제
-
3678x, 90543, 28176 선착순 1명 천덕
-
외가가 외할아버지랑 외할머니 두 분 다 전라도 분이셔서 전라도 사투리랑 서울말...
-
개념적고 마더텅 수특딸깍으로2등급가능한사탐뭐있어요?
-
만약 못풀었다면 1 3 5중에 하나 찍으셈 근데 27번이랑 번호 안겹치게+ 하나도...
-
7모 전까지 한바퀴 겨우 돌릴 수 있을 듯 막상 공부하면 재밌긴 함
-
AI에게 먹일 샘플 o4-mini 10초만에 다읽고 45개중에 제대로 읽은 OMR...
-
브레턴이 마지막 경제지문이라는데 킬러이슈 때문임?
-
꼭 수능에 나와서 통수치는듯..? 혹은 무조건 나온다 하는 게 안나오거나 예상을...
-
아니 나 제주도 사투리랑 경상도 전라도 사투리랑 섞였나봐 10
어카디 근디 시방 너무 배고픈디 뭐먹을까
-
왜 다 이과야 9
그러고보니 여긴 왜 다 이과야 왜 다 공돌이나 의돌이임 왜 문돌이 사대지망은 없는거임...?
-
화학 0
4덮 5모에 냈으면 1컷 38-39나왓을듯 진심으로
-
대학가면 롤 많이함? 11
어때요? 아직도 인기많나
-
특히 국어가 궁금합니다
-
물2 바이럴 14
하고다님 5모 표점 보라고 근데 수요는 없음
-
13354 5687x 43521 find x
-
하이호 드북 1
"하이호" 처음 만나서 반갑다는 인사이다. 하이호 하이호 하이호 하이호 하이호!...
-
맞음
-
안된다고 함..?? 글고 6모 신청했는데 이렇게 전에 퇴소하면 6모도 못봄..?ㅠㅠ
-
표점 말고 백분위도 낮은 건가요??? 깡표점 안 쓰는 대학도 동사 하면 불리해요?
-
이걸로 다시 메가패스 삿는데 이거 완전 호텔경제학 아니야?
-
중딩 때 학원 가면 집중 안된다고 혼자 공부해서 모든 시험 전교 2등 유지 후...
-
주황색으로 가자
설명 재밌네요!!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